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럼프의 협상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연준발언은 트럼프를 손절했으나 채권금리는 안정되었다. 금은 큰 상승을 했다.
시장 심리가 진정될거라고 보았는데 약세속에서 제한된 하방을 지켰다.
비둘기파 연준의원들의 연설이 다수 예정되어 채권시장의 추가적인 안정을 기대하는 심리. 트럼프에게는 불안한 심리가 그대로 진행. 스테그플레이션 우려 계속 커짐
10Y 가격 상승, S&P 강보합, BTC 강보합, 금 상승, JPY 상승 예상.
한국 시장이 괜찮은 반등을 해낼거같은 생각과 바람. 10Y 금리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들지만 안정될것으로 봄. 의도된 경기침체 발생.
JPY 상승, 금 상승 예상.
차주 예정 사항
4월 21일 | Fed 이사회 비공개(Closed) 회의 | 10:00 am | 금융시장·기관·인프라 관련 정기 보고35 | |
4월 21일 | Austan Goolsbee(시카고 연은 총재) | 8:30 am | 연설 | 비둘기파. 고용에 주목하는 인물 |
4월 22일 | Philip Jefferson(Fed 이사) | 9:00 am | 연설 | 부의장. 신중~비둘기파 |
Patrick Harker(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 9:30 am | 연설 | ||
Neel Kashkari(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 2:00 pm | 연설 | 매파. 관세로 기대인플레 높다생각. | |
Adriana Kugler(Fed 이사) | 6:00 pm | 연설 | 비둘기파. 고용 중시. | |
4월 23일 | Austan Goolsbee(시카고 연은 총재) | 9:00 am | 연설 | 비둘기파. 고용에 주목하는 인물 |
Christopher Waller(Fed 이사) | 9:35 am | 연설 | 비둘기파. 최근 트럼프 신경 많이씀 | |
Beth Hammack(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 6:30 pm | 연설 | 매파. | |
4월 24일 | Neel Kashkari(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 5:00 pm | 연설 | 매파. 관세로 기대인플레 높다생각. |
2025/4/12~2025/4/13 주말
2025/4/14 월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스마트폰·컴퓨터에 대한 관세 일시 면제 발표 백악관, 해당 면제가 4월 5일부터 소급 적용되며 향후 한두 달 내 ‘국가 안보 관세’로 대체 예정
트럼프, 남부 국경 군 동원 명령 및 ‘서반구 방위 가속화’ 정책 지시
백악관, 미국이 핵심 기술 생산을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재차 강조 미국-이란 간 핵 협상, 건설적 분위기 속 다음 주 빈에서 2차 회담 예정
연방정부 1,500개 이상 ‘좀비 기관’ 정비 논의 제기
트럼프, 서머타임 영구화 추진 촉구
미국 연방 판사, 교회 내 불법체류자 단속 중단 요청 기각
트럼프, 기존 145% 관세 대신 일부 품목 20% 고정 관세 적용 발표
미국 무역대표부(USTR), 관세 정책이 '상호 관세'에서 '국가 안보 관세'로 전환 중이라고 밝힘
루트닉, 전자제품 관세 면제는 일시적 조치이며 한두 달 내 반도체 기반 관세 도입 예정
중국 상무부, 미국의 관세 면제를 ‘작은 시정 조치’로 평가하며 전면 철폐 요구
일본 LDP 온오데라, 미-일 간 관세 협상에 있어 일본의 연결성 약화 우려
영국, 89개 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임시 철폐 발표
모건스탠리, "미-중 무역 전쟁으로 중국 경제 둔화 본격화 전망
2025년 4월 14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의 관세 정책 관련 발언 요약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월러 이사는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 주도의 상호관세 및 보편관세를 통해 25%의 고관세를 유지할 경우,미국 인플레이션이 5% 가까이 치솟고경제 성장률이 크게 둔화, 경기침체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125.인플레이션과 금리 정책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은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했으나,경기침체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연준이 금리 인하를 빠르고 큰 폭으로 단행해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1245.특히, 경제가 빠르게 둔화하면 인플레이션이 2%를 넘더라도 경기침체 방지가 더 중요한 정책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124.