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게시물은 투자권유 ,추천이 아닙니다. 보수적이고 논리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판단의 과실은 본인에게 있으며 해당 게시글은 작성자의 사견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사지 마세요 그냥 일기장입니다.

 

 

  배당률 배당락 월 보유자산 위험도 바텀 현재가 기대위험(%) 목표가 기대이익(%) 손익비
NH프라임리츠 12.01 6,12 서울스퀘어, 서울권 큰 사무빌딩 3800 4495 15.46162403 6000 45.49165 2.942229
SK리츠 6.4 3,6,9,12 SK그룹사 오피스, 주유소 3800 4975 23.61809045 7000 47.10352 1.994383
KB스타리츠 8.64 1,7 삼성전자 오피스  3500 4350 19.54022989 6000 46.57103 2.383341
신한알파리츠 12.72 3,9 판교 등 여러 회사가 있는 큰 사무빌딩 6000 6500 7.692307692 7500 28.10462 3.6536

 

 

투자 아이디어

 

1. 금리 인하로 배당 매력 증가. 

2. 부동산 PF, 경기 둔화 선반영

3. 기관 매집세 

4. 배당및 시세 차익. 대부분 2022년 상장하여 업사이드가 어디까지인지 확인 안된 상황

 

투자 위험

 

1. 경기침체 우려. 위험도 상으로 표시한 리츠들의 공실 우려, 여기 써놓지 않은 리츠들의 공실우려 및 부실화-심리 악화

2. 주식시장 변동성

3. 부동산 PF리스크 연관 우려

4. 배당 삭감으로 인한 기대이익 감소

 

 

 

 

반응형
반응형

어제부터 외국인 유의미한 매도 전환 외국인 롱포지션 손실 

 

어제 오늘 해서 외국인 매도세가 강한 상황

 

2-5년물, 5-7년물 국채 입찰결과가 시원찮아 시장 조정.

 

이에 따른 환율 연일 상승.

 

6월 공매도 재개 

 


[생각정리]

 

PCE발표 직후 블랙아웃 기간으로 이번  PCE에 대한 시장의 해석이 블랙아웃기간동안 투자심리를 약화시킬걸로 전망.

 

다만 국채 수익률은 저번과 비슷하게 4.8 위협할 때 구두개입

원달러, 엔달러 환율 상승시 국가의 구두개입있을것으로 예상. 

블랙아웃기간동안 코스피 2600 정도 중심으로 위아래 횡보할것으로 예상. 

 

PCE발표전까지 관망

 

발표 후 단기적으로 2550 위협하는 날 기술적 반등에 대비.

 

작년 과열국면에서 신용 공여 잔고 20,500,000 수준.

현 수준 19,633,248 으로 하루 평균 40,000 증가 가능으로 예상했을 때  21일 더 증가 가능

때문에 PCE결과 좋게 해석되는 경우 20일 간 에너지 더 남았을 가능성 열어둠. 

 

보통 코스피 작은 파동 조정국면은 15일 정도, 오늘 10일정도 지났으므로 안전한 판단은 5일 더 기다리기

 

현충일 까지 쉬고 공부하면서 시장 관찰

 

 

반응형
반응형

중국 신용 자극 지수 = (중국 신용창출 규모) / (중국 GDP)

 

쉽게는 중국의 투자 규모이며 

글로벌 유동성을 6개월정도 선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https://en.macromicro.me/charts/35559/china-credit-impulse-index

 

 

 

https://fred.stlouisfed.org/series/PSAVERT

 

Personal Saving Rate

Source: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Release: Personal Income and Outlays   Units:  Percent, Seasonally Adjusted Annual Rate Frequency:  Monthly Notes: BEA Account Code: A072RC Personal saving as a percentage of disposable personal income (DPI),

fred.stlouisfed.org

 

 

https://www.gurufocus.com/economic_indicators/6168/fed-net-liquidity-

반응형
반응형

2023/1/26~

 


2018/12/19~2019/1/30


2006/1/29~2007/9/17

나스닥


10년물 수익률

 

 

나스닥

10년물 수익률

반응형
반응형

2001년

2001년 1월 3일 -0.5%

2001년 1월 31일 -0.5% 

2001년 3월 20일 -0.5% 

2001년 4월18일 -0.5% 

2001년 5월 15일 -0.5% 

 

2001년 6월 27일 -0.25%

2001년 8월 21일 -0.25% 

 

2001년 9월 17일 -0.5% 

2001년 10월 2일 -0.5% 

2001년 11월 6일 -0.5% 

 

