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가신용등급은 한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하는 신용도로

 

한 나라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국가의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신용기관은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와 무디스(MCO), 영국의 피치 레이팅스(피치) 3개의 기관이 있습니다.


스탠더드 앤 푸어스

무디스

피치레이팅스


각 신용평가기관마다 주는 등급의 문자가 다르지만, A는 많을수록, -보다는 +가 당연히 좋습니다.


국가 신용도가 개인이나 기업에 미치는 영향

 

가산금리가 낮아지면서 기업이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비용이 감소하게 됩니다.

 

대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이미지가 좋아지면서 수출 증대 등 민간기업에도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미치게 됩니다.

 

또 해외투자자들의 한국물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국내 주식·채권 시장에도 투자 촉진 효과가 발생합니다.

 

정부는 신용등급 상향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가 서민들과 중소기업에 실질적 혜택으로 돌아가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계획입니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국가의 신용등급은 이전에 언급했던 국가의 "가산금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가산금리란?

 

필수 경제 용어 정리 : 가산금리

가산금리는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말한다. 영어로는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한다. 신용도

addsmile.tistory.com


국가 신용등급은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K방역 성공한 한국 믿을만"…K채권 해외 가산금리 절반 `뚝`

한국채권 해외발행 잇단 흥행 4월 신한銀 해외채권 발행때 가산금리 1.7%P 더주고 조달 지난달에 0.88%P로 낮아져 "수익률 좋고 위험 낮아 매력" 美 유럽 호주 투자자도 관심 올해 해외채권 발행 2배

www.mk.co.kr

때문에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로 우리나라는 신흥국이지만 국가신용등급이 높은 편의 나라입니다.

 

작은 나라이지만 자부심을 가져 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매도 ( 空 賣 渡  , short stock selling)

 

자본주의가 만든 창의적인 발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팔고, 나중에 그 물건으로 다시 사서 갚는다"가 공매도의 기본 개념입니다.


목차

 

1. 공매도 만화

2. 공매도의 특징

3. 영화 빅쇼트와 공매도

4. 개인이 공매도를 할 수 있는 방법


보통 주식거래나 금융거래에 익숙지 않은 사람들에게 공매도를 소개하면 이해하기 힘들어합니다.

 

실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종류의 거래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쉽게 만화를 통해 설명해보겠습니다.


1. 공매도 만화

 

여기 짱구가 있습니다. 짱구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짱구는 초코비라는 과자를 아주 좋아합니다.


초코비를 매일매일 먹는 짱구는 초코비가 부족하지 않도록 엄청나게 많은 양을 집에 쌓아뒀다고 해봅시다.


그리고 여기 똑똑한 배운 놈 철수가 있습니다.

철수는 최근 초코비 가격이 계속 떨어져 왔음을 눈치챘고

앞으로도 떨어질 것이라고 확신하게 됩니다.


철수는 짱구가 쌓아둔 초코비를 한 10개 정도만 빌려달라고 합니다.

그리고 2주 뒤에 다시 돌려주겠다고 합니다.

짱구는 어차피 10개를 빌려줘도 쌓아둔 초코비가 많아서 흔쾌히 수락합니다.


철수는 초코비 10개를 빌려가 시장에 전부 팔아버립니다.

그리고 만원을 벌었습니다.


팔고 나자 초코비 가격은 더 떨어졌고

이제 초코비 10개 가격은 천 원밖에 안 하게 되어

철수는 초코비 10개를 다시 사서 짱구에게 갚았습니다.


철수는 이 거래로 9천 원을 벌게 되었습니다.

 

자기돈은 한 푼도 쓰지 않았죠

 

단지 초코비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예의주시 한 덕분에요.


이제 공매도가 이해되셨나요?

 

실제 공매도에서는 주식을 빌리는 대가로 프리미엄( 일종의 대여료 )을 꾸준히 내야 하지만

 

전체적인 과정은 위 만화와 똑같습니다.


2. 공매도의 특징

 

이처럼 공매도는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으로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 대여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깁니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반면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장에 거품을 제거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또, 공매도를 하는 과정에서 내야 하는 프리미엄을 이용해 

 

높은 이율의 옵션상품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3. 영화 빅쇼트와 공매도

 

영화 "빅쇼트"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 미국 주택시장 붕괴를 예측하여 

 

주택 담보 채권을 공매도하여 떼돈을 번 펀드매니저의 이야기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는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결국 더 커집니다.

 

그리고 공매도는 주식을 빌린 대가로 프리미엄을 내야 합니다.

 

때문에 공매도는 오랜 기간을 노리고 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간 안에 합니다.

 

그래서 영어권에서 시장의 하락에 돈을 배팅하는 것을

 

"쇼트한다 ( Short )" "숏"

 

이라고 표현합니다.


 

빅쇼트를 보면서 느낀 것은 공매도가 결국 성공하여 떼돈을 벌지만

 

그 과정에서 대중과 반대편에 서는 예측을 한 불안감. 

 

불안감과 함께 매달 내는 프리미엄, 이과정에서 피폐해지는 삶

 

그리고 결국 시장이 폭락하더라도 남의 불행으로 돈을 번 씁쓸함이 나옵니다.


4. 개인이 공매도를 하는 방법

 

보통 공매도는 기관투자자 또는 돈이 엄청 많은 사람들만 할 수 있다고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개인도 소액으로 공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directional.net/

 

디렉셔널-금융의 균형을 잡다

국내 최초 개인간 주식대차 플랫폼, 합리적 요율의 주식대차, 쉽고 편리한 공매도.

www.directional.net

"디렉셔널"처럼 주식 대여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주식의 매매처럼 자유롭게 하는 것은 아직 힘든 상태이고,

 

지난 3월 13일 공매도가 금지되고 현재 내년 3월 정도까지도 금지된 상태입니다.



그래도 공매도가 정말 하고 싶다면, 코스피를 일종의 공매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인버스가 쓰여있는 종목을 사면, 코스피의 등락과 반대로 움직입니다.

 

즉, 코스피가 떨어지면 돈을 벌게 됩니다.

 

인버스는 코스피 등락과 -1배로 움직이고

 

인버스 X2는 코스피 등락과 -2배로 움직입니다.


 

여담이지만 저는 인버스 종목이나 공매도는 일절 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로 남의 불행으로 돈을 버는 일이기 때문이고,

 

둘째로 한국경제의 전망이 수십 년이 지날지라도 결국 지금보다 훨씬 나아지길 소망해서 이고

 

셋째로 인버스나 공매도는 주가의 상승이나 하락을 예측하는 일에 집중하게 되어 투자의 본질을 흐리기 때문입니다.


이상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전 게시글에서 SK 머티리얼즈의 재무와 사업을 알아보았으므로
 
기술적인 접근으로 매수 타이밍에 대해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좋지 못한 자리에서 사게 되면
 
수익이 나지 않게되거나, 오래 들고 버티기가 힘들어지고
 
배당을 받을때도 싼 자리에서 산 사람들보다 불리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치투자를 할 때에는 꾸준히 사는 방법을 사용하되,
 
지금 사는 위치가 어떤 위치인지 판단하여 물량을 늘리거나 줄이는 센스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K머티리얼즈 기업분석

SK 머티리얼즈 기업분석 : 저평가종목. 반도체,태양광 관련기업

구분 내용 기업명 SK 머티리얼즈 종목번호 코스닥 : 036490 분야 반도체공정용 특수가스 전문 제조업체 특징 시가총액 2조 4,703억원 ( 코스피 13위 ) 주가 234,200 \ 배당금 ,(배당수익률) 3840\ , ( 1.64% ) P

addsmile.tistory.com

SK머티리얼즈 사업전망 예측

SK 머티리얼즈 : 반도체용 특수가스 향후 사업 전망 예상.  특수가스 국산화 노력

이전 게시글에서는 SK 머티리얼즈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다면 이번 게시글에서는 SK 머티리얼즈의 사업부문의 전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에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addsmile.tistory.com


저는 기술적 분석으로 수익을 내기 위해 차트를 확인하기보다는
 
적절한 매수가를 유지하기 위해 보는 편입니다.
 
그래서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지식만 가지고 있습니다.


목차.
1.일봉 이동평균선
2.주봉 이동평균선
3.월봉 이동평균선
 
4,일봉 매물대
5.주봉 매물대
 
6.일봉 보조지표. RSI, MACD, Stochastic
7.주봉 보조지표. RSI, MACD, Stochastic
8.월봉 보조지표. RSI, MACD, Stochastic


다소 단순한 구성인데,
 
저는 이 이상을 보려고 하면 자신이 생각하는 방향으로 확신 편향을 하기 쉬워진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목차의 8가지 내용정도만 확인하고 기술적 분석은 더 하지 않습니다.


1.일봉 이동평균선
 

2020.10월 기준으로 데드가 나있는 상태입니다. ( 20일선이 60일선 아래로)
 
차트의 "C"로표시된 부분에서 거래량이 늘고 주가가 급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C" 기점 (2020. 7. 16)에 SK 머티리얼즈가 자사주 매입을 공시하여서 그렇습니다. 
 
그 이후 20일선에 가까워지는 부근에서 반등이 2번 정도 나와줬고
 
최근 미 대선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주식시장이 부진할때에 급락하여 
 
자사주 매입 공시 이전 대비 10% 정도 상승한
 
22만원정도를 지지선으로, 8월의 저점이었던 23만 원 부근을 저항선으로 하는
 
박스권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2.주봉 이동평균선
 

5이동 평균선이 20 이동평균선에 닿은 (데드)가 났으나 데드 지점에서 버티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3월 코로나로 인한 폭락 전에는 
 
14만원을 지지선으로 18만 원을 저항선으로 하고 5,20,60,120 이동평균선이 평행에 가까운 모습의
 
전형적인 박스권을 보여줬습니다.


3.월봉 이동평균선

3만원, 11만 원, 16만 원 , 20만 원 정도 가격에서 박스권을 한 번씩 거쳤고
 
상승한 뒤에는 박스권이 자주 나타나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4.일봉 매물대 
 

일봉으로 본 매물대에서는 
 
긴 매물대를 위로 하는 모습입니다.
 
매물의 13.7 % 정도인 단기 저점 구간에서 매수는 유효할 것 같습니다.


5.주봉 매물대

박스권을 오래 거쳤던 만큼 아래부근에 매물대가 많습니다.
 
급등 전 매수한 사람들의 평단가는 17만 5000원 정도가 평균일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가격 기준으로 33% 정도의 수익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6.일봉 보조지표. RSI, MACD, Stochastic
 

RSI-Signal 61.83
slow Stochastic 74
MACD 0 부근
 
과열이라고 부르기에는 좀 애매한 상태이지만 현 시가가 단기 저점일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7.주봉 보조지표. RSI, MACD, Stochastic

RSI-Signal 39
slow Stochastic 41
MACD 10부근 골드크로스 살짝 전?, 큰 흐름으로는 데드 난 이후 횡보.
 
과열 지표로 보았을 때는 중장기적으로는 많이 불리한 위치는 아닌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C 기점의 자사주 매입이 호재가되어 올라온 것을 가만할 때 조금 더 지켜봐서 나쁠 것 같지는 않습니다.
 


8.월봉 보조지표. RSI, MACD, Stochastic

큰 흐름으로 보았을때는 2013년쯤 매입한 구매자들이 이익실현을 조금 해도 괜찮아 보이는,
 
즉 좀 높은 자리로 보입니다.
 
하지만 평균단가 35,000원 정도의 투자자는 배당률이 거의 10% 일것이고, 
 
평균단가 170,000원 정도의 투자자는 2%가 조금 넘는 배당률일것입니다.
 
단타가 판치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사실 평단가 5만 원 이하로 이 주식을 가진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으므로
 
평단가 17만 원 정도 되는 사람들의 이익실현이 어떻게 될지 두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박스권이 자주 있었던 주식이므로
 
장기투자관점에서는 급하게 마음먹을 필요 없이 꾸준히 "조금씩" 사는 것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
 
(박스권 상단에서 비중이 높아지면 탈출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조금씩 오래 사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
 
단기투자 관점에서는 21만 원 근처 정도 오면 비중 늘려주고 24만 원 근처 가면 비중 줄이는 식으로
 
매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만약 매수 타이밍을 기다리다가 슈팅이 나와버리면 저는 그냥 아쉽게 됐구나 합니다.
 
다른 좋은 종목들 많으니까 괜찮습니다.
 
SK 머티리얼즈는 자사주나 SK에서 들고 있는 비중이 크지만 시가총액도 커서 주가 움직임이 느립니다.
 
이런 종목에서 굳이 단기투자로 접근하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시가총액이 크고 무거운 만큼 
 
만약 지금 가격에서 매수하였는데 21만 원이 무너지고 20만 원도 무너진다면 다시 회복하는데 오랜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도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나, 환율 하락으로 앞으로 반도체 수출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현재 반도체 특수가스의 국산화 비중이 낮습니다.
 
