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은 사는 즉시 그 순간부터 같은 값으로 되파는 게 불가능하다.
밑에 있는 문제를 풀 수 있다면 이 글을 읽지 않아도 된다.
철수랑 영희는 친구이다.
철수는 8천만 원에 산 차가 4대이고 A 지역에 40평대 아파트 1채가 있다.
영희는 A 지역에 40평대 아파트 1채와 꼬박꼬박 모은 1억이 통장에 있다.
영희는 차가 없어서 출퇴근 시 대중교통에 왕복 3000원을 지불한다.
(단, 철수와 영희는 모든 차와 집을 산 시기가 2020년 10월 3일로 같다고 가정한다. 이때 영희 통장에는 1억이 있는 상태이다. 영희는 10년 뒤에도 차를 사지 않는다.)
Q.1 다음 중 더 부자처럼 보이는 사람은?
Q.2 집과 차 구매 시점에서 실제로 더 부자인 사람은?
Q.3 10년 뒤 더 부자일 사람은?
Q4. Q3의 답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은?
A1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철수
A2 철수
A3 영희
A4
1. 철수가 자동차로 사업을 하거나 콘텐츠를 생산하여 수익을 얻는다.
2. 영희가 10년 뒤에 늦바람이 들어서 모아둔 1억도 날리고 20년 사이에 번 돈도 날린다. 이 사이 철수는 그냥 살았다.
3. 이유 없이 영희가 산 아파트 가격만 5685만 원 이상 떨어진다.
4. 철수가 소유한 차들 중 하나가 우연히 소장 가치가 있는 희귀한 차가 되어 부자가 되는 경우
A2
구매 시점에서는 철수는 3억 2천만 원과 아파트를 1채를 살 돈이 있었다.
영희는 1억 5백만 원과 아파트 1채를 살 돈이 있었다. 철수가 영희보다 2억 1천5백만 원이 더 많았다.
A3
현시점 기준으로 10년 전 8천만 원이었던 차는 중고가 1천만 원 이하가 되었으므로 철수는 4000만 원과 아파트가 있고
영희는 365일 X 3000원 X 10년 (매일 출근은 안 하겠지만 주말에 돌아다닐 수도 있으니까.) = 1,095만 원 지출.
교통비는 월급에서 해결했을 때, 통장에 있던 1억 원은 1억 880만 원이 되었고, 영희는 9,685만 원과 아파트가 있다.
영희가 철수보다 5685만 원 더 많다.
철수는 월급에서 보험료와 유류비도 지출했지만 계산하지 않았다.
2억이 넘는 돈이 어떻게 아무것도 안 한 영희에게 따라잡혔을까?
우리가 물건을 사서 쓰면 그 물건의 가격을 샀던 가격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는 뜻이다.
기업의 회계 처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말이지만, 생활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위에서는 대표적인 감가상각 자산인 "차"를 예시로 들었지만
다음 연도에 더 좋은 물건이 나오고, 쓸수록 조금씩 낡는 모든 물건에는 감가상각이 적용된다.
차, 스마트폰, 옷, 명품 백, 골프채, 시계, 주방기구 등등
사는 즉시 그 순간부터 같은 값으로 되파는 게 불가능하다.
철수와 영희 사례에서 봤듯이 당신이 2억3억은 우습게 쓸 수 있는 정도로
이미 부자라면 감가상각에 대해서 알 필요가 없다.
하지만 경제 논리로 생각하면
대중교통으로 생기는 불편함이 차를 샀을 때의 손해를 이기는 경우에만 차를 구입해야 하고,
굴러만 간다면 가장 낮은 가격의 차를 사는 것이 맞다.
'경제 일반 > 아주 기본적인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래 빚없이 사는건 불가능해요. : "레버리지" 양날의 검. (1) | 2020.10.11 |
---|---|
물건은 갈수록 비싸집니다. 그래야하고요. : "인플레이션" 기본적인 경제학. (0) | 2020.10.07 |
스팩(SPAC) 상장 : 원금손실이 안 날 수 있는 주식이 있다면 믿겠는가? (0) | 2020.10.03 |
2편. 왜 요즘 주변에서 주식한다고 난리일까? : 주식 용어와 Q/A. (작성중) (0) | 2020.10.02 |
왜 요즘 주변에서 주식한다고 난리일까? : 재테크를 해야 하는 이유 (0) | 202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