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116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인수 최종 미국승인 (10월말)
대한항공이 올해 연말 아시아나항공 합병 마무리와 국제선 노선 확대로 분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나와 합병은 미국 관문만 통과하게 되면 연말부터 통합 과정에 본격적으로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한 회사는 올해 동계스케줄에 맞춰 일본, 동남아, 중국, 미주, 유럽 등 인기 노선을 확대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노선 공급을 회복하겠다는 방침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이르면 오는 10월 미국 법무부(DOJ)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합병 관련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다른 국가들처럼 경쟁당국에게 별도 심사를 받는 것이 아니라 DOJ 의사에 따라 결정된다. DOJ에서 양사 합병에 대해 소송을 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심사가 종료되며, 기업결합을 승인하는 방식이다.
앞서 대한항공은 유럽연합(EU) 경쟁당국으로부터 조건부로 기업결합을 승인 받으며 9부 능선을 넘은 바 있다. EU집행위원회는 대한항공이 파리, 로마, 바르셀로나, 프랑크푸르트 등 4개 노선을 티웨이항공에게 양도하고, 아시아나 화물 사업을 매각할 것을 요구했다.
이후 아시아나 화물 사업은 에어인천이 인수를 결정했으며, 유럽 4개 여객 노선의 경우 티웨이항공이 현재 순차적으로 띄우고 있는 상황이다. 티웨이항공은 지난 8월 로마·파리를 시작으로 9월 바르셀로나에 취항했으며 오는 10월에는 프랑크푸르트까지 운항할 계획이다.
이들 작업이 마무리되면 EU 측은 최종 승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DOJ와 EU 최종 승인이 끝나면 아시아나 합병 과정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와 합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재무 건전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한국신용평가는 지난해 말 대한항공 신용등급을 ‘BBB+(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상향했으며, 올해에도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기업결합 이후 당분간 아시아나를 자회사 형태로 운영하다가 2년 뒤 하나의 항공사로 합칠 계획이다. 양사가 합쳐지게 될 경우 세계 10위권 ‘메가 캐리어(초대형 항공사)’가 탄생하게 된다.
또한 계열사인 저비용항공사(LCC) 통합도 함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 합병에 따라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LCC 3사를 합친 통합 LCC가 출범할 예정이다. 통합 LCC의 경우 에어아시아에 이어 아시아권에서 2번째로 규모가 클 전망이다.
https://www.mk.co.kr/news/culture/11130448
대한항공은 1979년부터 한미 군용기 5000대 이상을 최상위 단계의 정비인 창정비하는 성능개량 업무를 수행해 왔다. 아시아태평양 최대 정비센터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무인기 플랫폼 개발과 함께 발사체 연구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특히 대한항공은 1991년 우리 군 주력 헬기인 UH-60을 국내에서 처음 생산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성능개량과 창정비를 꾸준히 수행하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UH-60과 관련한 특수작전용 성능개량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아울러 대한항공은 우리 군의 전략급 무인기로 운영할 중고도 무인기 개발 사업에도 참여했다. 해당 무인기는 고성능 감지기를 탑재해 10~13㎞ 고도에서 한반도 상공을 20시간 연속 실시간 감시 정찰할 수 있다.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대한항공이 개발에 참여했으며 지난해 양산에 착수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향후 미래 핵심기술을 주도해 대한민국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v.daum.net/v/20241010100027887
가장 먼저 실행될 계획은 한국 특화 클라우드다. 김 대표는 “한국의 규제와 보안 등 시장 환경을 고려한 공공·금융 부문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동 개발해 내년 1분기 상용화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한국은 업무용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해야 하는 망 분리 규제로 인해 공공·금융기관의 AI·클라우드 도입이 더딘 상황이다. 마침 정부가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상황에 맞춰 양사도 국내 규제에 부합하는 이른바 ‘소버린(자립형) 클라우드’를 만들어 블루오션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단순히 자체 클라우드를 개발·공급하는 ‘클라우드서비스제공자(CSP)’를 넘어 고객사의 MS 클라우드 ‘애저’ 등 다양한 클라우드 도입을 지원하는 ‘클라우드관리서비스기업(MSP)’으로 사업 영역을 넓힐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