앞으로의 R&D를 통한 특수가스 국산화 비중 확대의 호재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업계 상황도 고려하여
 
자신만의 판단을 내린 뒤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이전 게시글에서는 SK 머티리얼즈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다면 

 

이번 게시글에서는 SK 머티리얼즈의 사업부문의 전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에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요약.

 

반도체용 특수가스는 국산화 비중이 낮지만 (일본에서 수입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속하고

 

반도체 수요증가 예상 및, 반도체 정밀화로 특수가스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합니다.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SK 머티리얼즈 기업분석

 

SK 머티리얼즈 기업분석 : 저평가종목. 반도체,태양광 관련기업

구분 내용 기업명 SK 머티리얼즈 종목번호 코스닥 : 036490 분야 반도체공정용 특수가스 전문 제조업체 특징 시가총액 2조 4,703억원 ( 코스피 13위 ) 주가 234,200 \ 배당금 ,(배당수익률) 3840\ , ( 1.64% ) P

addsmile.tistory.com


출처 : SK 머티리얼즈 20년도 3분기 사업보고서

사업별 매출 누계에서 각각의 사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나타나 있습니다. 

 

크게 5부문으로 확인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Precursor, 산업가스, Si 계열/식각 가스 등, WF6, NF3

 

각각의 물질에 대해서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Precursor : 전구체 ( 프리커서 )

 

프리커서(Precursor)는 우리말로 전구체라는 뜻이며, 

 

반도체 분야에서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화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유기금속 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출처 : SK 머티리얼즈 홈페이지

SK 머티리얼즈에서는 4가지 정도의 프리커서를 다루는것으로 보입니다.

 

 

잠깐, 프리커서는 정확히 언제 쓰이나?

 

반도체 제품은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8단계 정도의 공정을 거쳐 생산됩니다.

 

참고 : 반도체 공정

 

아주 쉬운 반도체 시리즈 2편 - 반도체 공정

최현규 블로그 - 아주쉬운 반도체 시리즈 1편 바로가기 아주 쉬운 반도체 시리즈 1편 - 반도체 뜻 반도체 전기가 통할때도 안통할때도 있는 물질. 전자제품에 꼭 들어가는 부품을 만드는데 쓴다.

addsmile.tistory.com

이 과정에서 프리커서는 꼭 필요하게됩니다.

 

꼭 필요하다는 점이 중요하나,

 

혹시 호기심이 든 분들을 위한 추가적인 설명입니다.

 

1. 전구체 A가 펄스 되고 표면과 반응합니다. 

 

2. 과잉 전구체(A) 및 반응 부산물은 불활성 캐리어 가스로 퍼지 됩니다.

 

3. 전구체 B가 펄스 되고 표면과 반응합니다. 

 

4. 과잉 전구체(B) 및 반응 부산물은 불활성 캐리어 가스로 퍼지 됩니다.

 

원하는 재료 두께에 도달할 때까지 1-4 단계를 반복합니다.

 

프리커서의 증착 과정에 관련된 자료

 

Chemical Vapor Deposition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CVD processes are well established, and the reactors used for the processes depend basically on the type of precursors, deposition conditions, and the forms of the energy introduced to the system to activate the desired chemical reaction. The most establis

www.sciencedirect.com


산업가스 

 

좌 출처: SK머티리얼즈 홈페이지, 우 출처 : www.0314341414.com

산업가스는 일반적으로 생각하시는 우측의 가스들을 말합니다.

 

산소는 철강, 제강, 자동차, 기계, 화학 공업 등 각종 산업에 이용되며,

 

질소는 급속냉동, 반도체 및 전자산업, 화학 및 금속 열처리 과정 등에 이용됩니다.

 

아르곤은 금속 정제나 가공,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특수용접 시 이용됩니다.

 


Si 계열/식각 가스

 

출처 : SK 머티리얼즈 홈페이지

반도체 회로를 새기기 위한 식각 공정에 이용되는 가스입니다. 

 

모노 플루오로에 탄(CH3F)

CH3F는 3D NAND Flash의 질화막 식각에 사용되는 가스로 3D NAND 확산에 따라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SK 머티리얼즈가 최초 및 유일하게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디 플루오로 메탄(CH2F2

CH2F2는 CH3F와 함께 NAND Flash의 질화막 식각에 사용되는 가스입니다. 최근 3D NAND의 확산으로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트리 플루오로 메탄(CHF3)

CHF3는 3D NAND Flash 질화막 식각과 DRAM 질화막 미세 식각에 사용됩니다

 

헥사 플루오로에 탄(C2 F6)

반도체용 고순도 에칭가스이자,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Metal 증착 후, Chamber 내 잔류물 제거를 위한 Cleaning 용도로 사용됩니다.


WF6 (Tungsten Hexafluoride)

출처 : SK머티리얼즈 홈페이지

 

 

Tungsten Hexafluoride (WF6)는 독성이 있는 부식성의 무취, 액화 가스로, 반도체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가스입니다.


NF3(삼불화 질소)

 

 

NF3(삼불화 질소)는입니다.


레스토랑에서 물과 세제로 설거지를 하듯

 

반도체 제조공정에서는 삼불화 질소가 그 역할을 합니다.


 

가스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각각의 점유율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Precursor, Si 계/식각 가스, WF6 등의 사업부문은 매출 비중이 커지고 있고

 

산업가스, NF3 등의 사업부문은 매출비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에 관련된 가스 부문은 매출 비중을 키우고,

 

범용적인 가스는 매출비중이 줄어드는 것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다만 NF3의 매출이 줄어들었는데 (2158억 -> 2283억 -> 2219억 -> 2059억)

 

NF3 가스의 경우 효성그룹도 생산을 시작하여 그런 것이 아닌가 추측합니다.

 

NF3 SK 머티리얼즈 vs 효성

 

"SK머티리얼즈 VS 효성, 반도체 특수 가스 'NF3' 한판 승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특수가스, 삼불화질소(NF3) 생산 세계 시장 점유율 경쟁을 펼치고 있는 국내의 두 기업이 중국에서 치열한 격돌을 예고하고 있다.

biz.newdaily.co.kr


특수가스의 산업 장벽

 

반도체용 특수가스는 가스의 순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99.999%의 불화수소와 99.9999999999% 이상의 초고순도 불화수소는 매우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0.0009999999% 의 순도 차이는 생각보다 거대합니다.)

 

현재 SK 머티리얼즈는 99.999% 순도의 불화수소를 생산 가능한 상태이고

 

반도체 생산에 사용되는 초고순도 불화수소는 대부분 유럽과 일본에서 수입해오는 상태입니다.

 

국산화율은 현재 50% 정도입니다.

 

특수가스의 국산화 현황

 

[창간11주년]반도체용 특수가스 종류 및 국산화

특수가스 수요 고성장, 국산화 통한 안정 공급 必■ 반도체 공정별 수십여종 특수가스 필요중소벤처기업부 등이 2020년 발간한 ‘중소기업 기술국산화 전략품목 상세분석’에 따르면 반도체용

www.amenews.kr

따라서 반도체용 특수가스 산업의 진입장벽은 높으며

 

우리나라 기업도 그 진입장벽을 넘기 위해 노력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특수가스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는 우리나라에서 SK 머티리얼즈가 가장 크므로 

 

국내 시장에서 어느 정도 독점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용 특수가스 산업 전망- 한국 IR협의회

 

Linx Consulting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용 특수가스 시장규모는 2020년 22억 3,700만 달러, 2021년 22억 5,000만 달러, 2022년 23억 7,200만 달러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기존 2D NAND의 회로 방식이 3D화 되면서 증착 및 식각용 가스 수요가 증가하고, 미세화 공정 확산으로 인한 반도체 단수의 증가가 패터닝 공정에 소요되는 특수가스 수요를 증가시켰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수가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공정의 수율과 직결되는 핵심 재료이지만, 일본 등 외산 의존도가 높은 품목이다. 2019년 일본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3개 소재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일본의 특수가스 제조기업인 쇼와덴코 등으로부터 식각용 가스를 공급받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안정적인 조달을 보장받을 수 있는 국산 제품으로 교체 수요를 증가시켰다. 또한, 최근 COVID-19 확산의 영향에 따른 반도체 고객사의 안전 재고 비축 확대 움직임까지 더해져 반도체 특수가스를 제조, 공급하는 국내 기업의 실적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고순도 특수가스 사업은 기술개발이 어렵고, 기술개발에 장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대규모 생산설비 구축에 많은 자금이 투입된다. 또한 산업용 특수가스 산업은 특정 업체의 주문에 따라 비교적 소수 업체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산업 내 경쟁 정도는 타 산업 대비 낮은 편이지만 신규업체의 시장 진입이 쉽지 않다. 현재 국내에서는 원익머트리얼즈를 비롯하여 SK머티리얼즈, 후성, 효성 화학, 대성산업가스 등 일부 업체의 과점체제이며, 신규 경쟁업체가 틈새시장을 공략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원익머트리얼즈(104830) 7 반면, 반도체 생산공정의 필수적인 재료로서 대표적인 특수가스의 하나인 N2O, NF3 등의 국내 생산이 증가하고, 지리적 이점 등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확보한 국내업체에 대한 전방산업 고객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출처: 한국 IR협의회


시가총액 비교

 

원익 머티리얼즈 :3543억

후성:9085억

효성 화학:4179

대성산업: 1429억.

 

SK 머티리얼즈의 시가총액은 2조 4700억 원입니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여담

 

필자는 현재 성균관대학교 화학과에 재학 중인데, 화학의 비전이 IT나 공학도들보다 떨어지는 것 아닌가 하고 걱정했었다.

 

이번 분석을 하면서 내가 잘 몰랐을 뿐이고, 노력하는 자에게 비전이 있을만한 분야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추가로 금속유기화합물에 대해서도 자세히 공부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반응형
반응형

SK Building. Beijing, China

구분 내용
기업명 SK 머티리얼즈
종목번호 코스닥 : 036490
분야 반도체공정용 특수가스 전문 제조업체
특징  
시가총액 2조 4,703억원 ( 코스피 13위 )
주가 234,200 \
배당금 ,(배당수익률) 3840\ , ( 1.64% )
PER 17.62 ( 20년도 예상치 )
ROE 26.72 ( 20년도 예상치 )
ROA 9.08 ( 20년도 예상치 )
매출액 9426 억원 ( 20년도 예상치 )
주요주주 SK 49.10 %
국민연금공단 7.13%
자사주 15.07%
외국인 보유비율 15.06 %
수혜  

SK 머티리얼즈는 

 

SK그룹 계열 화학업체입니다.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특수가스 (NF3, SiH4, WF6)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회사 위치

 

SK 머티리얼즈 본사 및 공장 : 경상북도 영주시

SK 머티리얼즈 서울사무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회사

SK 에어가스 (울산광역시) :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용 질소, 산소, 아르곤 등 생산 및 서비스 공급. 

SK 트리켐 (세종시) : 반도체 공정용 전구체 제조, 판매

SK 쇼와덴코 (영주시) : 반도체 공정용 식각 가스 제조 판매

한유케미칼 (울산광역시) : 반도체 공정용 이산화탄소 제조 판매

 

출처: SK 머티리얼즈 홈페이지 브로셔

SK materials Jiangsu (중국, 장쑤성) : 삼불화 질소 생산. 생산능력 (1500t/year)

SK materials Xian (중국, 시안) : 판매법인 및 물류창고.

SK materials Shanghai (중국, 상하이) : 판매법인 및 물류창고.

SK materials Taiwan (대만) : 판매법인 및 물류창고.

SK materials Japan (일본) : 판매법인 및 물류창고.


주로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 판매법인과 물류창고를 위한 자회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SK머티리얼즈의 지분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SK 머티리얼즈 20년도 3분기 투자 보고서

SK 머티리얼즈는 SK 홀딩스의 자회사이며,

 

SK 머티리얼즈는 가스 제조에 관련된 공장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출처 SK머티리얼즈 20년 3분기 투자보고서

내수시장 비율이 70% 로 가장 높으며 중국과 대만시장도 24%로 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산업별로는 반도체 70%, 디스플레이 16% 로 반도체의 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SK 머티리얼즈의 성장성

 

다양한 종류의 가스를 취급하기 때문에 매출 다변화도 되어있고, 성장률도 굉장히 높습니다.

 

 

ROE 가 20~30에 ROA 까지 10 근처인데 어떻게 이런 이익률이 나오는 건지..

 

투자지표나 성장성을 보았을 때는 정말 매력적인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주주가치 재고

배당금은 16년도 이후로 배당성장은 조금 감소하였지만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현 시가 기준 1.64% 정도의 배당률로 나쁘지 않은 배당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도 자주 실시하고 있습니다.

 

주주가치를 생각해주는 모습까지 좋습니다.


 

제 기준에서는 너무 마음에 드는 부분이 많은 회사인데, 이럴수록 투자에 조심해야 합니다.

