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동향지수는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 파악하기 위해서 만든 지수이다.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다.
대표적인 지수로는 디퓨전인덱스 ( diffusion index:DI )가 있다.
경기종합지수 ( CI ) 와 다름으로 구분해서 알아야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이다.
산출방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산출 방식의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수는 70%로 나타난다.
만약 경기동향지수가 기준선인 50보다 크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보다 작으면 수축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경기종합지수를 더 자주 사용하고 경기동향지수는 이론적인 수치에 가깝다.
산업통계 분석시스템(ISTANS)
istans.or.kr
추가로 위의 사이트에서 경기종합지수를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경제 일반 > 필수 경제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공공재, 마포대교는 무너졌냐? (0) | 2020.11.12 |
---|---|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 (0) | 2020.11.12 |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경상수지. 정의/구성/환율 (0) | 2020.11.12 |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경기 종합 지수 (0) | 2020.11.11 |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가산금리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