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aily 일기+인사이트 Weekly 이벤트 정리
투자(2025)/Daily

[250404] 바이더딥 시나리오 완성.

by 모든 투자의 책임과 손실은 매수/매도 자에게 있습니다. 2025. 4. 4.
반응형

투매 2일차 시장.

 

장 초반에는 10년물 3.875% 까지 갔었고 

너무 급격한 움직임이였다고 생각해서 

비중 10% 줄였다.

아쉬운건 TLT는 10년물 움직임을 반도 못따라오고 있다는것

벤치마크가 목표치에 다라서 어쩔수 없이 매도다.


나스닥100과 S&P는 선발대 140씩 담았다.

VIX가 45를 찍은건 명백한 과매도라고 생각한다.

바닥잡고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바닥잡는건 고점잡는거랑 똑같이 웃긴 소리다.

바닥에서 5~10% 반등하는건 쿨하게 내어주고 망하지 않을 시나리오로 담는다.

 

그게 아니라면  

시장은 나는 알 수 없는 이유로

금융위기가 오고있음을 알고있을 수 있다.


관세를 말도 안되게 때리긴 했는데

아무리 선반영이라지만 이보다 더 최악인 상황이 올까? 라고 하면

슬슬 사나가야하지 않을까 싶다.

지금 120선 대비 이격도 거의 15%로

하락장에 진입했다 해도 과매도국면이다.

 


주식 바이더딥 시나리오

 

이번 하락장에서 전체 자산의 1/3 진입 생각하고
시나리오 3개로 진입.

시나리오 1 [전체 자산대비 1/9]
[5일선을 회복하면 (V자 반등이라는 시나리오)]

시나리오 2 [전체 자산대비 1/9]
[어제로부터 45일 뒤. (통계적 저점) (5/19일)]

시나리오 3 [전체 자산대비 1/9]
[125,50 일선 골든 크로스 날봉 두개로 컨펌지점]

 

VOO와 QQQ로 살 생각이지만

환헷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면 

449180과 449190 으로 진입할생각이다.

 

세 개 시나리오를 전부 쓰고 나서

상승장이 올경우 추세추종 매매를 계속 할 것이고 

추가하락이 나오면 레버리지 상품으로 -5% 하락마다 1/9 비중으로 물을 탈 생각이다.


채권 매도 시나리오

현재 금리 하락은 과도한 경기침체 우려

 

트럼프에 대한 어떤 원망성 매물? 처럼 느껴진다. 

 

 

시나리오 1.

현 수준에서  

10%

 

시나리오 2.

현재의 과격한 하향 추세선을 꺨 때

18%

 

 

 

시나리오3.

7일 이동평균선,20일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

18%

시나리오4

종가기준 4일 연속 상승

18%

 

 

시나리오5

주요 구간 돌입시 3.85% 3.7%

9% &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