 

투자는 확신을 하는 순간 나락으로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생각과는 별개로 드는 생각은 항상 SK 계열의 기업들을 분석할 때마다 참 편합니다.

 

회사가 IR 자료나 회사 홈페이지에 신경을 많이 쓰는 것이 느껴집니다.


SK 머티리얼즈 주가 추이

2020년 3월 코로나 폭락 이후 주가가 높아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이전에서는 박스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전의 매출 성장과 영업이익 증가를 보면 의아합니다.

 

만약 현명한 가치투자자였다면 현재의 주가가 형성되기 이전 매수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의 가격은 주가의 전체적인 흐름에서는 가장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여러 방향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은 모두 아실 겁니다.

 

2014년도에서 2017년도로 가면서 주가가 급등하는 구간 이후 박스권이 나타나는데, 

 

매출액과 비교해봤을 때 유의미한 유사성은 찾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매출이나 영업이익적으로 보았을 때

 

주가는 박스권 없이 꾸준히 오르는 모양이 적절하지 않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코스피의 모습+ SK 머티리얼즈의 배당금 증가 추이와 비슷한 추이로 주가가 움직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좌: SK머티리얼즈, 중: 코스피 우: 코스닥

2014-2017 박스권에서는 코스피 이상의 상승, 2018년-2019 코스피 하락에 대비해서는 덜 하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코스닥에 속해있는 기업이고, 최근의 흐름은 코스닥과 더 유사해 보이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코스피와 더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배당금 총액의 흐름과 상당히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는데,

 

때문에, 만약 이번 연도 배당금 총액이 늘지 않는다면, 주가가 하락할 위험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주가를 코스피, 코스닥의 전체적인 흐름 + SK머티리얼즈의 배당금 총액과 같은 흐름으로 볼 것인지,

 

또는 저평가되었던 부분이 해소되는 것인지로 보는 것에 따라

 

향후 주가를 판단해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저평가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겠습니다.

 

보통 주가가 저평가되는 경우는 해당 산업의 전망이 밝지 않아서입니다.


 

따라서 다음 게시글을 통해  SK 머티리얼즈의 반도체용 특수 가스 산업은 어떨지 알아보겠습니다.

SK머티리얼즈 반도체용 특수가스 사업 전망

 

SK 머티리얼즈 : 반도체용 특수가스 향후 사업 전망 예상. 특수가스 국산화 노력

이전 게시글에서는 SK 머티리얼즈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다면 이번 게시글에서는 SK 머티리얼즈의 사업부문의 전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래에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addsmile.tistory.com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바이든 후보 당선으로 최근 태양광 에너지와 관련된 사업을 하는 업체들에 대해서 분석 중인데,

 

전체적인 정리를 시작하고 개별적인 정리를 시작하고자 표로 제작하였습니다.

 

우측의 주석과 숫자들의 출처는 naver 파이낸스 -태양광 테마 부문입니다.

 

테마부문에서 가져온 자료이기 때문에,

 

태양광 사업이 실제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수준의 기업들도 있을 것입니다.

 

다만 태양광과 관련된 기업들을 한눈에 편히 보고자 시가총액 순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엑셀로 작성하였었고 ( 엑셀은 표 수정용이라 읽기 편하지는 않습니다.)

 

이 파일 또한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시가총액(억)

현재가

매출액(억)

PER

ROE

ROA

LG전자

140,083

85,600

623,062

34.35

0.22

0.4

고효율, 다결정 태양광모듈 개발, 에어컨 태양광 패널 장착

한국전력

137,059

21,350

591,729

-14.88

-3.42

-1.18

미국에 태양광 사업 진출

한화 솔루션

78,653

49,200

95,033

-47.49

-4.02

-1.61

폴리실리콘 생산, 수상 태양광 플랜트

한국조선해양

65,324

92,300

151,826

62.07

1.4

0.86

현대에너지 설루션 보유

SKC

30,703

81,800

25,398

29.64

3.86

1.73

태양광 필름 생산, pet, eva

SK머티리얼즈 *

24,703

234,200

7,722

19.66

30.22

9.51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제조용 특수가스 생산

한화

19,976

26,650

504,124

13.96

2.09

0.13

에이치에스 아이, 한화솔루션 보유

원익 IPS *

16,885

34,400

6,692

27.15

9.16

6.07

솔라셀, 반도체, 디스플레이 증착장비 생산

LS ELECTRIC

16,500

55,000

23,468

16.97

7.82

4.17

태양광발전사업, 모듈/인버터, 그린에너지 사업 육성중

OCI

15,597

65,400

26,051

-1.93

-26.2

-15.42

폴리실리콘 생산.

KCC

14,529

163,500

27,196

-689.87

-4.37

-2.42

50mw 이상급 태양광발전시스템 시공 이력, 자체 소유 태양광 발전소 소유

에스에프에이 *

13,448

37,450

15,777

10.78

15.9

8.48

박막형 솔라셀에 사용하는 TCO Sputter, CIGS 국책과제로 개발 완료

티씨케이 *

11,406

97,700

1,714

22

23.15

20.14

태양광 웨이퍼(실리콘 웨이퍼)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의 부분품 생산, 실리콘 잉곳 생산용 흑연 제품 제조

SK디앤디

8,242

43,400

4,547

8.92

12.66

3.11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영위, 태양광 발전소 및 풍력발전소 개발, 운영. 순천 태양광 발전소 보유

신성이엔지

7,352

3,740

4,511

101.08

1.77

0.5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에서 태양광 제품 생산, 판매.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 설치 사업 영위

대주전자재료 *

6,620

43,550

1,164

141.86

-1.11

-0.38

전지 부품용 소재 전문 제조 업체. 태양전지 전극재료 생산

한미반도체

5,974

11,600

1,204

15.49

8.85

7.65

반도체 자동화 장비 제조 및 판매. 태양광 장비 개발 생산

다원시스 *

5,643

20,900

1,751

63.53

2.09

0.95

폴리실리콘 제조용 CVD 전원장치 생산

테스 *

5,634

28,500

1,784

30.22

4.56

3.98

태양전지용 장비 제조 사업 영위, 차세대 태양전지용 증착장비, CIGS 박막 태양전지용 증착장비 연구과제 수행

톱텍 *

5,589

14,700

1,672

24.66

1.09

0.05

태양광광발전시스템, 태양광 모듈 판매 영위.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 티앤솔라를 종속회사로 보유

코오롱글로벌

4,815

19,100

34,841

7.08

10.74

2.18

필름형 PV 모듈을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개발.

유니테스트 *

4,766

22,550

1,983

36.31

17.03

13.18

태양광발전 관련 전기업 영위하는 유니솔라에너지, 유니 청정에너지 지분 100% 보유,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시공 기술 보유

현대에너지솔루션

4,306

38,450

4,461

13.79

 

 

현대중공업 그룹 계열의 태양광 업체. 태양광 모듈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 인버터, ESS 시스템, 태양광 발전소 시공 및 유지보수 서비스

주성엔지니어링 *

3,575

7,410

2,591

132.32

11.5

6.53

박막형 태양전지, 단접합, 다중접합, 결정형 태양전지 장비 사업 영위

나노 신소재 *

3,526

32,500

489

88.56

6.35

5.79

박막 태양전지에 들어가는 나노소재 생산 중. 셀 효율 증대를 위한 HJT Solar cell 기술 적용하여 양산

코미코 *

3,515

37,850

1,735

18.68

21.04

8.7

반도체, 태양광, 디스플레이 산업부문의 정밀세정 및 특수 코팅 사업 영위. 태양관 전지 생산공정이 Tray 부품 제작, 판매

한솔테크닉스

2,871

8,940

9,722

20.09

2.79

1.28

태양광 모듈 제조하는 태양광 사업 영위

도화엔지니어링

2,593

7,690

5,161

15.54

6.94

4.43

태양광 발전소 EPC(설계, 조달, 시공) 사업 진행 중. 종속회사인 우진 에너지 일호, 우진 에너지 삼호, 도화 그린에너지 등이 태양광 발전소 건설 및 운영사업 영위

엘오티베큠 *

2,413

16,550

1,502

22.07

1.51

0.97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셀 제조 등에 사용되는 Fore Vacuum 용 건식 진공펌프 생산, 판매

SDN *

2,101

4,360

650

29.07

5.59

3.16

태양광 사업, 엔진 조선사업 영위 업체.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시스템 공급업체 대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판, 인버터 공급

제우스 *

2,051

19,750

3,235

16.49

6.43

3.62

태양전지 제조장비( tabbing system, laminator system, glass loader 등 ) 생산업체

에스와이 *

1,679

3,855

3,801

-7.34

-14.58

-4.66

건축 외장재 패널 전문업체,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이 주요 사업, 17년 9월 베트남에 300Mw 규모 태양광 발전사업 시행을 위한 합의각서 체결

아바코 *

1,517

9,840

2,261

11.84

15.7

9.52

평판디스플레이 관련 장비업체. 박막형 태양전지 장비 사업도 영위

레이크 머티리얼즈 *

1,486

2,260

349

83.7

6.49

2.49

유기금속 화학물 설계 및 트라이 메틸 알루미늄 제조기술 기반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광 셀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초고순도 유기금속 화합물 개발 및 공급 중. 개발 소재 국산화 주도

에스엔유 *

1,426

4,155

643

14.89

6.92

5.36

OLED, LCD, 태양전지 등의 상업용 제조장비 제조/판매 업체. 세계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사 및 태양전지 제조사들을 주요 고객으로 한다고 함

KC코트렐

1,346

10,350

3,006

-15.36

2.52

0.25

가정용, 산업 대형 설비용 태양광 발전소 기획, 설계, 시공, 운전, 유지, 관리사업

에스에너지 *

1,222

8,290

2,169

-27.73

-7.92

-2.23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태양전지 모듈 제조업체. 국내 최초로 BIPV 모듈 상업화 성공

파루 *

1,156

2,980

531

-12.74

1.12

0.37

태양광 추적장치 사업 영위. 그 밖에도 소독기, 손소독제, 인쇄전자사업들을 영위

KC그린 홀딩스

1,149

5,120

6,989

-34.36

4.61

1.93

KC솔라에너지, KC코트렐을 계열사로 보유

에스폴리텍 *

1,085

6,640

1,350

9.31

21.06

10.09

태양광 모듈용 EVA시트 국산화 개발 완료( 산업자원부 과제였음)

광명전기

904

2,085

1,319

11.39

8.53

4.61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공 산업도 영위

뉴인텍 *

837

2,785

544

-146.58

-5.33

-2.39

태양광 인버터용 캐패시터(콘덴서) 생산. 카코 뉴에너지를 비롯한 인버터 업체들에게 판매 중

윌링스 *

819

16,850

429

51.85

10.78

6.66

태양광 전력 변환장치, 태양광 발전 EPC, 유도가열 인버터, 선박 수처리용 전력 변환장치 사업 영위

매커스 *

773

4,785

575

11.93

9.11

5.1

세찬파워(태양광 발전 시행사), 에스피 에너지(경남의 태양광 발전소), 에스피 솔라(전남의 태양광 발전소) 지분 보유

알에스오토메이션 *

771

8,470

822

445.79

0.38

0.2

로봇 모션 제어기, 산업용 제어 솔루션 제조, 판매. ESS용 PCS, 태양광용 PCS 등을 생산

혜인

694

5,460

2,609

5,460.00

4.55

1.9

혜인 산업(태양광 발전산업 영위) 흡수합병. 혜인은 건설기계 및 육상용 발전기, 선박 및 산업용 엔진 발전기 수입판매 전문업체.

대성파인텍 *

689

2,200

375

-115.79

2.33

1.43

신재생 에너지 사업부에서 태양열 온수기, 보일러, 태양광 발전설비 및 가정용 태양광 , 심야전기보일러, 심야전기 대체 히트펌프 등을 생산, 판매

이건 홀딩스 *

569

2,520

4,703

-26.25

2.8

0.72

이건창호(시스템창호(건축시장 마감재) 제조 판매, 시공 전문업체)를 자회사로 보유 중. 이건창호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창로를 생산 판매 중. 건자재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BIPV) 개발.

 


*오타주의*

최현규 블로그. 태양광 테마정리. addsmile.tistory.Cell
0.01MB


우측의 주석의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저도 확인 후 적은 것이 아닙니다.

 

단순히 naver 파이낸스 부문의 내용을 옮겨 적은 것입니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공급의 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의 변화율을 말한다.
 
공급 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


 


가격이 20% 올랐는데, 공급은 10% 밖에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위 식을 이용해 계산하면
 
공급 탄력성 = 공급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 = 0.1 ÷ 0.2 = 0.5
 
공급탄력성은 0.5가 된다.
 


공급탄력성이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 탄력성(가격탄력성)은 가격변화율에 대한 수요변화율의 비율을 말한다.
 
