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aily 일기+인사이트 Weekly 이벤트 정리
투자(2025)/Daily

[250224] 장기채 매수 의견 늘어남. 엔화 움직임이 좋아보인다.

by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 자에게 있습니다. 2025. 2. 24.
반응형

 

 

장기채에 대한 매수 의견이 급 많아지는게 보인다. 


 

 

이 글의 모든 내용이 투자 추천 & 권유 & 선도가 아닙니다.  책임지지 않습니다. 일기장 같은 글입니다. 사실관계 보장 안 됩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자에게 있습니다.언급되는 자산들은 이미 매수하거나 매도했을 수 있으며 언급 없이 매수/매도가 추가로 이뤄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1. 장기채 매수 (성장 둔화)

2. 현금보유

3. 고평가 주식 숏

4. 금 매수 (스태그플레이션)


현재는 장기채 매수가 유리한 환경. (프리미엄 약 0.6%이상으로 추정)

25년도 하반기에 이러날 것으로 보이는 일

1. SLR 규제 완화

2. QT일시적 중단 ( QT=연준의 채권 매도) 

3. 관세 협상 카드로 채권 매수 강요

 

현재는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물가 때문에 인하하지 못하는 환경

금리 인하는 못하지만 장기채 금리를 낮추는것이 완화적인 금융 환경을 제공할것임

재무부도 장기물 금리를 신경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3~4 월달에는 경기가 나빠지는데 금리인하를 하지 못하고 경기침체 우려로 주식시장이 하락할 가능성 있음.

장기채 금리는 이를 선 반영할것 물가도 경기 분위기와 함께 하락할 가능성 높음

하지만 채권 금리 하락이 경기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경기침체가 실제로 오지는 않을듯 함. 

즉 프리미엄의 하락으로 보는것이 타당하고 주식시장 롱 관점을 유지하는게 유리할듯함. 

3.8% 수준에서는 매도 욕구가 강해지는 시점


최근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영햐을 준 것은 트럼프와 물가

트럼프의 정책 7단계

1. 무리한 요구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2. 위협과 압박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3. 보여주기식 행동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4. 협상 - 협조에 대한 호의적 태도 제시

-> 달러 약세 / 금리 하락 / 주식 상승

5. 협상 중단 & 위협

-> 달러 강세 / 금리 상승 / 주식 하락

6. 극적화해와 재협상

-> 달러 약세 / 금리 하락 / 주식 상승

7. 최종 합의 대대적 흥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