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blog.naver.com/dkim0210/223756562386?fromRss=true&trackingCode=rss

 

방산 : 유럽 방산 현황 + MRO

Agenda 유럽 방산 현황 유럽 방산 MRO 라인메탈 MRO [유럽 방산 현황] 최근 유럽 방산회사들의 실적...

blog.naver.com

 


중국 신용 자극 지수 = (중국 신용창출 규모) / (중국 GDP)

 

쉽게는 중국의 투자 규모이며 

글로벌 유동성을 6개월정도 선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https://en.macromicro.me/charts/35559/china-credit-impulse-index

 

중국에 의한 유동성 환경은 아니다. 그럼에도 2023 2024 는 불장이긴했다.

 


https://en.macromicro.me/collections/8302/MACRO_324403/23858/us-m2



 

반응형
반응형

시장에 돈이 풀리네요. 익숙한거 같지 않아요? : 네이버 블로그

 

시장에 돈이 풀리네요. 익숙한거 같지 않아요?

https://www.mbn.co.kr/news/economy/5077314 https://www.yna.co.kr/view/AKR20241204079951002?input&...

blog.naver.com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권유&리딩이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




https://youtu.be/i7hVZguIZwI?si=u0ubRJCn_rOi59dW




반응형
반응형

 
시장은 슬금슬금 신고가를 돌파 했다. 
엔비디아와 애플 주도로 올라온 지수라 다른 종목들은 같이 신고가에 오르진 못했다. 
이번달은 돈이 어떤 식으로 이동하는지 볼것!

 
비트코인은 내가 생각한 기간 조정 이상으로 조정을 받고 있으나 9.7k 에서는 지지가 강해보인다.
 


S&P500 YTD 상승률 상위

1. 팔란티어
DOGE,방산,AI-SW
2.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독립위원회의 검토 결과 사기 무혐의/Dell 수주
3. CVS 헬스케어
건강 보험사 애트나 인수
4. 컨스틸레이션에너지
전력
5. 태피스트리
6. 크라우드스트라이크제
보안
7. 우버
빌 애크먼
8. 메타(페이스북)
9, 뉴몬트
금,아연,납,은 광산
10. 필립모리스
담배, 실적호조,아이코스
11. GE 에어로스페이스 (제네럴일렉트릭)
항공기용 엔진
12. 텍사스 퍼시픽 랜드
13. F5
클라우드 보안
14. 스타벅스
15. 에어비앤비
실적호조(중국-동남아여행객), CEO가 DOGE 합류 소식
16. T모바일
통신사 스프린트 인수
17. 랄프로렌
18. 하우멧에어로스페이스
항공기 엔진
19. 비스트라에너지
20. 시티그룹

한국 주간 순매수 상위
1. 테슬라 2X
2. 팔란티어
3. 테슬라
4. 아이온큐
5. 템퍼스AI (유전자데이터베이스)
6. SCHD(배당성장)
7. 이더리움 2X
8. CONY(코인베이스커버드콜)
9. 브로드컴
10. MSTY(마이크로스트레티지커버드콜)
11. 메타(페이스북,인스타..)
12. 리커젼 파마 (AI 신약개발)
13. 스포티파이
14. 초단기채
15. 구글
16. 반도체 3X
17. S&P500
18. 나스닥 3X 인버스
19. 스팩주(USA Rare earth라는 희토류 개발업체 merger)
20. 리게티 컴퓨팅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권유&리딩이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


미국 관세로부터 자유롭고 중국-한국 관계 개선 수혜는 엔터

차트도 아름다움


 

일본은 트럼프 임기동안 미국에 매우 협조적일것으로 보임

기업들의 경쟁력이 훼손당하지 않게 하는 대신 

미국의 기름과 천연가스를 사주고 인플레이션을 내줄것임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상 압력을 높이고 엔화가 강해질거라고 생각함.

엔화 강세+일본 기업 모멘텀으로 인해 올해 일본 증시가 괜찮지 않을까 싶음.

금리 인상도 경제가 좋아야 하는것

주가는 장기적으로 경제를 따라가게 되어있음.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올해 일본의 1분기 성장률은 생각보다 좋지 않을까도 싶음.

 

Nikkei225 Bull 2x [1579]


 

 

 

 

 

 

 

 

 

 

 

 

 

 

 

 

 

반응형
반응형

 

딥씨크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기 전부터 개인들은 공격적으로 엔비디아를 매수했고 

딥씨크 공포는 다소 진정되었다. 