수요탄력성 = -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 변화율



수요 탄력성이 1보다 크면 탄력적,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수요탄력성(가격탄력성)
생필품비탄력적
사치품탄력적
대체제가 없는 품목비탄력적
대체제가 있는 품목탄력적

생필품은 가격이 아무리 오르더라도 수요의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다.
 
치약 가격이 올라간다고 하루에 양치를 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수도세가 올라간다고 물을 덜 쓸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대체제가 적은 경우에도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이다.


반대로, 사치품은 가격이 너무 비싸면 사지 않거나 다른 품목을 구매하면 된다, 이 경우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다.


 


우리 생활에서 공급탄력성과 수요 탄력성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개인의 의사결정, 기업의 의사결정, 정부의 정책결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강남 아파트 단지

 
예를 들어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은 공급탄력성과 가격탄력성이 낮다.
 
건물을 짓는것은 오래 걸리고, 특정 위치에 지을 수 있는 건물의 개수는 공간적으로 제한되므로 공급 탄력성이 낮다.
 
강남, 여의, 판교 등 좋은 위치에 있는 부동산의 수요는 가격이 얼마나 오르건 비슷하기 때문에 가격탄력성도 낮다.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대학교육도 비슷한 상황이다. 
 
등록금 인상률보다 휴학률이나 중퇴율이 낮기 때문에 가격탄력성이 낮다.


 
정부도 정책을 펼치며 공급, 가격 탄력성을 신경 쓴다.
 
예를 들어 지하철 요금을 인상하는 경우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인 것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면
이용 요금 인상을 별로 할 수 없다.
 
반대로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인 경우 요금 인상이 쉽게 된다.


공급 탄력성, 가격탄력성 등의 용어는 보통 필수재에 관련된 기사나,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서 자주 만나게 된다.


반응형
반응형

공공재는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경제학에서 공공재란 비경합적(nonrivalrous)이며 비배제적(nonexcludable)인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비경합성(nonrivalrism)

재화·서비스의 소비 과정에서 경쟁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한 사람이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소비분이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일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넉넉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배제성(nonexcludablity)

재화·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치르지 않은 사람을 소비 활동에서 배제할 수 없는 특징을 말합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경합성 배재성 예시
사적재
( Private goods )
X O 입장료를 받는 공원, 유적지,
고속도로
공공재 
( Public goods )
X X 도로, 철도, 교량, 항만, 수도, 전기, 의료 보험, 국방 서비스, 치안 서비스, 초등 교육서비스, 기초학문 연구서비스
준공공재 (=비순수공공재)
( Quasi-public goods )
O X 국도

서울, 올림픽대로, 타짜, 곽철용 (배우 김응수)

공공재의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시간, 지역, 경제적 상황 및 정부 정책에 따른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새벽시간의 한적한 국도는 비경합적이고 비배제적인 공공재이지만,

 

출퇴근 시간에 통행이 많은 국도는 비순수 공공 재가됩니다.


공공재는 공동으로 생산 ( 보통 세금 ) 하기 때문에

 

공공재 생산은 반드시 무임승차자의 문제(free-rider problem)가 결부됩니다.

 

무임승차자의 문제 : 공공재 생산을 시장에만 맡기면 적정 수준의 공공재가 생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려 하지 않고 편익만 누리려는 소비자들의 이기적이면서도 전략적인 행동은 항상 일어납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공공재는 정부에서 적정량을 생산/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받아들여집니다.


 

공공재는 뉴스나 실생활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는 아닙니다.

 

하지만,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 수요와 공급으로 가격이 결정된다. )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치고 가야 하는 개념입니다.


우리 생활에서 

 

공공재는 국민 전체의 삶의 질을 올려주고 경제활동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시간, 정책, 상황에 따른 공공재의 성격 변질, 관리 부실, 이해갈등 등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골디락스(Goldilocks)는 ' 적당한, 이상적인'을 의미합니다.

 

"골디락스"라는 단어는 영국의 동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골디락스 경제는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상승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지칭하는 경제용어입니다.


1990년대 미국 경제가 과도한 인플레이션 없이 안정적인 경제 성장세를 보이자

미국 언론에서 당시 경제 상황을 골디락스 경제로 부르기 시작한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이후 2004년 중국이 고성장에도 불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자,

"중국 경제가 골디락스에 진입했다"고 영국의 언론사가 보도하여 이 말이 더 널리 알려졌습니다.


왜 골디락스라는 말이 들어가는가?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라는 영국 동화가 있는데, 주인공 소녀의 이름이 골디락스이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줄거리는 이렇다. 예쁜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는 숲 속을 헤매다 한 오두막을 발견했다.

노크를 했지만 아무도 나오지 않았고, 골디락스는 그냥 들어간다. 부엌에 간 골디락스는 죽 세 그릇이 식탁에 놓여있는 것을 발견했으며 첫 번째 죽과 두 번째 죽은 각각 뜨겁거나 차가웠고 세 번째 죽은 딱 적당한 정도여서 골디락스는 세번째 그릇을 맛있게 비웠다.

식사를 마치고 골디락스는 피로가 몰려와 거실로 이동하고, 그곳에 세 개의 의자가 있었는데, 첫 번째 의자와 두 번째 의자는 너무 크거나 작아서 앉을 수 없었고 세번째 작은 의자는 딱 맞아서 골디락스는 편하게 앉았으나 그 의자는 곧 부서져 버렸다. 골디락스는 어쩔 수 없이 지친 몸을 이끌고 침실로 들어갔다. 침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침대는 너무 딱딱하거나 푹신해서 잘 수가 없었고, 딱 맞는 세 번째 작은 침대에서 골디락스는 잠이 들었다.

그 후, 집주인인 세 마리 곰이 산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부엌에 오자, 그들은 누군가가 건드린 죽과 아기곰의 빈 그릇을 발견했다. 뒤이어 곰들은 거실에서 누군가가 앉았던 의자와 부서진 아기곰의 의자를 발견한다. 마지막으로 곰들은 침실에서 누군가 누웠던 흔적이 있는 침대와 아기곰 침대에 누워있는 소녀를 발견했다. 웅성이는 소리에 골디락스는 눈을 뜨고, 세 마리 곰이 자기를 쳐다보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 곧바로 멀리멀리 도망친 뒤로 오두막에 얼씬도 하지 않았다.


골디락스 경제라는 용어 외에도

 

항성 시스템의 생명체 존재 가능구역 ( 너무 뜨겁지도, 춥지도 않은 구역)을 골디락스 존이라고 부릅니다.


반응형
반응형

무역 컨테이너와 배우 수지

경상수지 ( current account ) 우리나라가 경제적 활동을 하여 발생한 수지타산을 말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의 거래에서 흑자인지 적자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값입니다.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인데, 경상수지의 정의와 구성, 환율에 미치는 영향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른나라와의 거래는 수출과 수입을 말합니다. 경상수지와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경상수지 = 수출 - 수입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정의는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다른나라들과 하는 경제활동은 무역활동만 있는것이 아닙니다.


정확하게 경상수지 국가 간 거래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 생산 요소 거래 등으로

 

'수취한 외화'와 '지급한 외화'의 차액을 말합니다.


국가 간의 외화 거래가 이루어질만한 경제 활동은

 

무역활동

국내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근로, 외국에서 국내 노동자의 근로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보내주는 돈

물건을 실어나르는 대가

 

등의 활동이 있습니다.

 

따라서 경상수지를 보다 더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위와 같은 외화의 변동을 용어를 정하여 분류합니다.

 

용어는 상품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서비스수지로 나뉩니다.


경상수지의 구성요소 정의 예시
상품수지 ( 무역수지 ) 물건을 수출·수입한 내역 반도체 수출, 원유 수입, 밀가루 수입 등
본원소득수지 (=소득수지) (외국에서 근로하는 내국인 노동자의 급료 + 외국금융자산에서 발생하는 투자수익) 
- ( 내국에서 근로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급료 +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가는 투자수익 )
외국인 노동자, 해외파견 근로자, 
해외투자 등
이전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내국인과 외국인 사이에 아무런 대가 없이 주고받는 금전 거래의 차이.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가 보내오는 송금, 해외 종교기관이나 자선단체로부터 오는 기부금과 구호물자, 
정부 간의 무상원조 등 
서비스수지 외국과의 서비스 거래 결과 벌어 들인 돈과 지급한 돈의 수지차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 선박운임료 등

정리하여, 경상수지는 국가 간 거래에서 외화의 수지타산을 말합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경상수지가 + 일때는 경상수지 흑자. 벌어들인 외화 > 나간 외화

 

경상수지가 + 일때는 경상수지 적자. 벌어들인 외화 < 나간 외화


경상수지의 정의를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실제로 경상수지를 보겠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초록창에 "경상수지"를 검색 시 나오는 화면입니다.

경상수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것은

 

우리나라가 국가 간 경제활동에서 이득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정도를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경상수지가 음수가 된 것은 국가 간 경제활동에서 적자였음을 의미합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위에서 다룬

상품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서비스수지 구성별로 흑자와 적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를 자세히 보신 분이라면 "금융계정"과 "국제수지"에 대해서도 궁금할 것입니다.

 

나중에 자세히 다룰 기회가 생기겠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은 도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금융계정은 금융기관의 대외순자산을 의미합니다.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와 금융계정을 종합한 수지입니다.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

 

뉴스 기사에서 경상수지는 자주 등장합니다.

 

경상수지 흑자는 국가의 외환보유를 증가시키므로 국가 재무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보통 경상수지 흑자는 무역흑자의 결과이므로 무역흑자로 인한 일자리 증가와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경상수지 흑자는 이론적으로 국내 통화량을 늘리고, 환율을 내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대로 경상수지 적자는 이론적으로 국내 통화량을 줄이고, 환율을 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출처 : https://ecodemy.cafe24.com/bash5.html


일반적으로 경상수지 흑자는 좋은 의미로 해석됩니다.

 

경상수지가 흑자인 것이 절대적으로 좋다 라고만 말할 수는 없습니다. 

 

중국의 경우 미국과의 경상수지가 과도한 흑자를 달성하여 무역 견제를 받기도 하고

 

경상수지 흑자로 인해 환율이 내려가면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론상)

 

물론 절대적으로 나쁘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투자를 결정할 때에 경상수지라는 한 가지 지표만 고려할까 염려하여 적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경상수지"는 이해하기 쉬운 지표이기 때문에 언론에서 자주 다루는 지표일 뿐 절대적인 판단의 기준이 아닙니다.

 

경제학의 한 용어 정도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한민국, 강남

 

경기 종합지수는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동향을 쉽게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 경제지표의 움직임을 가공·종합하여 지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영어로 CI (Composite indexindex)라고 한다.

 

1983년 3월부터 통계청에서 매달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개별 구성지표의 경기 전환점에 대한 일치성 정도에 따라

 

선행 종합지수(leading)

동행 종합지수(coincident)

후행 종합지수(lagging)로 나눈다.


통계청에서 매달 지수를 산출해주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조회할 수 있다.

 

통계청 경기 종합지수 조회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 그래프/통계표 ○ 그래프 - 경기종합지수 추이 통계청「산업활동동향」 추세치=100을 기준으로 순환변동치가 100을 상회하면 추세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고 100을 하회하면 추세이하의 성장을

www.index.go.kr


경제구분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
고용 구인구직비율 비농림어업취업지수 상용근로지수
생산 재고순환지표 광공업생산지수,서비스업생산지수 생산지제품재고지수
소비 소비자기대지수 소비판매액지수,내수출하지수 도시가계소비지출
투자 기계류내수출하지수,건설수주역 건설기성액  
대외 수출입물가비율,국제원자재가격지수 수입액 소비재수입액
금융 코스피,장단기금리   회사채유통수익율

 

선행 종합지수(leading) :  향후 경기변동의 단기 예측에 이용된다

 

동행 종합지수(coincident) :  현재 경기 상황의 판단에 이용된다.

 

후행 종합지수(lagging) : 현재 경기의 사후 확인에 이용된다.


자세히 알고자 하면 어려울 수 있지만, 쉽게 생각해서

 

미래, 현재, 과거 경제 활동 상태를 반영하는 여러 지표 들을

 

선행, 동행, 후행으로 구분해서 우리가 보기 쉽도록 가공해서 숫자로 나타내 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다만, 경기선행지수가 만능적인 예측은 될 수 없다. 

 

애초에 선행지수 산출기준에 코스피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한 주가 예측은 큰 의미가 없고,

 

선행지수가 무조건 동행지수를 선반영 하는 것도 아니다.

 

지수는 경제 상황의 큰 흐름을 느끼고 싶을때 참고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반응형

텍사스의 DI

경기동향지수는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 파악하기 위해서 만든 지수이다.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다.

 

대표적인 지수로는 디퓨전인덱스 ( diffusion index:DI )가 있다.

 

경기종합지수 ( CI ) 와 다름으로 구분해서 알아야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이다.


 

산출방식은 다음과 같다.