관세 시나리오별 전망고관세(25%) 시나리오: 인플레이션은 단기적으로 5%까지 오르나, 2026년쯤 완만하게 진정될 것으로 예상. 성장과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장기화될 수 있음15.저관세(10%) 시나리오: 인플레이션 정점은 3% 부근에 머물고, 통화정책 변화는 제한적일 것15.정책 유연성 강조관세 정책의 미래와 영향이 매우 불확실하므로, 연준은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5.만약 관세 부과 90일 유예가 무역장벽 축소 협상의 시작이라면, 연준도 금리 인하에 더 인내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245.트럼프 관세 정책 평가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목표(미국 제조업 부흥 등)는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2
10Y(가격) +2.51
S&P500 +0.79%
FGI 19.59
BTC +1.02%
GOLD -0.8%
JPYUSD +0.34%
2025/4/15 화
트럼프 대통령, 수입 의약품에 대한 관세 예고하며 "가까운 시일 내 단행" 선언
미 상무부, 반도체 및 제약 수입품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 착수
트럼프, "이란 핵무기 포기 없으면 강경 대응할 것" 발언
트럼프, 자동차 기업 지원 의지 밝히며 "시간이 필요하다" 언급
엘살바도르 부켈레 대통령과 정상회담 진행, 불법 이민자 송환 관련 협의
기자: 엘살바도르에 불법 범죄자를 몇 명이나 송환할 계획입니까? 트럼프: 가능한 한 많이요.
트럼프, 연방준비제도 차기 의장 후보자 면접 올가을 시작 예정
EU와 협상 진행 결과, 별 진전 없음.
중국, 자국 항공사에 미국 보잉 항공기 추가 인도 중단 지시.
캐나다, 미국산 자동차와 트럭에 캐나다 생산 유지 및 관세 면제
장마감 후, 엔비디아는 H20의 중국 수출 위해 미국 정부의 수출 라이센스 필요해졌다고 발표. 1분기 H20 관련 55억 달러의 비용(1분기 손실처리)이 발생할것이라고 발표.
10Y(가격) 1.03
S&P500 -0.17%
FGI 18.21%
BTC -1.07%
GOLD 0.59%
JPYUSD 1.72%
2025/4/16 수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산 석유 수출을 제로로 만들기 위한 전방위 압박을 강조.
백악관은 DeepSeek에 대한 미국 기술 구매 금지 및 미국인 서비스 차단 검토 중. 하원은 Nvidia의 대중국 판매에 대해 조사 착수. 파월 연준 의장은 현재의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더 큰 인플레이션 및 성장 둔화 유발 가능성을 경고.
정부 정책 변화로 인해 가계·기업 모두 결정을 유보하고 있으며,
연준은 당분간 금리 유지 입장. 파월은 미국 연방 부채가 지속 가능하지 않은 경로에 있다고 발언.
상무부는 베네수엘라에 대해 '매우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언급.
중국은 미국산 석유 수입을 줄이고 캐나다산 수입 확대. 미국은 70개국과의 무역 협상을 통해 중국 우회 수출 차단 추진. 세계은행 총재는 고관세가 성장과 투명성을 저해한다고 경고. Fitch는 세계 GDP 성장률 전망을 2% 미만으로 하향, 2009년 이후 최저. Fitch는 미국, 중국 성장률 전망을 0.5%포인트 하향. 미국 CBP는 관세 수입이 트럼프 예상보다 훨씬 낮은 5억 달러 수준이라 발표.
2025년 4월 16일 연준 파월 의장 관세 관련 발언 시간대별 요약
장소: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일정: 2025년 4월 16일 오전(현지시간) 연설 및 Q&A
10:00~10:30AM (현지, 연설 시작)
핵심 발언:"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규모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근본적 변화(fundamental changes)다.""관세 정책 변화로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연준의 목표(2% 물가안정, 최대 고용) 달성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현 시점에서 금리 정책은 추가 데이터와 명확성이 나올 때까지 관망(wait-and-see) 기조를 유지한다."13456
10:30~11:00AM (Q&A 세션)
관세의 구체적 영향"관세는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올릴 가능성이 높고, 그 효과가 일시적일 수도 있지만 더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경제 성장과 고용은 둔화할 수 있다. 실업률도 오를 수 있다.""관세로 인해 연준의 두 목표(물가·고용)가 충돌하는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수 있다.""그럴 경우, 어느 목표에서 더 멀어졌는지, 그 격차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평가해 정책을 정할 것."