구글이 무난한 실적을 발표했지만 딥씨크에 대한 공포로 부터 클라우드쪽 성적은 자유롭지 못했고 

더 싸게 AI를 뽑아내지는 못할 망정 TPU에 대한 투자를 늘린다고 하여 꽤 큰 하락을 보였다. 

지수는 전반적으로 횡보했으나 금융쪽이 좋은 모습

 


 

한 주간 순매수 순위 

1. 테슬라

2. 엔비디아

3. 엔비디아 2X

4. 테슬라 2X

5. 이더리움 2X

6. 구글

7. 마이크로소프트

8. 템퍼스 AI  (의료 AI 낸시 펠로시)

9. 아마존

10. 비트코인 2X

11. 구글 1.5X

12. 나스닥

13. 메타(페이스북)

14. 초단기채

15. 단기채

16. 코인베이스 커버드콜

17. 비트코인 2X

18. 비스트라(에너지)

19. SCHD

20. AMD

 

 

 

증시가 횡보하며 가격이 많이 빠진 주식들도 보인다. 개인들은 M7 매수세가 돋보인다

저번달에는 양자컴 관련기업들이 순매수 상위였는데 코인베이스 커버트콜이나 템펏, AI는 새롭다. 

반응형
반응형





https://blog.naver.com/ranto28/223752534479

 

조선업 거액 파생상품 손실의 비밀 (feat 선물환,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에 거액의 파생상품 손실공시가 났는데, 댓글문의가 많아서 간단하게 리마인드 합니다. 조선업은...

blog.naver.com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목요일로 22:30에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나온다. 

내일 비농업 고용지표 발표이기 때문에 오늘 나오는 매크로들보다 내일이 영향이 훨 클것이다. 

 

오랜만에 동기들과 배드민턴을 치고 비하동쪽에 박가네를 갔다. 

인당 9000원에 배부르게 곱창 전골을 먹을 수 있다. 청주를 떠나기 전 마지막이지만 뭐랄까 

힐링타임이였다. 

 

여기서 밥을 먹는데 뒷자리에 50~60대로 보이는 아저씨 아줌마 두 분이 AI 얘기를 하고 있다. 

이 곱창집은 가격이 저렴하고 옛스러운 분위기이기 때문에 여기서 AI 얘기를 들을줄은 몰랐다. 

약간의 조정이 다가올거 같은 느낌이 들었다. 

 

동기와 얘기중 1명이 친구들과 유튜브 무료 멤버십을 공유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요즘 사람들은 확실히 묻지마 투자보다는 자원을 투입해서라도 최대한 좋은걸 사려고 한다. 

금,팔란티어,테슬라가 추천이였다고 한다. 

보통 신고가에 사기 무서워 할 텐데 전체적으로 다들 잘 하는듯 싶다.

 


주간실업수당 청구건수 컨센 상회 했으나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하락추세 유지중


요새 많이 느껴지는것. 

지수가 10% 밀려있는 상태에서 엔비디아가 8%씩 밀리는데 

그걸 받았다는 사람을 꽤 보는거같다. 


국채금리에 대한 미국의 입장. 

너무 높아서 좋을건 없다.


금이 심상치 않다. 금관련 주들 신고가도 많이 나오는 중 #KGC,AU

 

 

국채금리 하락+실적 호조 심상치 않다. 금관련 주들 신고가도 많이 나오는 중 #KGC,AU

 

 

 

 

 

국채금리 하락+실적 호조 #SK바이오팜

반응형
반응형

 

 
수요가 떨어진 상황에서 국채 금리 충격을 완화하고자 했다는 의견도 존재.
어쨌건 4.5%에서 너무 넘어가지 않게 신경 쓴다는것. 
떨어지진 않아도 오르게 할 생각도 없다는 것. 


딥씨크로 AI 투자 비용에 대한 의문이 올라가는 와중에 투자를 더 늘리겠다는 발표에 시간외 급락 #구글


반응형
반응형

구인건수 둔화 이후 채권금리 하락 전환, 주식시장 상승으로 

시장은 경기둔화보다 금리 인하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함.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적당한 고용 둔화를 반기는 분위기. 

 

 

 

 

 

 

 

하지만 하단선을 한번만 찌르고 시장이 무너지기보다는 2~3번 이상을 비벼주면서 상승을 보이지 않을까하는...

