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인사이트도 정말 잘 읽었는데 좋은 책이 또 나왔다.
감사히 읽었다. MMF와 양적긴축, 역레포잔고 등으로 2025년의 유동성 환경에 대한 뷰를
숨김 없이 공유해 주셨다.
이유있는 Bull 이랄까.
올 해 또 책을 내주실진 모르지만 나온다면 살것 같다.
FED인사이트도 정말 잘 읽었는데 좋은 책이 또 나왔다.
감사히 읽었다. MMF와 양적긴축, 역레포잔고 등으로 2025년의 유동성 환경에 대한 뷰를
숨김 없이 공유해 주셨다.
이유있는 Bull 이랄까.
올 해 또 책을 내주실진 모르지만 나온다면 살것 같다.
관세로 할 수 있는건 다양하다 #달러패권
AI발전에 보안은 항상 화두가 될것
실적으로 이어지는지 보자
[250204] JOLTS 구인건수 컨센 하회 (0) | 2025.02.05 |
---|---|
[250203] 트럼프 관세와 내 생각 일부 (0) | 2025.02.03 |
[250130] FOMC 트럼프 반응/ GDP4Q (0) | 2025.01.30 |
[250129] FOMC 비둘기적 동결 예상/딥시크 D+2 (0) | 2025.01.30 |
[250128] 딥씨크 공포/일본 금리인상 (0) | 2025.01.28 |
트럼프 발언에 장기금리 -0.7%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 채권
■ 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경제는 상당한 진전(significant)을 보였음. 2024년 GDP 성장률은 2%를 웃돌 것. 물가도 목표 수준에 매우 근접(much closer to goal)헀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somewhat elevate
t.me
■ 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경제는 상당한 진전(significant)을 보였음. 2024년 GDP 성장률은 2%를 웃돌 것. 물가도 목표 수준에 매우 근접(much closer to goal)헀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somewhat elevated) 곳에 위치
2. 설비투자는 둔화, 주택시장은 안정되는 모습
3. 실업률은 안정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 중. 전반적으로 고용 상황은 균형잡혀 있음(broadly balanced). 고용시장은 물가 자극 요인이 아님
4.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에 큰 변화는 부재(well anchored)
5. 12월 PCE, Core PCE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2.6%, 2.8% 상승했을 것(11월 PCE: 2.4%, Core PCE: 2.8%)
8. 양대 책무 달성 관련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roughly in balance)
9. 연준은 서둘러서 정책을 조정할 이유가 없음(do not need to be in a hurry to adjust policy rate). 앞서 나가지 않을 것(not on preset course)
10. 목표 달성 속도에 맞춰서 통화정책 조정할 것. 현재 통화정책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이며 목표 달성에 있어서도 매우 좋은 곳에 위치해 있음(very well calibrated)
11. 정책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관련 리뷰는 늦여름 즈음 발표할 예정
12. 통화정책의 긴축 강도는 기준금리 인하 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완화(meaningfully less restrictive)
13. 물가의 추가 진전, 고용의 추가 약화를 확인한 뒤 추가로 기준금리 인하할 것
14. 물가 목표 달성에 추가 고용 약화는 불필요
15. 성명서 내 물가 관련 문구 단축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음
16. 현 상황에서 큰 변화가 있기 전까지 정책을 조정하지 않을 것(does not act until seeing much more than we see now)
17. 주거물가는 꾸준하게 둔화될 전망(coming down pretty steadily)
18. 이민자 유입이 감소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보이지만 그 만큼 신규 고용 창출도 감소. 낮은 실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이유
19. 연준 구성원 전원은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금리 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
20. 기준금리는 중립금리를 상당 수준(meaningfully) 상회
21. 관세정책이 미칠 여파, 그 여파의 방향성은 매우 불확실(the range of possibilities for tariffs is very, very wide)
22. 준비금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만 그 규모는 지금도 매우 풍부한(abundant) 수준. 자산 축소 정책은 지속될 것
23. 장기 국채금리 상승은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기인. 정책 또는 물가 관련 기대 때문이 아님
24. 물가가 2%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멈출 필요는 없음
25. 현재 고용 증가율은 둔화. 따라서 기업들의 해고가 증가하면 실업률이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
출처 : https://t.me/daegurr
[250203] 트럼프 관세와 내 생각 일부 (0) | 2025.02.03 |
---|---|
[250131] PCE 예상치 부합/ 재무부 2Q 차입 계획 발표 (0) | 2025.02.01 |
[250129] FOMC 비둘기적 동결 예상/딥시크 D+2 (0) | 2025.01.30 |
[250128] 딥씨크 공포/일본 금리인상 (0) | 2025.01.28 |
[250124] 비둘기적 동결/딥시크 공포? (0) | 2025.01.27 |
소프트뱅크 그룹, OpenAI, 오라클, MGX가 공동으로 설립한 미국의 인공지능 프로젝트. 자본 투자는 소프트뱅크 그룹, 운영은 OpenAI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Arm 등이 기술 파트너 기업으로 합류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취임식이 열렸던 2025년 1월 21일,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3사는 공동으로 1,000억 달러를 출자하며 2029년까지 최대 5,000억 달러를 투입하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인프라 산업을 구축한다.