11:00AM~ (시장 반응 및 추가 코멘트)
시장 영향 및 추가 발언"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유사할 수 있다. 현대에 유례없는 정책 변화다.""가계·기업 심리가 위축되고, 경제전망 하향 조정이 잇따르고 있다.""단기 인플레이션 기대는 크게 올랐으나, 장기 기대는 아직 연준 목표와 부합.""시장에서는 연말까지 1%p 금리 인하 전망이 확대되고 있으나, 연준은 아직 인내심을 갖고 지켜볼 입장."
실제 시장 반응파월 발언 직후 다우 -1.7%, S&P500 -2.5%, 나스닥 -3.5% 급락.
요약 정리
관세 인상은 예상보다 훨씬 크고,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라는 이중 부담을 줄 수 있다.연준은 두 목표(물가·고용)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어느 쪽에 더 큰 위험이 있는지 판단해 정책을 결정할 것.당분간 금리 인하 등 정책 변화는 없고, 추가 데이터와 관세 효과를 신중히 지켜볼 계획.시장에서는 경기둔화·인플레이션 우려로 주가 급락 등 즉각적 반응.
연준 역RP 규모 $54.8B로 급감, 유동성 경고 신호. OpenAI는 GPT-4.1과 O4-mini 모델 출시, 순차적 적용 예정. 일본 공정거래위, 도쿄 내 호텔들의 가격 담합 의혹 조사 착수.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달 및 화성 탐사 포함한 우주 계획 발표. 미국은 중국 정제소에 이란 원유 수입 혐의로 제재 부과.
10Y(가격) 1.34
S&P500 -2.24
FGI 14.44
BTC 0.45
GOLD 3.42
JPYUSD 0.97
2025/4/17 목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연준 의장을 강하게 비판하며, 필요하다면 해임할 수 있다고 발언.
연준의 금리 정책이 정치적이라며 금리 인하 압박 발언 이어감. 트럼프-멜로니 회담에서 방위비, 무역, 에너지 협력 논의. 트럼프는 이탈리아와 무역 합의가 임박했음을 시사. 멕시코 대통령과의 통화도 생산적이었다고 언급하며 양국 협상 지속 의지 표명. 백악관은 연방 채용 동결을 7월까지 연장하는 행정명령 발표.
미국 국무부는 중국 위성 기업이 후티 반군에 정찰 지원을 하고 있다고 비판. 우크라이나-미국은 핵심 광물 공급 협력 관련 양해각서 서명. 젤렌스키는 중국의 러시아 무기 생산 지원 증거를 다음 주 공개할 것이라 발표.
ECB 라가르드 총재는 관세가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6월 회의 전까지 명확성 부족할 것으로 전망. 일부 회원국은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IMF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무역 분쟁과 보호무역주의가 생산성과 성장을 해친다고 경고. 미국 금리 및 정책 불확실성이 세계 시장에 위험 요인임을 강조. 미국은 일본·EU와 무역협상 중이며, 양국과의 조속한 합의 가능성 언급.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도 무역 대화 중이라고 밝힘. 유럽연합은 협상 결렬 시 미국에 대한 수출 제한 가능성 경고. 프랑스 파리에서 미·EU·우크라이나 간 평화 협상 관련 논의 진행.
10Y(가격) -1.21%
S&P500 +0.13%
FGI 21.37
BTC +1.05%
GOLD -0.4%
JPYUSD -0.42%
2025/4/18 금
10Y(가격) -1.21%
S&P500 0.13%
FGI 14.44
BTC -0.56%
GOLD -0.4%
JPYUSD -0.42%
반응형
'투자(2025) > Week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18 행정부 관세 긍정뷰, GDP 감소에도 억지 돈으로 밀어 올리는 시장 (1) | 2025.05.04 |
---|---|
W17 트럼프의 연준 독립성 망언 주워 담기 (0) | 2025.04.27 |
W15 (2025) 유래없는 반등. 관세 유예 90일 & 가짜뉴스 (4) | 2025.04.14 |
W14 (2025) ▼ 투매의 시작 (2) | 2025.04.06 |
W13 (2025) 4/2 관세 공포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