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aily 일기+인사이트 Weekly 이벤트 정리
투자(2025)/Weekly

W14 (2025) ▼ 투매의 시작

by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 자에게 있습니다. 2025. 4. 6.
반응형

다음주 시장 예상.

 

월,화 미리 엎드리는 아시아 시장부터 약간의 반등. 미국시장은 전약후강 양봉을 달지만 상승세는 제한될것. (중국,유럽과 협상 지연 예상) 4/9 관세부과는 수정된 상태로 발효(엎드린 나라 인하). 10Y 금리 횡보, S&P500 약상승, BTC 약상승(주식시장 저가매력에 상승 제한), JPY 상승 (상대적 무역흑자 감소 완화)


나의 심리

 

채권 강세장 너무 빨리 끝날까 우려 + 욕심

시장이 너무 빨리 안도하면 매수 타이밍 놓칠까 우려

경기 우려로 인한 QT종료 기대

시장은 현재 하락 2단계 끝에 있다고 생각함 (모두가 나쁘게만 생각함)


시장 심리

청산으로 인한 추가 하락 우려 


긍정요인 : 달러강세는 관세 인플레 반영 늦춤. 관세는 미국 부채 개선. 엎드리는 나라 바로 나옴(베트남 인도)

 

부정요인 : 아직 원하는 바 못이룸 (상호 0% 관세)

 


 

나의 불안은 "시장이 너무 빨리 안도하지는 않을까? 채권 강세가 금요일의 변동성으로 인해 너무 빨리 종료되는건 아닐까"이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시장은 쉽게 안도하지 않을것이며 채권 강세는 금요일의 변동성을 시작으로 꽤 이어질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수가 바라는것도 시장의 빠른 반등일테니 채권 강세는 한동안 이어질것으로 생각한다. (내가 팔고 싶어졌으니까..)

 

레버리지로 포지션을 잡는 헤지펀드들이 주식시장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마진콜을 받고있으며 금과 엔화를 팔아서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다.

마진콜이야 당할수있겠지만 

 

그들이 최근 풋옵션을 샀던 양이나 고점에서 횡보할 때 덜어낸 물량을 생각하면

청산되는 하우스는 일부에 그칠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시장의 이번 하락으로 인해

금융리스크를 걱정하는것 과도하다고 본다. 

 

일부 긍정론자들이 트럼프가 (미국)장중에 4/9 관세 발효를 유예할 것으로 보고있다. 워낙 말을 자주 바꾸는 사람이고 

중국의 34% 관세에 대해 약간은 협상의 여지를 남기지 않을까하는 기대심리이다. 

 

https://addsmile.tistory.com/299

 

[250224] 장기채 매수 의견 늘어남. 엔화 움직임이 좋아보인다.

장기채에 대한 매수 의견이 급 많아지는게 보인다.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

addsmile.tistory.com

트럼프의 정책 7단계
1. 무리한 요구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2. 위협과 압박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3. 보여주기식 행동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4. 협상 - 협조에 대한 호의적 태도 제시 -> 달러 약세 / 금리 하락 / 주식 상승
5. 협상 중단 & 위협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6. 극적화해와 재협상 -> 달러 약세 / 금리 하락 / 주식 상승
7. 최종 합의 대대적 흥보

3번까지 완료된듯하다. 

 

4 협상에 대해서는 금요일에 있었던 베트남,인도를 필두로 

협상하는 국가들이 나올 듯하다. 

아마도 일본또한 발빠르게 엎드리지 않을까 싶다.

따라서 돌아오는 주는 중국과 유럽을 제외한 (유럽은 콧대가 높은 느낌이 있다.)

베트남, 인도, 일본(추정), 한국(일본에 이어서 할것이고 이*명씨가 ~~해야된다 소리를 해댈듯하다.)

을 필두로 관세 협상이 시작될걸로 본다. 

그리고 다들 협상이 안전하게 이뤄지는듯 할 때 쯤 무리한 요구를 또 할것으로 본다. 

 

중국은 희토류를 담보로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차주에 그린란드에 대한 얘기가 나올듯하며 이것이 계속해서 유럽과의 갈등을 자아 낼것으로 

중국과 유럽은 협상이 오래걸릴듯하다.

 

러시아는 이 틈을 타 우크라이나를 먹기 위해 더욱 노력하며 전쟁 노이즈도 커질듯하다.

미국의 우방이 없는 상황이 마지막으로 공격할 타이밍이 아닐까?