의장으로 손 마사요시가 취임했으며, 텍사스를 시작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적극적인 협조와 함께데이터 센터를미국 전역에 지을 예정이다.
#CRM #NOW
#DOGE
아마존(AMZN)
4Q실적발표 : 2025/2/6
AWS : Amazon Web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1위
리테일은 점유율 유지를 위해 영업이익을 낮게 유지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이 현재의 캐시카우다.
넷플릭스, 크래프톤, 모더나, 삼성전자, 한국투자증권, AMD 등 세계 굴지의 스타트업과 대기업들이 AWS의 고객이며, 인프라부터 시작하여 보안까지 AWS에 의존비중이 매우 높다.
AWS 서버가 뻑나면 시장에 혼돈이 온다는 말이 괜히 있는 말이 아니다.
참고로 나무위키의 메일 서버가 이곳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입 인증 메일의 헤더를 까보면 메일 서버 아이피가 워싱턴 D.C.에 있는 아마존 서버로 나온다.
배틀그라운드 게임 서버도 이곳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트위치 역시 아마존닷컴에게 인수된 뒤로는 AWS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애플의 iCloud도 Google Cloud Platform과 AWS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
4Q실적발표 : 2025/1/28
CrowdStrike(CRWD) -4.6%: 예상치 상회한 실적발표;. 다만, 시장 기대치 하회한 가이던스 제시
S&P 500 지수 편입: CrowdStrike( CRWD ), KKR( KKR ), GoDaddy( GDDY )
2024년 7월 19일 블루스크린사태 원인 제공
애버트 래브러토리 (ABT)
4Q실적발표 : 2025/1/22
다양한 복제(제네릭) 의약품/영양제/의료장비 생산&판매.
특허약 부문 -> 애브비로 분리독립
의료광학 -> 존슨&존슨에 매각
영양/진단/혈관관리/당뇨관리/제약 부문으로 나눠 경영.
카니발 (CCL)
4Q실적발표 :2024/12/20
2024년 1월에는 후티 반군의 무장 행위로 인해 동년도 5월에 예정되어 있던 12척의 크루즈 운행에 있어 홍해를 배제하고 일정을 조정시켰다. 이로 인해 주당 7~8센트 수준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Boston Scientific (BSX)
4Q실적발표 : 2025/02/05
보스턴 사이언티픽(Boston Scientific)이 Bolt Medical을 인수함에 따라 주가가 4.6% 상승했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보스턴 사이언티픽은 혈관 내 쇄석술(IVL) 시장에 진출하고 심혈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Bolt Medical의 IVL 시스템은 음향 압력파를 사용하여 동맥 내 칼슘을 파쇄하는 기술로, 복잡한 석회화 동맥 질환 환자들에게 최소 침습적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보스턴 사이언티픽의 기존 치료법을 보완하며, 심혈관 질환 치료에 있어 중요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GoDaddy (GDDY)
S&P 500 지수 편입: CrowdStrike( CRWD ), KKR( KKR ), GoDaddy( GDDY )
미국의 도메인 관리 및 호스팅 업체이다. 세계 1위 도메인 업체로 2022년 기준 2,100만명의 고객으로부터 6,200만개의 도메인을 관리중.
어제부터 리테일섹터가 종종 올라오는 모습이 보인다. 아마도 실적 테마?