 

만약 산출 방식의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수는 70%로 나타난다.

 

만약 경기동향지수가 기준선인 50보다 크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보다 작으면 수축국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경기종합지수를 더 자주 사용하고 경기동향지수는 이론적인 수치에 가깝다.


산업통계 분석시스템

 

산업통계 분석시스템(ISTANS)

 

istans.or.kr

추가로 위의 사이트에서 경기종합지수를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빵에 버터를 spread 하듯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금리가 가산금리이다.

 

가산금리는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말한다.

 

영어로는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더해지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한다.

 

신용도가 높은 사람은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신용도가 낮은 사람은 가산금리가 높아진다.


좌: 선진국 우: 신흥국. 당연하지만 우리나라도 신흥국에 속한다.

 

채권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선진국이고 안정적인 국가일 수록 저렴한 비용으로 국채를 발행할 수 있게 되고

 

위험도가 높은 나라일수록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 채권 구매자 입장에서는 높은 이자율 ) 국채를 발행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이 경우 가산금리는 국가의 신용도를 판단하는 데에 기준이 되기도 한다.

 


좌 : 미국 재무부 우: 영국은행

채권의 가산금리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자

 

채권의 "기준금리"는 미국 재무부 증권 금리(TB) 또는 런던 은행 간 금리 ( Libor, 리보 금리 )이다.

 

여기에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 "발행금리"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리보금리가 3.0 % 이고 가산금리가 1.25 % 이면 채권의 발행금리는 4.25%가 된다.

 


가산금리의 단위로는  bp (Basis Point)를 사용한다.

 

1% = 100bp이다.

 

1.25% 의 가산금리는 125 bp 가 되는 것이다.  


이제 이 글을 읽은 독자는 아래의 그래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신흥국 채권 가산금리의 변동 그래프이다.

세로축의 숫자는 bp 즉, 가산금리를 의미하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360bp는 3.6%의 가산금리를 의미하며

 

TB 또는 리보금리에 3.6% 를 더한 것이 신흥국 채권의 발행금리가 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가산금리가 높아지는 것은 그만큼 해당 국가의 위험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쉽게 생각할 때 신용도가 높은 사람은 제1 금융권에서 낮은 이자율로 돈을 빌릴 수 있고

 

신용도가 낮은 사람은 이자율이 말도 안 되게 높은 사채 등을 통해서만 돈을 빌릴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해본다면

 

가산금리가 쉽게 이해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2020년 미국 대선은 조 바이든이 승리하였다.

 

 

2020년 미국 대선은 조 바이든이 승리하였고  2021년 1월 20일부로 미국의 대통령이 바뀌게 된다.


내용 요약

 

1. 부가 아닌 근로에 보상하고자 한다. (최저시급 인상, 자본 소득세 인상, 美제조업 활성화)

 

2. 환경 문제에 관심이 깊다. (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 화석에너지 보조금 폐지)

-철도/버스 전기화

-미국산 친환경 자동차 생산,사용 정부조달로 촉진 (300만대)

-전기차 충전소 50만개 구축 사업

-4년간 400만개 건문 200만개 주택 친환경화, 친환경 공공주택 150만개 공급

-친환경 에너지 혁신에 4년간 4,000억불 R&D 지원

-제공조 주도 파리협정 재가입

-중국 탄소감축 양자협정 체결중국에 석탄 수출보조금 철폐 요구

 

3. 부분적 총기규제

 

4. 오바마 케어 부활, 확대

 

5. 이민,국경 통제 완화

 

 


78세 62일에 취임할 예정으로서 미국 역사상 최고령 대통령이 되었다.

 

주요 공약

 

1. 경제 및 산업

 

중산층의 재건 : (wealth)가 아닌 근로(labor)에 보상

- 연방 최저시급 $15로 인상 (’09년 이래 $7.25에서 불변했었다.)

- 트럼프 행정부의 부자 감세 철폐

- 소득세 최고세율을 39.5%까지, 법인세율을 28%까지 인상

( 현재 소득세 최고세율은 37%, 법인세율은 21% )

- 자본소득세 인상

 

미국내 생산 재건

- 미국산 상품·서비스 4천억불 구매(Buy American)

- 미국 제조업 활성화

- 친환경 등 미래산업에 R&D 3천억불 투자

- 근로자 친화적 무역협정

- 대중국 강경 무역정책

- 핵심 공급망의 미국 복귀

 

2. 환경 및 에너지

온실가스 배출을 2050년까지 제로화*

* ’19.6.4 종합계획 발표 (10년간 1.7조$ 지출)

- 재생에너지 인프라 투자확대

- 각종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

- 가스석유산업 공유지임대 신규허가 금지

- 파리협정 재가입,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이행

- 배출감축 실패 기업에 대한 벌칙은 의회가 결정

- 원자력기술 투자확대를 통해 온실가스감축에 기여

- “Keystone Pipeline XL Project” 중단

* TC Energy를 사업자로 하는 미-캐 송유관 연결사업

 

3. 교육

교육의 접근성 개선

- 저소득지역 학교 지원확대

- 교원급여 개선

- 공공분야 종사자에 대해 학자금대출 상환부담 경감

- 커뮤니티 칼리지 무료화

 

4. 형사제도·총기규제

형사제도 개혁, 부분적 총기규제

- 사형제도 폐지, 보석금(Cash Bail) 폐지

- 고속연사화기에 대한 자발적 판매반납 사업 추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12년 9월 민주당 전당대회 당시 조 바이든과 함께한 모습. 

5. 건강보험

오바마케어 부활·확대

(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주도한 미국의 의료보험 개혁안. 2014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차상위 계층에겐 정부가 의료보험을 제공하고, 그 이외의 국민에겐 사보험으로 의무 가입을 통해 전국민 의료보험을 시행하려는 제도이다 )

- 오바마케어를 부활시키되 보조금 확대

- 정부주도로 제약회사들과 약가협상(해외가격 참고)

 

6. 이민·국경

이민·국경통제 완화 : 미국의 근본은 이민자의 나라

- 불법이민자에게 시민권 취득기회 부여

- 일부 아동 불법이민자는 자동으로 미국 시민권 부여

- 정치적 난민에게 심사기회 제공

 

 

클린에너지 관련 공약

 

1. 첨단 인프라 구축

- 도로, 다리, 철도, 항공, 해운 등 교통인프라 재구축

- 철도혁명을 통해 철도를 전기화하고 화석연료 배출 감축

- 폐기 플랜트·산업시설·탄광 등을 미래산업 허브로 육성

 

2. 미래형 자동차산업 선점

- 미국산 친환경자동차 생산·사용 정부조달을 통해 촉진(300만대)

- 전기차 충전소 50만개 구축사업 추진

- 2030년까지 모든 버스생산을 무탄소 전기버스로 전환

 

3. 친환경 전기발전산업 구축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에너지효율을 증진하고 관련산업 발전을 위한 세제개편

 

4. 건축분야 혁신

- 4년간 400만개 건물 200만개 주택을 친환경으로 전환

- 친환경 공공주택 150만개 공급

 

5. 친환경 에너지 혁신에 임기 내 (4년간) 4,000억불(400Billion$) R&D 지원

- 클린에너지, 클린교통, 클린산업, 클린자재에 R&D 지원

- 기후관련 연구기관 ARPA-C 신설을 통해 R&D* 총괄

( 리튬이온 배터리의 1/10 비용의 그리드저장기술, 첨단핵발전기술, 환경친화냉난방기술, 지속가능한 건축, 재생에너지를 통한 수소추출, 저탄소 건축자재 등 )

 

6. 지속가능한 농업에 투자

- 친환경기술의 농업도입을 위한 농업종사자 지원

 

'밀집' 트럼프. '거리두기' 바이든 너무 다른 유세 풍경 2020.10.12(좌)2020.10.13(우)

환경/ 기후변화 관련 공약

 

1. 2050까지 완전친환경경제 및 탄소배출 제로(zero)화 달성

- 취임 첫해에 이행준수 메커니즘과 단계별 목표를 포함한 법령 도입

- 메탄배출기준 강화, 정부조달시장에서 친환경 기술 및 운송수단 우대, 정부시설 친환경 전환, 교통분야 온실가스배출 감축, 바이오연료 투자 등

- 재생에너지, 기후변화 R&D에 대규모 투자

- 에너지 그리드저장, 소형 원자력발전소, 친환경 냉난방기술, 친환경 건축, 수소연료, 건설·농업·에너지발전 분야 탄소감축

- 친환경 에너지 혁신 가속을 위해 전국적 인센티브제도 도입

-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소 50만개소 추가, 전기차 관련 세제변경,  친환경 제조산업군(중소기업, 대학, 벤처, 근로자, 노동조합, 정부) 구축

 

2.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대응력 강화

- 건축·수자원·교통·에너지 인프라 투자, 지역별 기후대응계획 수립

- 특히, 유럽·중국을 넘어서는 고속철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3. 국제공조 주도 : 파리협정 재가입, 주요국과 감축 합의·공개·준수

- 중국 탄소감축 양자협정 체결, 중국에 석탄 수출보조금 철폐 요구

-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여 친환경-인프라 국제개발협력 모델 제시

 

4. 환경양극화(Climate Gap) 해결

* 환경오염의 피해(산재·지역사회 건강악화)가 낙후 지역사회에 편중된 현상

- 오염관련 형사집행 강화 환경보호청(EPA)과 법무부에 지시, 책임 법인의 대표자 처벌도입 등 환경형사책임 관련 개정

- 친환경 혁신의 수혜를 오염에 의한 피해가 심한 지역사회에 우선배분

 

5. 전통적 에너지 기반 산업·지역 지원

- 석탄산업 종사자(탄광·화력발전소) 퇴직급여 등 복지, 산재처리, 직업전환을 국가가 지원하고, 관련 지역사회 신규 일자리 창출 투자

 

joebiden.com/clean-energy/

 

The Biden Plan to Build a Modern, Sustainable Infrastructure and an Equitable Clean Energy Future | Joe Biden for President: Off

At this moment of profound crisis, we have the opportunity to build a more resilient, sustainable economy – one that will put the United States on an irreversible path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economy-wide, by no later than 2050. Joe Biden will sei

joebiden.com

 

 

원문 : THE BIDEN PLAN TO BUILD A MODERN, SUSTAINABLE INFRASTRUCTURE AND AN EQUITABLE CLEAN ENERGY FUTURE

The Biden Plan to build a modern, sustainable infrastructure and equitable clean energy future.pdf
0.84MB

반응형
반응형

 

구분 내용
기업명 한화솔루션
종목번호 코스피 : 09830
분야 석유 화학 및 폴리실리콘 상업생산
특징 국내 최대 LDPE, LLDPE 생산 설비 보유, 태양광 관련 사업
시가총액 7조 2,978억원 ( 코스피 35위 )
주가 45.650 \
배당금 ,(배당수익률) 234 \ , ( 0.44% )
PER 16.62 ( 20년도 예상치 )
ROE 7.54 ( 20년도 예상치 )
ROA 2.83( 20년도 예상치 )
매출액 2조2338억원 ( 20년도 예상치 )
주요주주 한화 37.42%
북일고등학교 0.16%
김창범 0.01%
이구영 0.01%
국민연금 10.62%
자사주 0.25%
외국인 보유비율 19.69 %
수혜 저유가 시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성장

투자매력

 

1. 저유가시대로 인한 수혜

 

2.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수혜

 

3. 중국 정부의 석탄소비 억제정책 추진으로  에틸렌을 사용하는 국내 기업들은 반사수혜

 

투자위험

 

1. 코로나 이후 회복하지 못한 실물경제로 3분기 매출액 감소 우려

 

2. 안전사고 위험

 

3. 중국산 태양광 셀,모듈의 경쟁력


목차

 

1. 한화솔루션합병구조

 

2. 한화솔루션 2020년 2분기 실적발표 자료

 

3. 한화솔루션 매출구성비율

 

4. 매출 구성분야별 소개-케미칼,큐셀,첨단소재

 

5. 수소사업 추진과 니콜라 주가와의 연관성

 

6. 원유 가격과 주가의 연관성

 

7. 한화솔루션우. 우선주와 괴리율

 


1. 한화케미칼, 한화큐셀, 한화첨단소재의 기술력을 모아 솔루션으로.

한화 솔루션의 대략적인 합병 구조

 

1969년 : 국영기업 충주비료가 미국 다우 케미칼과 합작해 '한양화학'을 세움.

1973년 : 충주비료와 호남비료 통합해 '한국종합화학'

1974년 : 한양화학지주 기업공개.

1982년 : 제2차 오일쇼크의 여파로 경영이 어려워져 한국화약그룹에 인수.

1984년 : 한양전기화학과 함께 한양화학지주에 역합병 '한양화학'으로 출범.

1988년 : 한국프라스틱공업을 합병하고 독일 바스프 사와 합작해 '한양바스프우레탄'을 세움.