모두가 같은 방향을 보는건 다른 방향을 의미하긴 하지만, 

한동안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질도 있다는것

반응형
반응형


1. 트럼프 대통령이 토요일날 캐나다와 멕시코 대상으로 25% 점진적 관세를 중국 제품에는 10% 점진적 관세를 부과함.

2. 점진적 관세는 매월 2~5% 씩 관세를 올려 협상력을 강화시키는 관세 부과 방법임.

3. 시장은 이번 관세 부과가 PCE 물가 0.7% 상승과 GDP 0.4% 하락을 야기할거라고 봄

4. 2/3 오늘 아시아시장은 지수가 -2~3% 빠지며 충격을 받음
크립토 시장은 지난 24시간 3조원이 넘는 반대매매가 일어남. 크립토 시장이 지금만큼 커지지 않았다면 그 충격을 증시가 받았을 가능성도 있음.

5. 관세 부과로 인한 2025년 12월 31일 만료되는 소득세 감면법(TCJA)를 연장할 계획임. 연장되면 재정적자는 더 늘어남.

6. 관세를 통한 재정 적자축소는 예상조다 적은데 인플레이션은 상승할 것으로 보임

7. 트럼프의 관세에서 한국이 제일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은 자동차임

8. 바이든 정부 때 한국을 비롯한 나라들은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기로 하며 팹을 짓기 시작한것도 못주겠다는 이야기가 나옴.

9. 관세로 자동차가 피해를 보기 전에 반도체는 보조금으로 협박을 당하는 상황임. 보조금을 받기로 하고 미국에 공장을 짓기 시작한 다른 나라도 대상이 될 수 있음. 보조금을 전부 받았다 하더라도 공장이 미국에 있는 한 트럼프 맘대로 사용인력,임금,자재등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가동률도 마음대로 드라이브할 가능성도 있음.

10. 중국은 트럼프와 관세전쟁을 이미 해봤기 때문에 내수시장을 키워 기초 체력을 올려뒀음. 관세를 맞은것은 보복관세,원자재 수출 통제,위안화 절하로 빠르게 대응할것으로 보임.

11. 관세부과는 시장이 예상한 악재여서 반영이 되어있었으나 최근 딥씨크로 인한 불확실성이 겹쳐 매크로 헤지펀드는 빠르게 자금을 회수했음.

12. 미국은 401k 연금제도로 주식시장과 국민들의 삶이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음. 미국 정부는 주식시장 눈치를 봐야하는 상황임.

13. 중국에는 또 하나의 카드가 있다고 생각함. 중국발 증시 악재 생성임. 중국의 자금력과 언론 규모등을 고려하면 미국 증시에 큰 영향을 주는것도 가능함.

14. 필자는 중국이 관세를 크게 맞겠다 싶으면 주식시장을 불안하게 유지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함.

15. 이에 맞춰 미국은 금융시장에 들어오는 자격을 제한할 수단을 강구하고 발동시킬수도 있다고 봄. ex) 러시아 하지만 이것은 미국 금융시장의 신뢰도를 악화시켜 장기적으로 나쁜 영향을 줄 것임.

16. 트럼프 행정부 시기는 증시를 올리려는 자와 흔들려는 자 간의 싸움이 있을걸로 보임.


 

https://t.me/daegurr/34326

💯똥밭에 굴러도 주식판

앞으로 관세 이벤트는 이런식으로 가끔 공유 하겠습니다. #관세뿐 아니라 주요이슈들은 갠적으로 시간순으로 정리 하는 편입니다.

t.me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딥씨크 영향으로 반도체쪽은 나빴다.

에너지쪽도 나빴던것이 특징. 

금융은 무난, 헬스케어쪽에 꽤나 초록불이다. 

소매도 좋다. 

 

캘리포니아 산불-> 딥씨크로 시선이 이동했던것 같은데 

실제로는 부채한도 협상과 QRA 규모등을 눈치보는 상황과 

BOJ금리 인상이 영향을 준것은 아닐까한다.

 

어차피 설이라 거래도 없었지만 한국은 금융쪽이 뚜렷하게 좋았고

딥씨크 관련해서 네이버도 괜찮았다.


 

1. 반도체 3X

2. 엔비디아

3. 엔비디아 2X

4. 테슬라

5. 테슬라 2X

6. 브로드컴

7. 나스닥 2X

8. 비스트라 (에너지)

9. 나스닥

10. 엔비디아 양빵

11. 이더리움 2X

12. S&P500

13. TSMC

14. SCHD 배당성장

15. 마이크로 스트레티지 2X

16. GEV

17. 리게티 (양자컴퓨터)

18. 세일즈포스

19. OKLO 원자력 테마 스팩주

20. 엔비디아 2X

반응형
반응형

FED인사이트도 정말 잘 읽었는데 좋은 책이 또 나왔다. 