성장성으로 쭉 모멘텀을 받기는 어려워 보이는 섹터
AI장세에서 소매 기업의 실적이 긴 테마가 될 수 있을까?
1월과 여름이 금리 하락의 달
[250131] PCE 예상치 부합/ 재무부 2Q 차입 계획 발표 (0) | 2025.02.01 |
---|---|
[250130] FOMC 트럼프 반응/ GDP4Q (0) | 2025.01.30 |
[250128] 딥씨크 공포/일본 금리인상 (0) | 2025.01.28 |
[250124] 비둘기적 동결/딥시크 공포? (0) | 2025.01.27 |
[250123] 지수 급반등 조정/LA화재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 뉴스 (0) | 2025.01.23 |
딥시크로 인한 공포는 GPU 업체보다는 전력업체들에 더 악재로 다가왔다.
GPU 관련해서는 딥시크를 만든 HF가 거짓을 말했다고 하더라도
미국에 데이터 센터가 그렇게 많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생겼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바보가 아니며 대부분의 경우 돈이 나보다 똑똑함을 인정해야한다.
단순히 딥씨크 문제가 아니라 2/3 예정된 QRA같은 이슈가 유동성에 대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는것이 문제일수도 있다.
동의 하고, 돈 많은 사람들도 당연히 알지만
증시가 내린다는건 당분간 아래로 드라이브를 하거나
저가매수를 좀 하겠다는것
AI 악재 발생
[250130] FOMC 트럼프 반응/ GDP4Q (0) | 2025.01.30 |
---|---|
[250129] FOMC 비둘기적 동결 예상/딥시크 D+2 (0) | 2025.01.30 |
[250124] 비둘기적 동결/딥시크 공포? (0) | 2025.01.27 |
[250123] 지수 급반등 조정/LA화재로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 뉴스 (0) | 2025.01.23 |
[250122] 트럼프AI인프라 투자/넷플릭스 가입자수/LA산불과 채권 (0) | 2025.01.22 |
엔비디아랑 데이터센터쪽 주식들이 딥시크를 보고 놀라서 하락중이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allbareun/allbareunkr/contents/250125151931156av
Quick Take : 중국 딥시크는 미국의 스타게이트를 무너뜨릴까?
안녕하세요 올바른입니다. 좋아요는 리서치에 힘이 됩니다 :) 새롭게 만든 <Quick Take> 카테고리는 기존 글처럼 특정 주제에 대해서 수직/수평적으로 생각을 확장하는 대신, 특정 주제에 대해 짧지
contents.premium.naver.com
딥시크 비용절감은 구라.
투자 심리에는 나쁘지만 결국 엔비디아 칩은 필요
순매수 상위
1. 테슬라
2. 반도체 인버스3X
3. 회사채
4. 애플
5. 오라클
6. 팔란티
7. 테슬라 2X
8. 브로드컴
9. 이더리움2X
10. S&P500
11. 로빈후드
12. 애플 1.5X
13. 테슬라 양빵
14. 나스닥 2X
15. GE버노바
(제네럴 일렉트릭에서 분사되어 에너지 장비 제조를 주업으로 영위중)
1. 테슬라
2. 반도체 3X
3. 테슬라 2X
4. 리게티컴퓨팅(양자컴퓨터)
5. 엔비디아
6. 아이온큐 (양자컴퓨터)
7. S&P500
8. 나스닥 2X
9. 애플
10. 반도체 인버스 3X
11. 엔비디아 2X
12. 팔란티어
13. 마이크로스트레티지 2X
14. 브로드컴
15. 마이크로스트레티지
16. 실스크 (양자컴퓨터)
17.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인버스 2X
18. 퀀텀컴퓨팅 (양자컴퓨터)
19. 마이크로스트레티지 2X
20. 비트코인 2X
W5 (2025) 딥씨크에도 한국인의 엔비디아 테슬라 이더리움 사랑 (0) | 2025.02.02 |
---|---|
W03 (2025) 트럼프 취임 전날-코인급등/틱톡철수 (0) | 2025.01.19 |
W02 (2025) 10Y 4.8% 공포 구간/금리발 조정.고용 서프라이즈/다음 주 도 지지부진? (0) | 2025.01.12 |
W01 (2025) 테슬라 브로드컴 양자컴퓨터 LNG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