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aily 일기+인사이트 Weekly 이벤트 정리

경제 일반/필수 경제 용어 정리13

미국 셧다운, 셧다운의 역사와 주가 최근 셧다운으로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9/29 기준으로 아직 셧다운이 일어난 것은 아닙니다. 글 읽기 전 요약부터 보겠습니다. 1. 9/29 기준 셧다운 일어난 것은 아니다. 2. 셧다운이란,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해서 일부 국가 기능이 마비되는 것이다. (돈이 없으면 일을 할 수 없기 때문) 3. 이번 예산안에는 미국 부채 한도 유예에 대한 내용이 있다. 4. 미국의 회계년도가 9/30 기준이기 때문에 부채한도가 유예되지 않을 경우 미국이 부도가 날 우려가 생긴다. 오늘은 셧다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10927/109435005/1 美 ‘국가부도 위기’ 전세계 긴장…이번주 법.. 2021. 9. 29.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TPP와의 관계 RCEP은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말하며 동아시아, 태평양 국가들 간의 무역협정입니다. 규모로는 세계 최대 규모입니다. 2011년에 처음 구상되었고, 2020년 11월 15일 기준으로 15개국이 동의하여 발효되기까지 약 9개국의 비준 동의 절차가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이르면 2022년 발효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목차 RCEP 이란? 인도는 가입에 소극적인 상태입니다. RCEP은 완전한 FTA(자유무역협정)은 아닙니다. 이유는 한중일 때문! 한국 입장에서 RCEP의 경제규모 RCEP 협정의 챕터 구성 눈여겨 확인해 볼 것 : TPP와의 관계. 미국은 RCEP에 적대적입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RCEP과 TPP에 둘 다 가입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본다고 합니다. RCEP 이란? RCEP는 아세안 10개.. 2020. 12. 3.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금본위제도와 변동 환율제도 금본위제의 정의 금본위제란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 관계를 유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금본위제 국가의 화폐는 정해진 양의 금과 교환할 수 있다."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1993년 순금 1온스(28.35g)의 가치는 391.20달러였고, 이 말은 1993년 당시 미국이 391.20달러를 찍어내고 싶다면, 그 돈과 바꿔줄 순금 1온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왜 금본위제를 알아야 하나? 금본위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변동 환율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 꼭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변동 환율제도를 이해해야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돈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돈은 왜 "가치"를 지닐까요? 이 질문은 생각보다 단순한 질문이 아닙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2020. 12. 1.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국채 국채란 중앙정부가 자금조달이나 정책집행( 학교짓고 다리세우고 도로깔고 등 )을 위해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채무증서를 말합니다. 쉽게말해, 나라가 돈빌려가고 갚겠다고 주는 증서입니다. 국가의 국가신용등급을 바탕으로 발행의 한도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한 국가에서 제일 안전한 재산으로 여겨집니다. E나라지표에 국채금리를 쳐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이제 용어를 설명해보겠습니다. 국고채 : 국고채=국채랑 같은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다 정확히 하자면 국채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종류의 국채이다. 00물 : 국고채는 만기가 1년, 3년, 5년, 10년, 20년물이 있는데, 만기를 의미한다. 3년물 : 보통 3년물을 장기금리의 시작이자 대표로 본다. CD 91물(평균) : CD 금리 평균을.. 2020. 11. 14.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국가신용등급 국가신용등급은 한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하는 신용도로 한 나라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국가의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신용기관은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와 무디스(MCO), 영국의 피치 레이팅스(피치) 3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스탠더드 앤 푸어스 무디스 피치레이팅스 각 신용평가기관마다 주는 등급의 문자가 다르지만, A는 많을수록, -보다는 +가 당연히 좋습니다. 국가 신용도가 개인이나 기업에 미치는 영향 가산금리가 낮아지면서 기업이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비용이 감소하게 됩니다. 대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이미지가 좋아지면서 수출 증대 등 민간기업에도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미치게 됩니다. 또 해외투자자들.. 2020. 11. 14.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공매도. 공매도 만화로 쉽게 설명하기. 개인이 공매도 하는법 공매도 ( 空 賣 渡 , short stock selling) 자본주의가 만든 창의적인 발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팔고, 나중에 그 물건으로 다시 사서 갚는다"가 공매도의 기본 개념입니다. 목차 1. 공매도 만화 2. 공매도의 특징 3. 영화 빅쇼트와 공매도 4. 개인이 공매도를 할 수 있는 방법 보통 주식거래나 금융거래에 익숙지 않은 사람들에게 공매도를 소개하면 이해하기 힘들어합니다. 실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종류의 거래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쉽게 만화를 통해 설명해보겠습니다. 1. 공매도 만화 여기 짱구가 있습니다. 짱구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짱구는 초코비라는 과자를 아주 좋아합니다. 초코비를 매일매일 먹는 짱구는 초코비가 부족하지 않도록 엄청나게 많은 양을 .. 2020. 11. 14.