감사히 읽었다. MMF와 양적긴축, 역레포잔고 등으로 2025년의 유동성 환경에 대한 뷰를 

숨김 없이 공유해 주셨다. 

이유있는 Bull 이랄까.

올 해 또 책을 내주실진 모르지만 나온다면 살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관세로 할 수 있는건 다양하다 #달러패권

 

 

 

AI발전에 보안은 항상 화두가 될것

실적으로 이어지는지 보자


반응형
반응형

 

 

트럼프 발언에 장기금리 -0.7%

 

 


https://t.me/hanwhafi/4504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 채권

■ 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경제는 상당한 진전(significant)을 보였음. 2024년 GDP 성장률은 2%를 웃돌 것. 물가도 목표 수준에 매우 근접(much closer to goal)헀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somewhat elevate

t.me

 

■ 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경제는 상당한 진전(significant)을 보였음. 2024년 GDP 성장률은 2%를 웃돌 것. 물가도 목표 수준에 매우 근접(much closer to goal)헀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somewhat elevated) 곳에 위치 


2. 설비투자는 둔화, 주택시장은 안정되는 모습 
 
3. 실업률은 안정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 중. 전반적으로 고용 상황은 균형잡혀 있음(broadly balanced). 고용시장은 물가 자극 요인이 아님 
 
4.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에 큰 변화는 부재(well anchored) 
 
5. 12월 PCE, Core PCE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2.6%, 2.8% 상승했을 것(11월 PCE: 2.4%, Core PCE: 2.8%) 
 
8. 양대 책무 달성 관련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roughly in balance) 
 
9. 연준은 서둘러서 정책을 조정할 이유가 없음(do not need to be in a hurry to adjust policy rate). 앞서 나가지 않을 것(not on preset course) 
 
10. 목표 달성 속도에 맞춰서 통화정책 조정할 것. 현재 통화정책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이며 목표 달성에 있어서도 매우 좋은 곳에 위치해 있음(very well calibrated) 
 
11. 정책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관련 리뷰는 늦여름 즈음 발표할 예정 
 
12. 통화정책의 긴축 강도는 기준금리 인하 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완화(meaningfully less restrictive) 
 
13. 물가의 추가 진전, 고용의 추가 약화를 확인한 뒤 추가로 기준금리 인하할 것 
 
14. 물가 목표 달성에 추가 고용 약화는 불필요 
 
15. 성명서 내 물가 관련 문구 단축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음 
 
16. 현 상황에서 큰 변화가 있기 전까지 정책을 조정하지 않을 것(does not act until seeing much more than we see now) 
 
17. 주거물가는 꾸준하게 둔화될 전망(coming down pretty steadily) 
 
18. 이민자 유입이 감소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보이지만 그 만큼 신규 고용 창출도 감소. 낮은 실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이유 
 
19. 연준 구성원 전원은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금리 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 
 
20. 기준금리는 중립금리를 상당 수준(meaningfully) 상회 
 
21. 관세정책이 미칠 여파, 그 여파의 방향성은 매우 불확실(the range of possibilities for tariffs is very, very wide) 
 
22. 준비금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만 그 규모는 지금도 매우 풍부한(abundant) 수준. 자산 축소 정책은 지속될 것 
 
23. 장기 국채금리 상승은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기인. 정책 또는 물가 관련 기대 때문이 아님 
 
24. 물가가 2%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멈출 필요는 없음 
 
25. 현재 고용 증가율은 둔화. 따라서 기업들의 해고가 증가하면 실업률이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


출처 : https://t.me/daegurr


https://t.me/ehdwl/9390

반응형
반응형

소프트뱅크 그룹, OpenAI, 오라클, MGX가 공동으로 설립한 미국의 인공지능 프로젝트. 자본 투자는 소프트뱅크 그룹, 운영은 OpenAI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Arm 등이 기술 파트너 기업으로 합류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취임식이 열렸던 2025년 1월 21일,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3사는 공동으로 1,000억 달러를 출자하며 2029년까지 최대 5,000억 달러를 투입하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인프라 산업을 구축한다.
의장으로 손 마사요시가 취임했으며, 텍사스를 시작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적극적인 협조와 함께데이터 센터를미국 전역에 지을 예정이다.