1994년 : '한화종합화학'으로 사명 변경

1999년 : 가공부문을 '한화종합화학'으로 분리시키며 '한화석유화학'으로 변경. 
2007년 : 열병합발전부문을 '한화에너지'로 분할,

2010년 : 현 사명으로 개칭

2012년 : 독일 큐셀 사를 인수.

2014년 : KPX화인케미칼을 사들이고

2015년 : 삼성그룹으로부터 삼성토탈과 삼성종합화학을 인수한 뒤,

2016년 : 한화화인케미칼을 합병한 후,

2020년 1월 1일부 자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 합병해 '한화솔루션'이 됐다.


2. 한화솔루션 2020년 2분기 실적발표 자료

출처 : 한화솔루션 홈페이지


3. 한화솔루션 매출구성비율

자료: 한화솔루션 홈페이지/ 그래프:최현규

 

한화솔루션은 한화케미칼, 한화큐셀, 한화첨단소재를 합병하여 세워진 회사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자회사 매출액이 더해져 한화솔루션의 매출액이 되게됩니다.

 

연결조정 금액 사업부문별 귀속 전 매출액
태양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4. 매출 구성분야별 소개-케미칼,큐셀,첨단소재


한화케미칼

 

 

PO(폴리올레핀) 사업우수한 물성과 환경 안정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각종 포장재와 용기 뚜껑, 비닐류 등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소재에서부터 최첨단 산업재 분야까지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1972년 국내 최초로 LDPE를 생산한 케미칼 부문은 비닐하우스 공급으로 대한민국 농업 증산에 기여한 바 있으며, 1986년 국내 최초로 LLDPE를 생산했습니다.

 

LLDPE :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 쉽게 말해 가볍고 강한 플라스틱을 말합니다.

 

PVC(폴리염화비닐) 사업우수한 물성과 환경 안정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각종 포장재와 공업 재료부터 포장용 필름, 완구류 등 생활제품 소재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범용 플라스틱입니다. 


태양광 - 큐셀

 

큐셀 부문은 글로벌 태양광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태양광 발전의 미드스트림인 셀·모듈 생산부터 개인 주택·상업 시설·대형 발전소에 이르는 다운스트림의 솔루션을 보유해 한화케미칼의 폴리실리콘 사업과 함께 한화그룹의 태양광 사업 수직계열화 시너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화첨단소재

 

첨단소재 부문은 경량복합소재 및 성형 부품 사업, 태양광용 고효율 필름소재 사업,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등 고기능성 필름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중국 등에 현지 생산 및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했으며 글로벌 시장 매출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5. 추가로, 수소사업을 추진할것이라고 합니다!

한화 솔루션은 올해 논란이 되었었던 니콜라에 투자했었습니다.

 

투자액은 한화종합화학(한화솔루션 자회사), 한화에너지 각각 5000만달러엿습니다. (한화 약 567억 5,000만 원)

 

니콜라와 기술계약도 했었다고 합니다.

 

이때문인지, 니콜라주식과 한화주식은 6월에 비슷한 흐름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6. 원유가격과 연관성

2020년 초 시작되어 3월에는 음수를 기록할 정도로 유가가 상당히 낮아진 상태입니다.

 

한화솔루션의 케미칼 사업부문의 영업이익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코스피,한화솔루션 비교, 원유가격, 한화솔루션 비교

 

코스피와 한화솔루션 비교, 원유가격, 한화솔루션 비교해 본 결과 

 

코스피와 유사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나, 변동성이 더 컷고,

 

유가와는 유사성이 조금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7. 우선주와 괴리율

한화솔루션은 배당률 0.44%, 한화솔루션우 는 배당률 0.35%상식밖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유는 한화솔루션이 시가총액이 7조 정도로 크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주가 움직임이 무겁고

 

한화솔루션 우선주는 시가총액 811억원으로 주가가 굉장히 가볍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영업이익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에서

가격변동이 쉬운 우선주의 가격이 더 빠르게, 많이 변동하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한화솔루션이라는 기업을 볼 때, 일반적인 의미의 우선주 투자는 권고하지 않는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구분 내용
기업명 TSMC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
티커  NYSE: TSM
주식명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DR
분야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
특징 전세계 파운드리 점유율 1위
전세계 반도체 업종 시가총액 1위
파운드리 기술력 1위
시가총액 516조 8,331억원
주가 88.31 $
배당금 ,(배당수익률) 1.70 $ (1.93%)
배당기준일 ( =EX dividend date ) 20/3/19 , 20/6/18 , 20/9/17 , 20/12/17
배당지급일 20/4/16 , 20/7/16 , 20/10/15 , 21/1/14 
주가수익비율(PER) (GAAP) 24.11 ( 최근 4분기. 업계평균치 36.70 ) 
주가이익증가비율(PEG) (GAAP) 0.55 ( 최근 4분기. 업계평균치 1.20 )
주당순자산비율(PBR) (GAAP) 6.62 ( 최근 4분기. 업계평균치 4.02 )
출처 seekingalpha.com/TSM/value

www.dividend.com/tsm/dividend-payout-history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GAAP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시작 전 요약정리.

 

사업이해하기.  TSMC는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을 하고 있다.

사업이해하기.  TSMC는 파운드리 업계 점유율 1위이다.

사업이해하기.  TSMC는 "순수" 파운드리 업체 인것이 특징이고 강점이다.

사업이해하기.  현재 7나노 공정을 할수 있는 파운드리는 TSMC 와 삼성뿐이다. 7나노 공정이란?


시작 전 용어가 이해가 안될경우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 반도체 용어 정리

 

반도체 용어 정리 : 21세기 사람이라면 이 정도는 알아야 한다.

반도체 : 반도체는 어떤 특별한 조건하에서만 전기가 통하는 물질을 말한다. 그리고 보통 그 물질로 만든 제품을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전류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실리콘(Si)이 가장 많이 사

addsmile.tistory.com


사업이해하기. ① TSMC는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을 하고 있다.

 

 

파운드리 ( Foundry ) : 반도체의 설계는 거의 하지 않고 위탁받아 생산하는 것만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를 말한다.

 

예시: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TSMC, UMC, 글로벌 파운드리 , SMIC

반도체 생산 외주 전문 업체로 생각하면 된다.


사업이해하기. ② TSMC는 파운드리 업계 점유율 1위이다.

 

업계 내 점유율은 50% 이상으로 삼성을 2위로 압도적인 1위이다. 


사업이해하기. ③ TSMC는 "순수" 파운드리 업체 인것이 특징이고 강점이다.

 

삼성같은 경우 파운드리 업종 내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파운드리 사업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설계 및 제작도 하는 IDM이다. 

 

반면 TSMC는 순수하게 파운드리 사업만 하고 있다. 

 

이 뜻은 달리 말하면,

 

파운드리에 생산을 맡기는 업체에서 기술 유출에 대한 걱정을 덜고 반도체 생산을 맡길 수 있다는 뜻이다.

 

경영 전략으로 "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 라는 말을 내세워 몇십년간 고객사와 신뢰를 쌓아왔다.

 


사업이해하기. ④ 현재 7나노 공정을 할수 있는 파운드리는 TSMC 와 삼성뿐이다. 7나노 공정이란?

 

머리카락 두께의 2만 분의 1정도가 7나노미터이다.

7나노 공정이란 반도체 미세 회로의 선폭이 7나노미터라는 것을 말한다.

이 회로의 선폭이 좁을 수록 칩의 크기대비 성능이 좋아진다.

( 작고 성능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 )

 

7나노, 5나노 같은 미세공정은 설계도 어렵고 생산도 어려워서 할 수 있는 회사가 많지 않고

 

이것을 성공하냐 못하냐의 여부가 회사의 경쟁력을 결정하기도 한다.

인텔과 AMD의 경우에도 7나노 실패와 성공으로 주가가 반대로 움직였다.

 

AMD 주식 분석 : CPU 슈퍼맨 인텔(Intel)의 크립토나이트. 다윗과 골리앗.

AMD 는 Advanced Micro Devices 의 약자로 미국의 반도체 제조회사이다. 컴퓨터 CPU 분야에서 인텔의 유일한 경쟁사이고, 컴퓨터 GPU 분야에서 NVIDIA와 경쟁하고 있다. 트랜지스터를 발명해 노벨

addsmile.tistory.com

 

https://zdnet.co.kr/view/?no=20181228090226

현재 7나노 공정을 할수 있는 파운드리는 TSMC 와 삼성뿐이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단점이나 위험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이나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는 것입니다.

-작성자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한국은행 기준금리

정책대응 요약 | 코로나19 정책대응 | 통화정책 | 한국은행 홈페이지

금융안정 한국은행은 금융회사들이 정상적인 자금중개기능을 수행하고, 금융시장 참가자들의 신뢰가 유지되는 가운데 금융시스템이 원활히 작동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www.bok.or.kr

세계 환율

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

환전 고시 환율 2020.10.21 18:11 하나은행 기준 고시회차 274회

finance.naver.com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운영, 정책뉴스, 정부 보도자료, 해명자료, 국정과제, 대한민국 정부 소개 등 제공

www.korea.kr

기업공시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D (1)

본 사 : (우) 48400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문현동) TEL : 051-662-2000 사업자등록번호 : 602-81-35420 서 울 : (우) 07329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6(여의도동) TEL : 1577-0088, 02-3774-9000 / 통신판

kind.krx.co.kr


통계청

보도자료 전체 | 통계청

통계청이 생산한 통계자료와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kostat.go.kr

대한민국 외환보유고

e-나라지표 지표조회상세

--> 그래프/통계표 ○ 그래프 - 외환보유액 추이 한국은행 (ECOS 경제통계시스템) * 매 연도/분기/월말 기준 * 한국은행 경제통계정보 시스템(ECOS)통계 및 통계청 통계와 차이가 나는 것은 한국은행

www.index.go.kr


다트 전자공시

전자공시시스템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dart.fss.or.kr



부동산 가격

네이버 금융

융합연구정책센터

정부 24 정책정보

아이투자 미국주식

seekingalpha

dividend

investing

Company Guide

netrust

kipost

세이브로

 

 

반응형
반응형

구분 내용
기업명 DB하이텍 (구)동부하이텍
종목번호 코스피 : 000990
분야 국내 반도체 파운드리
특징 8인치 웨이퍼 주력
시가총액 1조 5,517억원 ( 코스피 137위 )
주가 34,950 \
배당금 ,(배당수익률) 350 \ , ( 1.00% )
PER 8.2 ( 20년도 예상치 )
ROE 25.80 ( 20년도 예상치 )
ROA 16.76 ( 20년도 예상치 )
부채비율 55.4  ( 20년도 예상치 )
매출액 9592억원 ( 20년도 예상치 )
주요주주 DB Inc. 12.42% 국민연금 13.29%
김준기(前 동부그룹 회장) 3.61%
최창식 (DB하이텍 대표이사) 0.09%
외국인 보유비율 29.47 %

DB하이텍 회사 소개자료 바로가기

 

World Leader In Specialty Foundry, DB HiTek

 

dbhitek.com


DB하이텍 DB그룹에 속한 기업으로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을 주력인 업체이다.

 

1997년 동부그룹이 동부전자를 설립 하고 2000년 국내 최초로 파운드리 사업에 나섰다.

 

2002년 아남반도체를 인수하여 동부아남반도체로 사명을 변경 했고, 인수비용과 설비투자로 인해 13년간 적자만 내다가

 

2014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하이텍 최창식 대표이사 부회장

 

[Who Is ?] 최창식 DB하이텍 대표이사 부회장

최창식 DB하이텍 대표이사 부회장.◆ 생애최창식은 DB하이텍 대표이사 부회장이다.DB하이텍을 9년째 이끌며 국내 대표적인 파운드리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954년 1월6일 ..

www.businesspost.co.kr


DB하이텍 사업소개 : 8인치 웨이퍼 파운드리 전문 업체

 

DB하이텍은 90나노에서 0.35미크론급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경기도 부천(Fab 1)과 충천북도 음성(Fab 2)에서 첨단 시스템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출처 : DB하이텍 CSR

  특징 활용분야 트렌드
8인치 웨이퍼 규격이 일정하지 않고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 생산에 유용 이미지센서, DDI, 전력관리칩,
지문인식 센서
2000년도에 많이 사용.
전세계 설비의 20% 정도.
12인치 웨이퍼 규격이 일정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생산 메모리 반도체와,AP 등 로직 반도체 최근 각광.
전세계 설비의 60% 정도.
  장점 단점
8인치 웨이퍼  원가 저렴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
사물인터넷 시대와 함께 재조명 받음.
직경이 작아서 90나노미터이하 미세회로 불가능 
12인치 웨이퍼 직경이 커서 미세회로 가능.
현대 정밀 반도체 기술 적용
생산량이 2.5배정도 높다.
높은 원가.