 

FOMC는 5월 초에 예정되어있으므로 채권시장은 기대감을 이어나갈 가능성도 보인다.

특히 경기침체로 인한 QT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클것으로 본다.

허나 연준은 한번 더 신중할 듯하여 실제 조치는 별거 없으나

말로는 시장을 안도시키려 할걸로 보인다. 이는 금리하락과 주식시장 상승을 만드는 복합 요인으로 본다.


10Y 금리 하락은 내 예상보다 급격했고 

주식시장 하락또한 그랬다. 방향은 맞췄다.

금은 주식시장 하락에 의해 자금이탈이 있는듯 보였던게 예상과 다르다.

은과 구리의 하락은 훨씬 심한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REAL이란걸 보여준다.

BTC가 하단을 지지하는게 신기하다.


 


2025/3/29~2025/3/30 주말

트럼프 "(푸틴 발언 "젤렌스키는 우크라이나에 해로운 사람") 화가 나고 실망스럽다."
중국, 경기 부양 위해 국유은행에 690억 달러 유동성 공급
일본, 암호 화폐를 공식 금융상품으로 인정할 계획

 

BTC -2.07, -0.33%

 


2025/3/31 월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 백악관 로즈가든 행사에서 상호 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대변인은 이 발표가 “국가별” 관세를 중심으로 할 것이라고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특정 분야에 대한 관세 부과에도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10Y(가격)  +0.94%

S&P500 +0.55%

FGI 19.29

BTC -0.2%

GOLD +1.25%

JPYUSD -0.1%


 

2025/4/1 화

23:00 3월 ISM PMI
실제 49 예상치 49.5 이전 50.3
3월 ISM 물가
실제 69.4 예상치 64.6 이전 62.4

23:00 2월 JOLTs 구인건수
실제 7.568M 예상치 7.690M 이전 7.762M
일괄적인 보편관세 적용할 지, 국가별 차등 관세 부과할 지 알려진 바 없음. 
장 마감 후 WSJ 찌라시 " 미국무역대표부(USTR)이 세번째 관세 방안 준비중인데 일부국가들 위주로 20% 이하다)

 

10Y (가격) +1.19%

S&P500 +0.38%

FGI 15.63

BTC +3.17%

GOLD -0.31%

JPYUSD +0.23%


 

2025/4/2 수

주식시장 마감 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Make America Wealthy Again’을 주제로 연설을 진행하며, 전면적인 관세 정책을 발표함.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나쁜 무역국’에 대해 국가별 맞춤형 관세를 추가로 적용. 중국 54%, 베트남 46%, 유럽연합 20%, 일본 24%, 대만 32% 등 고율 관세 부과 예정. 캐나다와 멕시코는 USMCA 조건을 충족할 경우 일부 면제됨. 백악관은 국가 안보와 경제 안보를 이유로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해당 조치를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하여 시행할 계획.

미국 정부는 2025년 4월 5일 0시 1분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 기본관세를 공식 발효예정.
이는 대부분의 국가와 품목에 적용되며, 캐나다와 멕시코 등 일부 국가만 예외입니다.
또한, 이 상호관세는 2025년 4월 9일 0시 1분에 발효예정.
2단계 관세로 '최악의 침해국'으로 분류된 약 60개국에 대해 상호관세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한국은 이에 따라 25% 상호관세율이 적용됩니다.

발표 이후 시간외거래 및 선물 -3% 이상 급락.
베센트 블룸버그 인터뷰

2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어떤 국가도 당황하지 말라고 조언하고 싶다"며 "보복하지 않는 한 이번 상호관세율이 상한선이기 때문에 나라면 보복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관세율은 상한선이기 때문에 트레이더들은 안심해야 한다"며 "시장은 보복이 없는한 이 수치가 상한선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여러 설문조사에서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해 어두운 전망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비관론이 소비자들의 결정을 좌우하지는 않는다고 했다.
그는 "우리는 미국인들의 심리 조사를 보고 있지만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OPEC+가 4월4일(현지시간) 열릴 예정인 온라인 회의에서 5월부터 예정된 월간 증산 계획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 회의는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등 8개 주요 산유국 장관들이 참여하는 소규모 온라인 협의체로, 지난 2022년 대규모 감산 결정 이후 시행 중인 단계적 증산 조치의 2차 이행 여부를 논의한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OPEC+ 8개 회원국은 오는 5월부터 하루 13만5000배럴(bpd, barrels per day) 증산에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22년 이후 약 580만 bpd에 달했던 감산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계획의 두 번째 월간 증산분이다. 즉, OPEC+는 ‘시장 불안정 회피’와 ‘공급 확대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속도조절형 증산 전략을 택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한편 일부 회원국이 기존 생산 할당량을 초과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번 회의에서는 추가 감산 권고안도 함께 논의될 전망이다.
보도에 따르면, 회의에 앞서 감산 초과국에 대해 보정 감산을 단행할 것을 요구하는 논의가 비공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전체적인 증산 기조를 흔들지 않으면서도 내부 생산 질서 유지와 시장 신뢰 확보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OPEC+는 2022년 이후 총 5.85백만 bpd(하루 약 5.7%의 글로벌 공급량) 감산을 유지해왔으며, 국제 유가 하락과 경기둔화 우려에 대응해 증산 계획을 매우 신중히 관리하고 있다.