#CRM #NOW


#DOGE



 

아마존(AMZN)

4Q실적발표 : 2025/2/6

AWS : Amazon Web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1위 

리테일은 점유율 유지를 위해 영업이익을 낮게 유지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이 현재의 캐시카우다. 

넷플릭스, 크래프톤, 모더나, 삼성전자, 한국투자증권, AMD 등 세계 굴지의 스타트업과 대기업들이 AWS의 고객이며, 인프라부터 시작하여 보안까지 AWS에 의존비중이 매우 높다. 
AWS 서버가 뻑나면 시장에 혼돈이 온다는 말이 괜히 있는 말이 아니다. 
참고로 나무위키의 메일 서버가 이곳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입 인증 메일의 헤더를 까보면 메일 서버 아이피가 워싱턴 D.C.에 있는 아마존 서버로 나온다. 
배틀그라운드 게임 서버도 이곳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트위치 역시 아마존닷컴에게 인수된 뒤로는 AWS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애플의 iCloud도 Google Cloud Platform과 AWS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4Q실적발표 : 2025/1/28

CrowdStrike(CRWD) -4.6%: 예상치 상회한 실적발표;. 다만, 시장 기대치 하회한 가이던스 제시

S&P 500 지수 편입: CrowdStrike( CRWD ), KKR( KKR ), GoDaddy( GDDY )

2024년 7월 19일 블루스크린사태 원인 제공


애버트 래브러토리 (ABT)

4Q실적발표 : 2025/1/22

다양한 복제(제네릭) 의약품/영양제/의료장비 생산&판매.
특허약 부문 -> 애브비로 분리독립
의료광학 -> 존슨&존슨에 매각

영양/진단/혈관관리/당뇨관리/제약 부문으로 나눠 경영. 


카니발 (CCL)

4Q실적발표 :2024/12/20

2024년 1월에는 후티 반군의 무장 행위로 인해 동년도 5월에 예정되어 있던 12척의 크루즈 운행에 있어 홍해를 배제하고 일정을 조정시켰다. 이로 인해 주당 7~8센트 수준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Boston Scientific (BSX)

4Q실적발표 : 2025/02/05

보스턴 사이언티픽(Boston Scientific)이 Bolt Medical을 인수함에 따라 주가가 4.6% 상승했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보스턴 사이언티픽은 혈관 내 쇄석술(IVL) 시장에 진출하고 심혈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Bolt Medical의 IVL 시스템은 음향 압력파를 사용하여 동맥 내 칼슘을 파쇄하는 기술로, 복잡한 석회화 동맥 질환 환자들에게 최소 침습적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보스턴 사이언티픽의 기존 치료법을 보완하며, 심혈관 질환 치료에 있어 중요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GoDaddy (GDDY)

S&P 500 지수 편입: CrowdStrike( CRWD ), KKR( KKR ), GoDaddy( GDDY )

미국의 도메인 관리 및 호스팅 업체이다. 세계 1위 도메인 업체로 2022년 기준 2,100만명의 고객으로부터 6,200만개의 도메인을 관리중.



 

어제부터 리테일섹터가 종종 올라오는 모습이 보인다. 아마도 실적 테마?

성장성으로 쭉 모멘텀을 받기는 어려워 보이는 섹터

AI장세에서 소매 기업의 실적이 긴 테마가 될 수 있을까?


1월과 여름이 금리 하락의 달

반응형
반응형

 

딥시크로 인한 공포는 GPU 업체보다는 전력업체들에 더 악재로 다가왔다. 

GPU 관련해서는 딥시크를 만든 HF가 거짓을 말했다고 하더라도 

미국에 데이터 센터가 그렇게 많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생겼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바보가 아니며 대부분의 경우 돈이 나보다 똑똑함을 인정해야한다.

단순히 딥씨크 문제가 아니라 2/3 예정된 QRA같은 이슈가 유동성에 대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는것이 문제일수도 있다. 

 

 

동의 하고, 돈 많은 사람들도 당연히 알지만

증시가 내린다는건 당분간 아래로 드라이브를 하거나

저가매수를 좀 하겠다는것



AI 악재 발생

반응형
반응형

 

 

엔비디아랑 데이터센터쪽 주식들이 딥시크를 보고 놀라서 하락중이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allbareun/allbareunkr/contents/250125151931156av

 

Quick Take : 중국 딥시크는 미국의 스타게이트를 무너뜨릴까?