2001년 12월 11일 -0.25% 

 

2002년 11월 6일 -0.5% 


2007년

2007년 9월18일 -0.5%

2007년 10월31일 -0.25%

2007년 12월11일 -0.25%

2008년 1월22일 -0.75%

2008년 1월30일 -0.5%

2008년 3월18일 -0.75%

2008년 4월30일 -0.25%

2008년 10월8일 -0.5%

2008년 10월29일 -0.5%

2008년 12월16일 -0.75%


2019년

2019년 1월31일 -0.25%

2019년 9월18일 -0.25%

2019년 10월30일 -0.25%

2020년 3월3일 -0.5%

2020년 3월15일 -1.5%

반응형
반응형

 

 '회의 2주일 전 토요일부터 회의가 종료된 주의 목요일'까지 연준 위원들의 공개 발언과 인터뷰를 제한한다.

 

곧 이 기간이 다가오기 때문에 최근 미국 지수와 비교한 자료를 만들어 본다. 

FOMC 블랙아웃 기간표, 비교차트는 게시글 아래에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일부 사실과 함께 그냥 한가지 의견! 이 담겨있습니다.

읽어주시는 분이 있다면 어떤부분에서 생각이 다른지 비교해보면서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미국 증시는 이 기간동안 /상승 하락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는 찾아보기 어려운거 같다. 

약간의 방향타가 되는 느낌? 하지만 23.4~24.4 데이터를 봤을 떄는 느낌일 뿐이였다. 

 

다만 채권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보이는데 바로 이 기간동안

가격이 횡보할 확률이 높다는것이다. 또한 10월 black out 기간 이후 반등세가 주식보다 약간 좋았다. 

 

만약 2분기가 작년 3분기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면 

 

매매 평균 단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관점에서

 

미국 장기채를 매수/매도 하기 좋은 시점은 Blackout 기간으로 보인다. 


현재 반영된 내용. 

인플레이션은 4월은 당연히! 3월대비 높게 나올거 같다. 유가도 3월대비 4월 평균이 높은 상태고

3/26 볼티모어 교량 붕괴도 아직은 얘기가 많이 안나오지만, 4월의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다. 

이런 4월 CPI,PCE를 받아본 채로 6월에 FOMC회의에 들어갈것이다. 

 


2분기 단기채 발행 감소 예고, 이에 따른 상대적인 장기채 발행 증가가 예상 되는 상황속에서 

10년물이 현 4.65% 수준을 넘어 5%를 위협할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한다. 

10년물 장기채 수익률이 5%가 되는것은 미국 국가관점에서도 원하지 않는 상황으로 보인다. 

 

얼마 안남은 4/20~5/2 구간 장기채 수익률 변동이 좀 줄어든다면 이에 따라서 증시도 일단은 반등하는 구간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다. 


 

이번 FOMC 논의 시점에 10년물 수익률이 4.8% 위쪽 구간에 있다면 이를 의식해서 장기채 수익률 하락을 만들기 위한 발언 (ex. 금리 인하 시점 다시 약간 당기는 발언, 장기채 발행계획 줄이는 발언 등..)이 나오지 않을 까 싶다. 


장기채의 추가적인 변곡점 구간 도달.

 

시나리오 A. 부채의식하여 장기채 수익률 낮추기 위한 노력을 한다. 

금리 인하 시점 다시 약간 당길수 있다는 뉘앙스의 발언/ 장기채 발행 계획 축소 등..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 줄것이다. 

 

시나리오 B. 인플레이션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금리 인하 어렵다고 계속 발언하고

10년물 금리5% 이상을 허용하는 경우 9월 부채 한도를 의식해서라도 더욱 허리띠를 졸라 매야하는 상황이되어 

추가적인 유동성 축소로 증시 조정을 6월 FOMC 까지 한차례 더 겪을 수 있다.

 

전략 : 자신이 맞다고 생각하는 시나리오에 맞춰 Blackout 기간에 장기채 숏/롱 일부 모으고, FOMC 발언에 맞춰 추세 매매 한 후 다음 Blackout 기간에 정리.


달러의 구매력을 높일 수록 유가는 상대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에 미국 입장에서는 한동안 달러 강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만약 달러를 가지고 있다면 섯불리 전량 원화로 바꾸기 보다는 천천히 대응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나스닥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미국채 10년물 가격(수익률 지수 Y축 반전)

 

 

10년물 채권 수익률지수

 

2024

 

2023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