 

10Y(가격) +0.82%

S&P500 +0.67%

FGI 18.64

BTC -3.15%

GOLD +0.8%

JPYUSD +0.2%


2025/4/3 목

트럼프, "시장의 매도세는 예상하고 있었다. 관세 시행은 환자가 수술을 받는 것과 같은 과정이다. 다른 국가들이 '대단한' 제안을 가져오면 관세 협상에 나설 수 있다."

 

22:45 3월 서비스 PMI
실제 54.4 예상치 54.3 이전 51.0

 

10Y +2.16%

S&P500 -4.84%

FGI 6.04

BTC +0.8%

GOLD -0.76%

JPYUSD +2.24%


 

2025/4/4 금

트럼프, 중국과 관세 협상 관련하여 "환상적인 조건 제시 시 협상 가능" TikTok 매각 조건으로 관세 완화 고려 언급. 시장 반응에 대해 "예상된 반응이며 시장은 곧 반등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이 잘못 대응했다. 그들은 패닉 상태"라며 "감당할 수 없는 일을 저질렀다"고 평했다. 그는 관세 여파로 흔들린 시장과 관련 "내 정책들은 결코 달라지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투자자들에게 "부자가 될 기회다. 지금 미국 시장에 투자한다면 어느 때보다 큰돈을 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내리기에 완벽한 시점"이라며 파월 의장에게 "정치를 중단하고 금리를 인하하라"고 촉구했다.
중국, "오는 10일을 기해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고했다. 34%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틀 전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책정한 관세율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4/4 경제 전문기자 협의체 SABEW 연례총회에서 트럼프 2기 관세 인상 규모가 예상보다 크다고 지적하면서 "관세가 향후 수분기 동안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신규 데이터와 전망 변화, 위험 균형 등을 충분히 지켜본 후에 통화정책 조정을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확인했고, 연준 풋(Fed Put)을 기대했던 시장은 낙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자국의 대(對)미국 관세율을 인하하겠다면서 협상 의사를 밝혔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람 서기장은 통화에서 "만약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그들은 관세를 제로로 낮추고 싶다"고 말했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밝혔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대표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면서 "가까운 미래에 만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인도는 70여 개 품목에 대한 기본관세를 인하하며 미국과의 갈등 완화를 시도하는 동시에,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탈중국 기업 유치와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노린 전략을 펼쳤습니다.

2025·26년 예산안에서 섬유, 화학, 자동차 등 75개 품목의 관세를 인하했으나, 실질적으로 관세가 낮아진 품목은 대미 무역흑자가 큰 38개 품목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이는 인도가 기존의 높은 관세 정책에서 벗어나 이례적으로 관세 인하를 확대한 조치로 평가됩니다.

미국은 인도의 10번째 무역적자국이며, 인도는 미국의 최대 수출 시장 중 하나로, 2023년 기준 대미 수출이 758억 달러에 이르고 대미 무역흑자는 45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번 조치를 상호관세 위험 감소, 미국과의 국방·기술 협력 강화, 그리고 중동 운송 네트워크 확대 등 전략적 판단으로 분석했습니다.

 

10Y -0.94%

S&P500 -5.97%

FGI 4.24

BTC +0.83%

GOLD -2.47%

JPYUSD -0.66%

 


 


 

월화수 SOXL 물린 사람 매우 많을걸로 예상. 

하락 도중에도 엔비디아 테슬라 추가매수 많음.

나스닥 3배 숏도 많았으나 이마저도 다음주에는 흔들릴듯함.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권유&리딩이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사실관계 보장 안됩니다.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