안녕하세요 올바른입니다. 좋아요는 리서치에 힘이 됩니다 :) 새롭게 만든 <Quick Take> 카테고리는 기존 글처럼 특정 주제에 대해서 수직/수평적으로 생각을 확장하는 대신, 특정 주제에 대해 짧지

contents.premium.naver.com

 

딥시크 비용절감은 구라. 

투자 심리에는 나쁘지만 결국 엔비디아 칩은 필요


순매수 상위

 

1. 테슬라

2. 반도체 인버스3X

3. 회사채

4. 애플

5. 오라클

6. 팔란티

7. 테슬라 2X

8. 브로드컴

9. 이더리움2X

10. S&P500 

11. 로빈후드

12. 애플 1.5X

13. 테슬라 양빵

14. 나스닥 2X

15. GE버노바

(제네럴 일렉트릭에서 분사되어 에너지 장비 제조를 주업으로 영위중) 


 

1. 테슬라 

2. 반도체 3X

3. 테슬라 2X

4. 리게티컴퓨팅(양자컴퓨터)

5. 엔비디아 

6. 아이온큐 (양자컴퓨터)

7. S&P500

8. 나스닥 2X

9. 애플

10. 반도체 인버스 3X

11. 엔비디아 2X

12. 팔란티어

13. 마이크로스트레티지 2X

14. 브로드컴

15. 마이크로스트레티지

16. 실스크 (양자컴퓨터)

17.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인버스 2X

18. 퀀텀컴퓨팅 (양자컴퓨터)

19.  마이크로스트레티지 2X

20. 비트코인 2X


 

반응형
반응형

미국은 자극 받을것. 데이터 센터가 필요없다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요소가 생겼다.

 




캘리포니아 산불로 인한 실업자 수 증가

 

매파적 인하보다 나은 비둘기적 동결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뭐.. 특별한 일정/소식은 없다. 

지수가 단기간에  5~6%를 반등하면서 피로감을 소화중인데 

차트상으로는 SNP5900 언저리에서 비비면서 쌍바닥 만들고 가주는게 안정적으로 보인다. 

100일정도 빌빌대다보면 100일선이 눕는다. 슬슬 중기 이평선 타면서 올라가줘야한다. 

조정기간동안 신고가 돌파한 종목들은 금융/에너지 섹터였는데 슬슬 2R정도 도달한 종목들이 있다. 

이런 시장 센티에서 산다음 지수 쭉 올라가주면~ 많이 버는데

지수 조정때 혼자 오른 섹터는 지수가 예상 외로 고꾸라 질 때

장대 음봉을 맞는 경우도 있다. 

수익 보존 관점에서 트레일링 스탑 켜두고

쬐금 가지고 있던 금은 팔았는데~

이건 금 전망이 안좋다기 보다는 트럼프 관세 -> 강달러 -> 금하락 -> 안정 발언 -> 금 상승으로 

횡보할걸로 예상하여 트레이딩 하려하는 것이고

이미 채권 때문에 달러인덱스에 노출이 큰지라~ 좀 줄이려한다.

올해는 대충 GOLD 2600~2800 $/OZ 정도의 무빙을 기대하고 있다. 

 

누군가 자세히 분석해 뒀겠지만~ 

오늘 6주 HIGH여도 채권 금리 보면 별 관심은 없는듯 하다. 

산불 끄고 재건까지 꽤 오랜 기간이 걸릴텐데 

실업수당 많아지면 -> 산불때매

적어지면 -> 복구때매(?) 

식의 무빙이 있지 않을까.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하나 줄어든듯하고

이건 채권에는 별로다. 

채권 금리는 상승중.


 

 

PS는 머... 그렇게 되었수다!! 내년에도 잘해보자.

반응형
반응형


큰 변화가 이미 일어났고 진행중이다. 

근소한 차이지만 벌어지기 시작하면 가속화될 것



넷플릭스 4Q24 - 농구천재님

https://blog.naver.com/tosoha1/223734389796

 

ATH 돌파 후 스쾃이 잦다.

엔터테인먼트 특성상 일회성일수있다. 혹은, 의심을 많이 받는다. 

거래량의 유의미한 증가가 없다. 실적시즌마다 튀는 느낌

돌파에 따라붙기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 증시는 오늘 마틴 루터킹 주니어 데이로 휴장이다. 


에너지에 대한 언급이 많이 늘어나는것이 보인다. #CEG

 

내려와라 얍얍... #10Y #트럼프

전통적 업종이 뜬다.