최근 사물인터넷, 및 중국에서의 수요등으로 8인치 웨이퍼 공정의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90nm 이하 미세회로를 위한 12인치 웨이퍼 공정이 각광을 받으며 8인치 설비는 많이 줄어든 상태였는데,

 

다시 늘어나는 8인치 수요로 인해서 아이러니 하게도 지금 상황은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이라고 한다.

 

8인치 웨이퍼 사업은 DB하이텍에서만 하는것은 아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비메모리 반도체에서 전략적으로 200㎜ 설비를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는 회로 선폭 65nm 이하 고부가 최첨단 로직 반도체의 경우 300㎜ 그 이상은 200㎜ 설비를 쓴다.

 

SK하이닉스는 1000만 화소 이하 이미지센서,  DDI 등 등 비메모리 반도체를 모두 200㎜ 설비에서 만든다.

 


위의 용어들이 이해가 안된경우 : 최현규 블로그 반도체 용어정리 순한맛

 

반도체 용어 정리 : 순한 맛. 정말 쉽게 설명했다!

반도체 : 위 그림에 있는 부품, 제품들을 말함! 정확히는 전기가 통하기도 안통하기도 하는 신통방통한 녀석들을 말함!! 컴퓨터는 0 과 1 만 아니까 껏다 켰다 할수 있는 친구들이 필요해요. 실리

addsmile.tistory.com


전략적인 8인치 웨이퍼 공정인가? 12인치 웨이퍼 진입은?

 

최근 초과수요로 8인치 공정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되었더라도,

 

8인치 공정 수요 증가의 배경에는 원가가 깊게 관련되어있다.

 

물론 사물인터넷 시대가 오더라도 가격경쟁력이 있는 반도체를 장착하고도

충분한 성능이 나오는 제품들의 수요가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더 큰 반도체 시장은 12인치 웨이퍼를 이용한 미세공정이 아닌가 싶어서 조금 아쉽다.

 

아래 사진은 DB하이텍의 기술 로드맵이다.

출처 : DB 하이텍 홈페이지

90nm 이하 공정에 도전한다기 보다는

 

기존의 8인치 웨이퍼 공정부문에서 기술을 발전시켜 경쟁력을 만들 계획으로 보인다.

 

인텔도 7nm 공정은 포기한다고 했었는데, 굳이 회로 선폭에 집착하기보다는

 

어쩌면 실용적인 8인치 파운드리 사업도 괜찮아 보인다.


공급부족인 시장 상황 마냥 좋게 볼 수 있나?

 

기초 경제학의 수요공급 곡선을 생각해보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때 물품의 시장가가 올라가니 생산자 입장에서는 좋을 수 있다.

 

하지만 전세계를 놓고 보았을때 8인치 웨이퍼 파운드리 사업을 하는 업체가

 

우리나라의 DB하이텍만 있는것이 아니다. 같은 국내에서도 8인치 파운드리 규모는 더 작지만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있고, 

 

세계적으로 보아도 DB하이텍 위에

 

중국의 화홍, SMIC, 태국의 VIS, 대만의 TSMC, UMC, 아랍+미국의 글로벌 파운드리도

 

8인치 웨이퍼 설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공급도 중요한 상황이다.


 

DB하이텍의 강점

 

DB하이텍 공장 운영능력

 

공정 업그레이드로 라인1개 증설효과…DB하이텍 `풀가동`

리트로핏 투자로 코로나 위기를 기회로 매년 1000억 설비·공정 투자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 갖춰 시스템반도체 수요 적극 대응 1분기 영업이익 190% 껑충 파운드리 시설 국내에만 운영 미중 무역분

www.mk.co.kr

생산량부문에서는 다른 파운드리업체들과 비교했을 때 큰 강점은 없을 수 있지만, 미-중 무역갈등 사이에서 한국 업체가 수혜를 볼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에 미국의 SMIC에 대한 규제로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64302

수출비중이 상당히 높은데, 주로 중국의 저가형 스마트폰에 납품 비중이 높다고 한다.

 

따라서 이번 화웨이 규제 때문에 앞으로 실적이 계속 성장 할 수 있을 지는 조금 지켜봐야할 것같다.

 

아무리 8인치 수요가 높다고 해도,

 

미국이 중국에 추가적인 제재를 계속 가하면 중국의 파운드리 수요가 감소할 것이고,

 

이 영향은 국내 업체등에게도 좋지만은 않을 것이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기업명현대에너지솔루션
종목번호코스피 : 322000
분야태양광
특징태양광 모듈 생산, 태양광 인버터제작, 태양광 솔루션 제공
시가총액3,724억원 ( 코스피 341위 )
주가33,250 \
배당금 ,(배당수익률)N/A
PER30.1 ( 20년도 예상치 )
매출액4603억원 ( 20년도 예상치 )
주요주주한국조선해양 53.57% 국민연금 6.21%
외국인 보유비율2.46%

2016년 12월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부를 분사해 설립되었다.

 

2019년 11월 19일 공모가 18,000원으로 코스피에 상장되었다.


목차.

 

사업부문- 부분별 매출, 지역별 매출 비중

2020.09.01 태양광 셀공장 생산중단, 셀공장 신설 투자

국내 태양광 시장 상황 -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과 국내 시장의 중국 태양광 모듈 점유율 확대

폴리실리콘 이란?

태양광 셀(태양전지), 태양광모듈의 차이

태양광 모듈의 구성요소 설명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한계.

 


사업부문- 부분별 매출, 지역별 매출 비중

현대에너지 설루션 2020년 2분기 실적 자료 바로가기

 

 

태양광 모듈 부문이 매출의 87.8% 솔루션 부문이 11.4%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매출은 전년도 2분기보다는 10.9% 감소한 매출을 보여준다.

 

 

 

국내 비중이 69% 정도이고, 미국 수출비중이 20% 이상이다.

 

20년도 1분기 미국 수출비중이 상당히 높았던 것은 환율이 높아 수혜를 본 것으로 추정해본다.


2020.09.01 태양광 셀공장 생산중단, 셀공장 신설 투자

 

출처: 현대에너지 솔루션 투자정보-공시정보

 

8.31일 셀공장 신규시설투자를 위해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이것이 와전되어 셀을 더 이상 생산 안 한다는 기사도 나고 했는데, 위의 공시는 주가에 딱히 반영이 되지 않았던 것 같다.

 

현대에너지솔루션 8.31 주가

 

최근 자주 기사가 나고 있는 "그린 뉴딜" 수혜주로 뽑혀 주가 흐름이 괜찮다.

 

한화솔루션 8.31주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발전 ,솔루션 부문에서는 주로 한화솔루션이 대장주로 움직이는 것 같고,

 

현대에너지솔루션도 비슷한 주가 흐름을 보여준다.


국내 태양광 시장 상황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과 국내 시장의 중국 태양광 모듈 점유율 확대

 

 

2017년 자료이지만 추세적으로 2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1. 태양광 모듈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 ( 중국 영향으로 단가 하락, 생산기술발전으로 단가 하락  )

 

2. 중국이 한국시장에서 차지하는 태양광 패널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업체의 모듈은 수익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으나, 미-중 관계, 위안화 환율에 따라서 국내업체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질 수 도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태양광 패널의 기초 재료가 되는 폴리실리콘 생산에 있어서는 중국에 비해 우리나라가 밀릴 수 있지만

 

개인적 의견으로 태양광모듈 제작에 있어서는 국내업체의 기술력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업계 내에서는 중국산 태양광 패널도 질이 괜찮다고 한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때문인 것 같다.

중국 태양광 한국진출 : 관련기사 바로가기

한국 태양광 시장, 작지만 성장 가능성 높다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2019 세계태양에너지엑스포’에는 국내 태양광 전문 기업은 물론,해외 기업들도 대거 참가해 글로벌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장이 됐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았던 ��

www.solartodaymag.com

 


폴리실리콘 이란?

 

반도체 웨이퍼, 태양전지의 솔라 셀(solar cell) 기판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원재료. 주요 성분은 Si(규소)

 

규소의 순도에 따라 태양전지용과 반도체용으로 나뉜다.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은 6N(99.9999%)

반도체용 폴리 실리콘은 11N(99.999999999%)의 순도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일반 실리콘에 비해 감광성이 높고 불에 잘 견디는 내화성이 뛰어나다.

 

세계적으로 폴리실리콘 제조 원천기술을 보유하여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은 미국의 헴록, 한국의 OCI 등이다.

 

사진 : OCI 주식회사

 


태양광 셀(태양전지), 태양광모듈의 차이

구분내용쉬운 설명
태양광 셀 = 태양전지 = Solar Cell광기전력효과를 응용해 태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소자. 작은 단위
태양광 모듈태양전지를 종 및 횡으로 연결하여 결합한 형태로 개별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가 모듈에 동시에 모이게 됨.솔라셀의 집합

태양광 모듈의 구성요소 설명

 

 

구분설명
프레임보통 알류미늄. 패널 보호 및 방열기능
유리 모듈을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보호.
밀봉재보통 EVA(Ethylen VInyl Acetate)로 제작. 태양모듈을 보호.
태양전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백시트 열,습도,자외선으로부터 모듈을 보호, 또는 태양광을 반사시켜 모듈 효율 향상
정션 박스발전된 전기 (직류)를 우리가 쓰는 (교류)로 변환

태양광 발전의 장단점. 한계.

 

장점단점
에너지원 ( 태양 )이 청정하고 무제한전력생산량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만큼 발전 가능에너지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 필요
유지보수 용이. 무인화 가능설치장소 한정적, 설치비용이 고가
20년이상의 수명초기 투자비, 발전단가 높은편
건설기간이 짧아 수요 대응 신속일사량 변동에 따른 출력이 불안정하다. ( 계절,시간,날씨 )

국내 태양광 발전에 한계 관련기사

[팩트체크] 유럽은 되고 한국은 안된다? 태양광 발전, 4가지 오해와 진실 - Greenpeace Korea | 그린피��

태양광 발전은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필수 에너지원입니다. 그러나 정치적 의도가 담긴 가짜뉴스가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어 태양광 발전에 대한 오해가 깊어지고 있습니다. 그린피스는 이

www.greenpeace.org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현대에너지솔루션 태양광 R&D센터

 

반응형
반응형

최현규 블로그 - 아주쉬운 반도체 시리즈 1편 바로가기

 

아주 쉬운 반도체 시리즈 1편 - 반도체 뜻

반도체 전기가 통할때도 안통할때도 있는 물질. 전자제품에 꼭 들어가는 부품을 만드는데 쓴다. 필자는 이과이고 이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당연히 세상 모든 사람들이 반도체가 무엇인지 알고 �

addsmile.tistory.com

최현규 블로그 - 반도체 용어 정리 순한 맛 바로가기

 

반도체 용어 정리 : 순한 맛. 정말 쉽게 설명했다!

반도체 : 위 그림에 있는 부품, 제품들을 말함! 정확히는 전기가 통하기도 안통하기도 하는 신통방통한 녀석들을 말함!! 컴퓨터는 0 과 1 만 아니까 껏다 켰다 할수 있는 친구들이 필요해요. 실리�

addsmile.tistory.com


오늘은 반도체를 만드는 공정에 대해서 적어보려 한다.

 

앞으로 8대 공정에 관해서 자세히 포스팅 하며 현 게시물은 일종의 사이트맵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반도체는 크게 8단계를 거쳐서 만들어진다.

 

웨이퍼 제조 Creating the Wafer

     반도체 직접회로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실리콘 웨이퍼"를 만드는 과정

 

산화 공정 The Oxidation Process

     웨이퍼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의 기초를 만드는 과정

 

노광 공정 Photolithography

     실리콘 웨이퍼 위에 빛을 이용해 회로를 그려넣는 과정

 

식각 공정 Etching

     반도체의 구조를 이루는 패턴을 만드는 과정 필요한 회로 패턴 만을 남기는 과정

 

증착 & 이온주입 공정 Deposition&Ion Implantation

     증착공정-회로들을 구분,연결,보호하는 박막을 만드는 과정

     이온주입 공정반도체가 전기적인 특성을 갖게 만드는 공정

 

금속 배선 공정 Metallization

     반도체 회로에 전기적 신호가 잘 연결 되도록 금속선을 연결하는 과정

 

EDS 공정 Electrical Die Sorting

     품질검사

 

패키징 공정 Packaging

     외부환경과의 연결,보호를 할 수 있도록 패키징 하는 과정


반응형
반응형

귀여운 Sales force 로고. 출처: pixselo.com/sales-force-development-pixselo-global-solutions/

 

2020년 8월말 엑손모빌을 대신하여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30 에 등록되었다.

기업명 세일즈포스닷컴 ( Salesforce.com )
티커  NYSE: CRM
주식명 Salesforce.com Inc
분야 클라우드컴퓨팅, AI, IoT 등을 이용한 고객 관계 관리(CRM)
특징 CRM 분야 1위 업체
시가총액 269조6314억원
주가 258.55 $
배당금 ,(배당수익률) N/A
배당락 N/A
배당지급일 N/A

시작 전 요약정리.