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공급탄력성, 수요탄력성(가격탄력성)+예시 공급의 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의 변화율을 말한다. 공급 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 가격이 20% 올랐는데, 공급은 10% 밖에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위 식을 이용해 계산하면 공급 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 = 0.1 ÷ 0.2 = 0.5 공급탄력성은 0.5가 된다. 공급탄력성이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수요 탄력성(가격탄력성)은 가격변화율에 대한 수요변화율의 비율을 말한다. 수요탄력성 =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수요 탄력성이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탄력성(가격탄력성)생필품비탄력적사치품탄력적대체제가 없는 품목비탄력적대체제가 있는 품목탄력적생필품은 가격이 아무리 오르더라도 수요의 변화.. 2020. 11. 13.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공공재, 마포대교는 무너졌냐? 공공재는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경제학에서 공공재란 비경합적(nonrivalrous)이며 비배제적(nonexcludable)인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비경합성(nonrivalrism) 재화·서비스의 소비 과정에서 경쟁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한 사람이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소비분이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일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넉넉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배제성(nonexcludablity) 재화·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치르지 않은 사람을 소비 활동에서 배제할 수 없는 특징을 말합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경합성 배재성 예시 사적재 ( Private goods ) X O 입장료를 받는 공원, 유적지,.. 2020. 11. 12.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 골디락스(Goldilocks)는 ' 적당한, 이상적인'을 의미합니다. "골디락스"라는 단어는 영국의 동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골디락스 경제는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입니다. 1990년대 미국 경제가 과도한 인플레이션 없이 안정적인 경제 성장세를 보이자 미국 언론에서 당시 경제 상황을 골디락스 경제로 부르기 시작한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이후 2004년 중국이 고성장에도 불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자, "중국 경제가 골디락스에 진입했다"고 영국의 언론사가 보도하여 이 말이 더 널리 알려졌습니다. 왜 골디락스라는 말이 들어가는가?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라는 영국 동화가 있는데, 주인공 소녀의 이름이 골디락스이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줄거리.. 2020. 11. 12.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경상수지. 정의/구성/환율 경상수지 ( current account ) 우리나라가 경제적 활동을 하여 발생한 수지타산을 말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의 거래에서 흑자인지 적자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값입니다.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인데, 경상수지의 정의와 구성, 환율에 미치는 영향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른나라와의 거래는 수출과 수입을 말합니다. 경상수지와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경상수지 = 수출 - 수입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정의는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다른나라들과 하는 경제활동은 무역활동만 있는것이 아닙니다. 정확하게 경상수지는 국가 간 거래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 생산 요소 거래 등으로 '수취한 외화'와 '지급한 외화'의 차액을 말합니다. 국가 간의 외화 거래가 이루어질만.. 2020. 11. 12.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경기 종합 지수 경기 종합지수는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가공·종합하여 지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영어로 CI (Composite indexindex)라고 한다. 1983년 3월부터 통계청에서 매달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개별 구성지표의 경기 전환점에 대한 일치성 정도에 따라 선행 종합지수(leading) 동행 종합지수(coincident) 후행 종합지수(lagging)로 나눈다. 통계청에서 매달 지수를 산출해주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조회할 수 있다. 통계청 경기 종합지수 조회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 그래프/통계표 ○ 그래프 - 경기종합지수 추이 통계청「산업활동동향」 추세치=100을 기준으로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하면 추세이상의 성장을 하고 .. 2020. 11. 11.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동향지수는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 파악하기 위해서 만든 지수이다.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다. 대표적인 지수로는 디퓨전인덱스 ( diffusion index:DI )가 있다. 경기종합지수 ( CI ) 와 다름으로 구분해서 알아야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이다. 산출방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산출 방식의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수는 70%로 나타난다. 만약 경기동향지수가 기준선인 50보다 크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보다 작으면 수축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경기종합지수를 .. 2020.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