구글의 위험 요소. 

퍼플렉시티써본 사람들은 되게 좋다고 한다. 

GPT도 전용 앱으로 활용도가 높고 구글 제미나이보다 훨 좋은 챗봇이 많다. 

 

내가 제미나이 썼을 때는 프리미엄임에도

옐런만 검색해도 정치때문에 답변안해준다고 하고 계산 시켜도 자주 틀린다.

 

장점은 유튜브 영상으로부터도 정보를 얻는걸로 보인다는거?

뭔가를 "배우는 용도"로는 적합할듯하지만, 다른 챗봇에 비해 아쉽다. 

 

구글 자체로

단점은 직원들 워라벨이 너무 좋아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어보인다는것

장점은 우리가 모르게 양자컴퓨터 TPU등 최신 기술은 미리 다 하고 있다는것.

 

약간 MS 느낌이 좀 있는데 MS보다는 아쉽달까 그게 현재 지지부진한 주가의 원인같다. 

차트로는 변동성 자체가 작지만 컵앤 핸들을 형성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인다.

 

12/10 거래량 동반하면서 돌파해주고 시장에 비해 잘 버티면서 적절하게 눌리고 있다고 보는데

나스닥을 아웃퍼폼해줄 끼가 안보이면 팔 생각이다. 



비트코인은 돌파 거래량이 좀 많이 부족해보인다.

 

솔라나는 아름다운 돌파의 이미지. 멜라니아 코인 나오는 타이밍이 아쉽다. 

한두달 간격으로 해먹었으면 솔라나가 새로운 영역으로 확실히 가줄거같은데, 

지금 분위기는 약간 싸해지는게 높은 변동성은 해소되지 않을걸로 보인다. 

직전 고점까지는 안내려갈거같고, 직전고점부근을 손절선으로 잡고 트레이딩 해보지 않을까 싶다. 

우주로 가면... 보내주는거고.

손실은 관리할수있지만 FOMO는 정신적인것.

FOMO와의 싸움이 진짜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금융 에너지

 

전력기기 변압기 조선

 

 

순매수 상위

1. 반도체 3X

2. 엔비디아

3. 엔비디아 2X

4. 나스닥 3X

5. 리게티(양자컴퓨터)

6. TSMC

7. S&P500(VOO)

8. SERV(로봇,엔비디아투자)

9. 초단기채

10. QUBT(양자컴퓨터)

11. 천연가스 인버스 2X PTP

12. 마이크로스트레터지 2X

13. 마이크로스트레터지 2X

14. 나스닥 (QQQ)

15. 이더리움 2X

 

여전히 레버리지 ETF에 대한 관심도가 많이 높은 모습. 

테슬라가 순위권에 없다는건 이제 팔고 있다는 뜻인듯 하다. 

천연가스 2배 인버스(KOLD)는 의외이다. 슬슬 겨울이 끝나서 그런가.

미국 입장에서는 천연 가스 가격을 올려두어야할 이유가 더 많다.

더 오를거같다. 인버스는 별로.. PTP 종목인것도 큰 단점이다. 

 

 

거래 상위 (매수+매도)

1. 테슬라

2. 아이온큐(양자컴퓨터)

3. 반도체 3X

4. 리게티(양자컴퓨터)

5. 테슬라 2X

6. 엔비디아

7. S&P500 (SPY)

8. 나스닥 3X

9. 실스크(양자컴퓨터)

10. 엔비디아 2X

11. 팔란티어

12. 반도체인버스 3X

13. 마이크로스트레티지 2X

14. 브로드컴

15. 나스닥 인버스 3X

 

K-테마주 매매를 수출해서 국장의 투기판을 그대로 미장에서 하고 있다.

이럴거면 무슨 의미인가 싶다. 아이온큐 주주 29%가 한국인이였다는건 코메디..

 


 

합리적이라는 생각. 여전히 국내 보유 상위에 TMF가 올라가 있는것도 마음이 좀 쓰인다. 

장기금리 6-7%는 어렵겠지만, 5-6%는 재수없으면 볼수도있다. 

근본원인이 해결되지 않는 상황..

변수는 경기침체 뿐



META에는 호재가 되겠네 #인스타그램

 

근데 테슬라가(X가) 인수하면 테슬라가 오르겠지. 


