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건은 사는 즉시 그 순간부터 같은 값으로 되파는 게 불가능하다.

 

Mercedes-Benz

 

밑에 있는 문제를 풀 수 있다면 이 글을 읽지 않아도 된다.


     도끼                                                                                           직장인

철수랑 영희는 친구이다.

철수8천만 원에 산 차가 4대이고 A 지역에 40평대 아파트 1채가 있다.

영희는 A 지역에 40평대 아파트 1채와 꼬박꼬박 모은 1억이 통장에 있다.

영희는 차가 없어서 출퇴근 시 대중교통에 왕복 3000원을 지불한다.


(단, 철수와 영희는 모든 차와 집을 산 시기가 2020년 10월 3일로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영희 통장에는 1억이 있는 상태이다. 영희는 10년 뒤에도 차를 사지 않는다.)

 


Q.1 다음 중 더 부자처럼 보이는 사람은?

Q.2 집과 차 구매 시점에서 실제로 더 부자인 사람은?

Q.3 10년 뒤 더 부자일 사람은?

Q4. Q3의 답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은?


A1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철수

 

A2 철수

 

A3 영희

 

A4

1. 철수가 자동차로 사업을 하거나 콘텐츠를 생산하여 수익을 얻는다.

2. 영희가 10년 뒤에 늦바람이 들어서 모아둔 1억도 날리고 20년 사이에 번 돈도 날린다. 이 사이 철수는 그냥 살았다.

3. 이유 없이 영희가 산 아파트 가격만 5685만 원 이상 떨어진다.

4. 철수가 소유한 차들 중 하나가 우연히 소장 가치가 있는 희귀한 차가 되어 부자가 되는 경우

 


 

 

A2

구매 시점에서는 철수는 3억 2천만 원과 아파트를 1채를 살 돈이 있었다.
영희는 1억 5백만 원과 아파트 1채를 살 돈이 있었다. 철수가 영희보다 2억 1천5백만 원이 더 많았다.

A3

현시점 기준으로 10년 전 8천만 원이었던 차는 중고가 1천만 원 이하가 되었으므로 철수는 4000만 원과 아파트가 있고

영희는 365일 X 3000원 X 10년 (매일 출근은 안 하겠지만 주말에 돌아다닐 수도 있으니까.) = 1,095만 원 지출.
교통비는 월급에서 해결했을 때, 통장에 있던 1억 원은 1억 880만 원이 되었고, 영희는 9,685만 원과 아파트가 있다.

 

영희가 철수보다 5685만 원 더 많다.

 


철수는 월급에서 보험료와 유류비도 지출했지만 계산하지 않았다.

 


2억이 넘는 돈이 어떻게 아무것도 안 한 영희에게 따라잡혔을까?


 

기능적 감가.

 

 

우리가 물건을 사서 쓰면 그 물건의 가격을 샀던 가격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기업의 회계 처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말이지만, 생활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위에서는 대표적인 감가상각 자산인 "차"를 예시로 들었지만

다음 연도에 더 좋은 물건이 나오고, 쓸수록 조금씩 낡는 모든 물건에는 감가상각이 적용된다.

차, 스마트폰, 옷, 명품 백, 골프채, 시계, 주방기구 등등

사는 즉시 그 순간부터 같은 값으로 되파는 게 불가능하다.

 

20억원으로 차를 사는것과, 건물을 사는것은, 구매 1초 뒤부터 1억의 차이가 발생한다.

 

 


A : 우와 비싼 소파네 얼마야?? B : 7천만 원 ㅎㅎ -> 하지만 사실, B가 사용을 시작한 순간부터 6천만 원 아래로 가격이 내려갔다.


철수와 영희 사례에서 봤듯이 당신이 2억3억은 우습게 쓸 수 있는 정도로

 

이미 부자라면 감가상각에 대해서 알 필요가 없다. 

 

페이스북 창업자, 이케아 창업자, 마이크로 소프트 전 CEO 의 차.

하지만 경제 논리로 생각하면

 

대중교통으로 생기는 불편함이 차를 샀을 때의 손해를 이기는 경우에만 차를 구입해야 하고,

 

굴러만 간다면 가장 낮은 가격의 차를 사는 것이 맞다.

 

반응형
반응형

영화 타짜. 이승우.

한국에서는  주식 = 도박판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주식을 사본적 없는 입장에서는 친구가 주식한다고 하면 위험해 보이고 이상해 보인다.


목차.

 

1. 요즘 주식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

 

2. 주식이 아니더라도 재테크는 꼭 해야하는 이유


1. 요즘 주식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

 

올해 3월 42300원 까지 내려온 삼성전자.