반응형
반응형

 

최근 4년간 가장 의미있는 지표가 아닐까? #NFCI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1161

 

[시사금융용어] NFCI(미국 금융상황지수) - 연합인포맥스

◆ NFCI(National Financial Conditions Index, 미국 금융상황지수)는 파악하기 어려운 금융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참고하는 지표다.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구성하는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가운데

news.einfomax.co.kr

 

◆ NFCI(National Financial Conditions Index, 미국 금융상황지수)는 파악하기 어려운 금융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참고하는 지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구성하는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가운데 시카고 연은이 매주 발표한다.

시카고 연은은 105개 금융시장 지표를 활용해 NFCI를 산출한다. 자금시장이나 부채 및 주식시장, 전통적 은행 시스템뿐 아니라 그림자금융까지 미국 금융상황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1년부터 현재까지 평균을 제로(0)로 설정하고 이보다 높으면(양수) 금융 상황이 긴축적임을, 낮으면(음수) 완화적임을 의미한다.

지난 17일 기준 NFCI는 마이너스(-)0.56222를 기록하고 있다. 1년 전 -0.25 수준보다 마이너스 폭이 확대된 것이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도 불구하고 금융 상황은 오히려 완화적이라는 의미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NFCI

 

Chicago Fed National Financial Conditions Index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Chicago   Release: Chicago Fed National Financial Conditions Index   Units:  Index,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Weekly, Ending Friday Notes: The Chicago Fed's National Financial Conditions Index (NFCI) provides

fred.stlouisfed.org




1800% 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테슬라 팔아서 사오나? #틱톡

 



소매판매(Retail Sales)는 소매 단계 총 판매액의 인플레이션 조정치 변동을 측정합니다. 전체 경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이며, 낮은 경우 부정적임을 의미합니다.


 

25년의 추세도... #조선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

.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채권에는 트럼프 공포 심리가 반영된것이 대부분이며 

CPI 헤드라인 4.0% 넘어가는걸 보면 파는게 맞는 판단이다. 

12월 물가가 높게 나오는 계절성 존재하여 물가 우려는 잠시 안도할 수 있게 되었다

2/3-2/5 재무부 QRA까지는 옐런이 재무부 장관이기 때문에 민주당의 똥뿌리기는 쉽게 안심할 수는 없다. 

 


금융시장에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이런 데이터를 가진 사람들과 싸워야한다. 

 


Fear Greed Index와 대체로 비슷해서 뭐,,, 다행이다. 

 

지금 나오는 불안한 뉴스들을 무시하고 생각해보면, 

S&P500 지수는 장기 이평선에 거의 닿았고 Fear Greed Index도 저점부근에서 꽤 오래 머물렀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먼가 그랬던거 같다. #계절성


PPI는 일단 안정.. 시장은 별로 믿는눈치는 아님. #10Y

 

 

보라색이 어제 그어둔 줄. 예상보다 빠른반등이긴 한데 추세를 돌리는 느낌은 아님. 

시장에는 여전히 불안한 센티가 있고 20-50 데드크로스 컨펌됨. 

올 한해 마무리가 어떨까 한다면 상승으로 보기 때문에

조정구간같음. 

 


달러포퓰리즘 #통화가치 하락

 

그럼에도 진짜 돈은 달러..



 

엔화에 포트를 일부 배정하는것도..! #2621

반도막은 좀 심하다.

 


비트코인은 새로운 채널을 만드는 상황 - 매수타점은 채널하단, 반절후 채널 상단 돌파시 재매수 #비트코인


https://www.ddaily.co.kr/page/view/2025011414415921114

 

엔비디아, 美 AI칩 추가 수출규제 조치에 반발…"미국 리더십 약화될 것"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www.ddaily.co.kr

AI 는 국가 방위력에 관한 사안이 되었음. 

미국 내수가 아무리 강해도, AI 가 기술 혁명이여도

수출 통제는 실적 성장에 의심을 받고 있는

엔비디아와 칩메이커들에 악재임.


https://marketin.edaily.co.kr/News/ReadE?newsId=03388246639120488

 

버크셔해서웨이, 지난 사흘간 옥시덴탈 890만주 매수

워런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가 현금비중을 최대로 늘리는 사이 옥시덴탈 페트롤리움(OXY)를 매수한 것으로 알려졌다.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는 전일 늦게 규제당국에 서류

marketin.edaily.co.kr

 

위대한 메사끼의 마지막 배팅은 석유회사.. 현재 유가는 저점을 다지고 올라가려는 모양세

석유 기업을 다시 볼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