 

올해 3월에 코로나 (+ 각종 경제적 이유) 때문에 거의 모든 주식의 가격이 40% 정도 폭락했다.

 

주식이 완전히 폭락했을 때 알 수 없는 유튜브의 알고리즘에 이끌려  많은 사람들이 새로 주식을 시작했고

 

3월 이후로 거의 모든 주식은 계속 오르기만 했다.

 

주가가 바닥일 때 새로 시작했기 때문에 돈을 잃어본 적 없는 개인투자자들이 많아졌다.

 

이때 적으면 10% 많으면 2배 3배씩 돈을 번 사람들이 생겼고 

 

이 사람들을 보고 너도나도 주식을 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이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동학개미 운동.

1. 예금금리가 0% 수준으로 떨어져서.

 

2. 집값이 젊은 사람들이 살수 없을 정도로 올라서.

 

3. 이번 폭락 = 다른 말로는 주식이 저렴해진 것이라서.

 

4. 한국인은 유행을 좋아하니까.

 

5. 밀레니얼 세대가 주식을 나쁘게 보지 않기 시작해서.

 

 

사실 주가가 다시 회복한 "지금"은 시작하기에 좋은 시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2. 주식이 아니더라도 재테크는 꼭 해야하는 이유

 

내용이 너무 많으면 형광펜 부분만 읽어도 이해가 됩니다!

 

30년 전에 짜장면은 얼마였을까? 답은 1300원이다.

 

재테크 왜 해야 하는지 분석해본다더니 갑자기 무슨 짜장면이냐는 생각이 들 수 있다.

 

돈의 가치 때문에 짜장면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충격적이게도 돈은 가치가 일정한 것이 아니다.

 

1990년의 1300원과 2020년의 1300원은 가치가 다르다.

 

시간이 지날수록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이 말은 모든 물품의 가격이 시간이 지날수록 올라간다는 이야기이다.

 


통장에만 돈을 넣어두면 돈이 사라지는 것과 같다.

 

통장에 돈을 1000원 넣어두고 깜빡 잊은 채 10년의 시간이 지났다고 생각해보자. 이 돈은 얼마가 되었을까?

 

1050원쯤 된다. 근데 아이스크림은 똑같은 게 1300원 정도가 되었다. 250원 정도 손해이다.

 

250원이면 별거 아닌 거 아니야? 아니다  10년 동안 당신 재산의 1/4 이 방금 사라진 것이다.

 

2015년 대비 식료품 가격 14%상승.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 0.5%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도 항상 물가는 오른다. 그리고 경제 위기가 올 때마다 예금 금리(이자)는 떨어진다.

 

이게 무슨 뜻인가? 통장에만 돈을 넣으면 우리는 항상 손해를 본다는 것이다.

 

돈을 무작정 모으기만 하면 우리는 점점 가난해진다.


허걱 그럼 내 돈을 어떻게 해야 지킬 수 있지??

 

답은 간단하다. 그냥 돈을 가지고 있는 대신에

 

그 돈으로 가격이 변하는 물건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런 물건을 "유가물"이라고 부른다.

 

나이키 신발, 우표, 병뚜껑, 금, 부동산, 주식. 뭐든 상관없다.

 

10년 뒤에 더 비싸질 거라고 생각하는 것 아무거나 가지고 있으면 된다.


아 ! 그래서 재테크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면 성공이다.

 

재테크는 내 돈의 가치를 지키고 나아가 내 돈을 불리기 위해서 해야 한다.


노인 자살률 1위의 안타까운 나라. 노후대비를 해야 한다.

 

왜 유독 한국이 노인 자살률이 이렇게 높은 걸까?

 

그 이유는 노후대비가 안 되어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행정 역사관에 의하면 1965년 공무원 월급은 1만 550원 이라고 한다.

 

1945 년에 태어난 사람이 20살에 힘들게 저축했던 월급의 50%로는 지금 짜장면도 못 사먹는다.

 

나이 들어서 돈을 벌수 없는 상태가 되었는데, 차곡차곡 모았던 돈은 휴지조각이 되어버렸다.

 

이 당시 좋은 저축 상품은 20% 대도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나

IMF 당시 은행도 돈을 못 돌려주는 상황이 왔었으므로, 현금만 들고 있었다는 극단적인 예시입니다.

물론 지금은 그런 상품 없습니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진 사람들을 위해.

 

 

왜 요즘 주변에서 주식한다고 난리일까? : 재테크를 해야 하는 이유(2). 작성중

주식에 대해서 더 궁금해진 사람들을 위해 준비 해보았다. 먼저 Q/A Q. 가격이 오르내릴 때마다 내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는가? A. 아니다. 주식을 샀으면 팔기 전까지 손실이나 이익이 확정되

addsmile.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