 

투자매력

 

1. 클라우드, CRM 부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회사.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도 세일즈포스를 압도하려기보다는 기술제휴를 맺는 방향을 추구 중.)

 

2.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와의 인수합병설이 돌 경우 주가가 오를 수 있다.

 

3. 성장하고 있고 성장이 기대되는 회사라는 점.

 

 

투자위험

 

1. 고평가 된 벨류에이션-미래의 가치를 선반영 중인 것으로 보인다.

 

2. 아직 배당은 실시하고 있지 않다.

 

3.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이 세일즈포스닷컴과 유사한 서비스(클라우드, CRM)를 제공하여 경쟁구도가 생긴다.

 

4. 성장을 멈췄을 때 영업이익은 개선 가능성 불투명.


사업 이해하기 ①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의 컴퓨터를 인터넷을 이용해 내 컴퓨터처럼 사용하는 것

인터넷 기반 컴퓨팅의 일종으로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컴퓨터가 없어도 네트워크만 연결된다면 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면 컴퓨터 인프라스트럭쳐를 구축하는 대신 원래의 사업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업체가 이용하고 있다.

 

세일즈포스는 공격적인 기업 인수를 통해서 소프트웨어 클라우드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통해 클라우드 부분에서 지금의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사업 이해하기 : CRM이란?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의 약자이다.

 

소비자들을 자기 회사의 고객으로 만들고, 이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영방식이다.

 

기업-고객 관계 관리/고객 확보/고객-판매인-협력자 간 내부 정보를 분석, 저장

 

하는 데 사용하는 광대한 분야를 아우르는 방법을 말한다.

 

CRM 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분류
DBM (Database marketing) 마케팅 분석과 전략수립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이용
협의의 CRM 각 고객별로 차별화된 마케팅을 추구하는 관점
SFA(Sales Force Automation) 영업 채널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영업자동화 기술

여기서 Sales force라는 이름을 만날 수 있다. 

 

출처: salesforce.com

CRM 시장에서 세일즈포스는 점유율 17.3%로 1위를 보여주고 있다.


정리.

 

출처. 세일즈포스닷컴 공식 홈페이지

 

세일즈포스(Salesforce.com)는 클라우드 컴퓨팅, IoT, AI, 모바일, 소셜 등의 4차 산업기술을 이용하여,

 

고객사의 마케팅/영업자동화를 관리하고 도와주는 업체이다. 

 

구글, 페이스북, HP 같은 IT 기업부터 버버리, 로레알, 던킨 도너츠 같은 소비자 중심 기업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사용 중이다.


언택트 시대와의 연관성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서 세일즈 포스에서 만든 재택근무 프로그램 WORK.COM의 수요가 급증하여

 

2분기 매출액이 29% 증가하였다.

 

 


세일즈포스닷컴의 성장지표

 

그래프출처: https://addsmile.tistory.com/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 자료출처:itooza.com

매출액, 영업활동 현금흐름, 연구개발비 등의 성장 지표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세일즈포스닷컴의 실적지표

그래프출처: https://addsmile.tistory.com/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 자료출처:itooza.com

영업이익률이 좋지는 못한 데에 비해, 매출액이 큰 것으로 보아,

 

현재 클라우드, CRM 시장이 초기이기 때문에,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영업이익률이 낮더라도 가격전략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세일즈포스 닷컴 PER, ROE, 부채비율, ROA

그래프출처: https://addsmile.tistory.com/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 자료출처:itooza.com

PER은 현재 99.4 정도로 과거에 비해서는 부담이 적은 벨류에이션이다.

그래프출처: https://addsmile.tistory.com/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 자료출처:itooza.com

매출액, 영업이익에 비해서 ROE나 ROA는 양호한 모습을 보여준다.


세일즈포스 닷컴 현금흐름과 벨류에이션

그래프출처: https://addsmile.tistory.com/ [최현규의 기업,주식,기술,경제 리서치] 자료출처:itooza.com

잉여현금흐름은 낮아졌는데, 현금흐름 배수가 높아진 것으로 보아 최근 고평가가 일어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그렇다면 어떤 업종을 고르는가


오늘의 요약


 

주식을 산다는 것은 회사의 사업과 동행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사업과 동행해야 할까?

 

앞서 살펴본 배당이나 PER, PBR 등으로는 회사가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말하지 않는다.


어떤 업종의 회사를 살 것인지를 알아보기 전에 

 

주식의 특징에 대해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주식은 주로 현재의 가치가 아닌 "미래"의 가치를 선반영 한다.

 

여기서 "미래"는 단기성 이슈는 1~2분기 뒤의 실적을,

 

장기적으로는 앞으로의 5~10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카카오와 현대건설의 10년 치 그래프를 가져와 보았다.

 

매출액, 영업이익 등 당장의 실적이 더 좋은 것은 현대건설이다.

 

PER , PBR로 보았을 때도 현대건설이 더 합리적인 가격이지만, 주가 흐름은 거의 반대이다.

 

네이버는 이번 연도 들어서 엄청난 우상향, 현대건설은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주식을 살 때 당장의 실적이나, 상대적 가치에는 꽤 관대하다.

 

만약 본인이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인기 있는" 주식이 거래량도 더 많고 주가 흐름도 좋다.

 

네이버는 IT회사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회사가 더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이고,

 

그에 반해 현대건설은 건설회사로, 앞으로 한국 내 건설업의 미래가 그리 밝지 않다고 

 

사람들이 생각하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지 않는 것이다. (물론 북한이랑 진짜로 통일하면 많이 오르겠지만)

 

회사가 하고 있는 "사업"은 이처럼 주가에 크게 반영된다.

 


그렇다면 어떤 사업을 하는 회사의 주식을 사야 할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당연히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누군가는 1년 내 실적 개선이 크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 회사를 살 것이고,

 

누군가는 업종보다는 재무상태를 더 신경 써서 회사를 고를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래에 성장하는" 회사의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데는 동의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사업을 하는 회사의 주식을 사야 할까?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려 한다.


기준

 

1. 미래에도 산업/업종이 존재할 것인가?

 

2. 만약 그렇다면 시장규모가 더 커질 산업/업종 인가?

 

3. 산업/업종에서 해당 회사의 입지는 어떠한가?

 

4. 그 입지는 쉽게 추월당할 수 있는가? ( 진입장벽이 얼마나 높은 산업인가. )

 

5. 해당 산업은 경제성/수익성이 있는 산업인가?

 

6. 필요한 인프라 스트럭쳐가 갖춰져 있는가? (또는 갖춰져 갈 것인가?)

 

+1~6조 건을 다 갖추더라도 지금의 가치는 미래를 얼마나 선반 영하였는지 고려해야 한다.


위 기준으로 현대건설과 네이버를 비교해보자.

  네이버 - IT 플랫폼 기업 현대건설 - 건설업
1. 미래에 산업 존재 여부 그렇다. 그렇다.
2. 시장규모 증가성 그렇다. 아닐것으로 예상. (예외-통일)
3. 회사의 입지 크다. 한국 최대 검색엔진  크다. 대기업 건설회사
4. 진입장벽 높다. 중간.
5. 경제성 있을것으로 예상 있다.
6. 인프라 구축여부 개발/성장중 포화 임박
고평가 여부 ( 필자의 개인적 의견 ) 그런것같다. 아닌듯하다.

 

위의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네이버와 현대건설의 주가를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면 회사를 골라서 장기 투자한다고 했을 때 언제 매수/매도하는 것이 좋을까?

 

매수

 

1. 기준에 맞는 회사가 저평가되어있을 때. (주가가 빠졌을 때)

2. 산업/업종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었을 때.

3. 회사가 새로 등장하여 경쟁력을 갖추었을 때

4. 기존의 산업을 대체할 사업인 경우

5. 기대 수익이 같은 경우에는 위험도가 낮을 때

5. 위험도가 같을 경우에는 기대수익이 높을 때

 


매도

 

1. 해당 산업/업종에서 대체재가 등장하였을 때

2. 산업/업종의 규모가 커졌더라도 경쟁자가 많아졌을 때

3. 수요가 줄어들 때

4. 회사가 하는 사업의 기초/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예시

매수

 

1. 기준에 맞는 회사가 저평가되어있을 때. (주가가 빠졌을 때)

코로나로 인해서 네이버 주가가 많이 떨어졌었다.

 

2. 산업/업종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었을 때.

사람들이 점점 야후, Bing 보다는 네이버만 쓰게 될 때

 

3. 회사가 새로 등장하여 경쟁력을 갖추었을 때

네이버의 등장

 

4. 기존의 산업을 대체할 사업인 경우

인터넷의 등장으로 신문을 대체. 이때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사는 것이 최선의 판단

 

5. 기대 수익이 같은 경우에는 위험도가 낮을 때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이 처음 등장하였을 때 애플이 얼마나 어떻게 성장할지는 모르지만

컴퓨터가 팔리면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도 무조건 팔게 되므로 비슷한 기대수익의 낮은 위험도 = 마이크로소프트

 

5. 위험도가 같을 경우에는 기대수익이 높을 때

인터넷의 발명과 전기차의 발명이 동시에 이뤄졌다고 가정하면 -> 인터넷 사업에 투자

 

매도

 

1. 해당 산업/업종에서 대체재가 등장하였을 때

인터넷이 발명되었을 때 신문광고회사는 팔았어야 한다.

 

2. 산업/업종의 규모가 커졌더라도 경쟁자가 많아졌을 때

닷컴 버블 당시에 인터넷 사업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는 것을 보고 매도했어야 한다.

 

3. 수요가 줄어들 때

한국 저출산 문제로 신생아 인구가 줄어들 때 젖병회사를 매도한다.

 

4. 회사가 하는 사업의 기초/방향이 변경되었을 때

스마트폰 만들던 회사가 갑자기 스마트폰 그만 만들고 자동차를 만들겠다고 했을 때. (응?)


미국같은 경우에는 미래에 사업/업종의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면

 

영업이익을 재투자하기보다는 배당성향을 늘린다.

 

어차피 점점 작아질 시장규모에 대응하기보다는 회사 현재의 이익을 최대한 주주들과 공유하며

 

회사 주식의 가치는 배당금과 함께 우상향시켜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로는 거의 IT기업들만 오르는중..)

 

따라서 성장성만 보고 하는 장기투자가 무조건 정답은 아니다.


오늘은 방법론적인 이야기보다는 추상적인 내용이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까지 주로 가치판단과 관련된 내용을 올렸으므로 다음 게시글은 기술적 분석에 관해서 올려보려고 한다.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이나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투자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좌: 애플의 재무제표, 우: 삼성의 재무제표

 


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도 재무제표를 찾을 수 있지만 아래의 사이트에 정리되어 있으니 

 

재무제표 정보가 알고 싶을 때 검색해보면 된다.

 

네이버 금융 바로가기

아이투자 미국 주식 바로가기


재무제표에는 여러 숫자가 쓰여있고 어려워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숫자 옆에 쓰인 단어의 뜻을 알고 본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재무제표에 엄청난 정보가 들어있을 것 같지만  어디까지나 과거의 정보이므로, 미래를 예측하는 데 사용하기는 어렵다.

 

현재 회사가 힘든 상태인지, 쇠태하고 있는지 성장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하도록 한다.


A. 기본적인 단어 정리. 정의를 들어서 설명하면 딱딱하니까 쉽게.

 

자본 = 진짜 내 돈

부채 = 빚

자산 = 자본 + 부채

차입비용 = 수수료 , 이자

 

매출액 = 번 돈의 전체

영업이익 = 매출액 - 비용

순이익 = 영업이익 - 차입비용

 

당기 = 이번 분기

현금 = 돈. 

현금흐름 = 현금의 유입+유출

 

분기 = 1년은 4개로 쪼갠 것


B. 기본은 끝났고 추가. 

 

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 

고정자산 = 비유동자산 = 땅, 기계, 건물 등 상대적으로 장기간 보유하고 있는 자산

 

당좌자산 = 현금화가 쉬운 자산

재고자산 = 유동자산 중 팔려고 쌓아둔 것, 보관 중인 것

 

유형자산 = 구체적인 형태를 갖춘 고정자산. 토지, 건물, 기계장치, 구축물, 선박, 차량운반구, 공구/기구, 비품, 건설 중인 건물

무형자산 = 물리적인 실체는 없으나 소유함으로써 미래에 경영상 효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 영업권, 특허권, 개발비 등

 

이연법인세 자산 = 세금 내는 방식 때문에 생긴 것. 큰 신경은 안 써도 된다.


매입채무 = 물건을 사서 가져왔는데 아직 안 준 돈

 

유동부채 = 1년 안에 꼭 갚아야 하는 빚

고정부채 = 비유동부채 =1년 안에 갚을 필요는 없는 빚

 

차입금 = 여기저기 끌어다 쓴 빚

 

채권 = 정부, 공공단체, 주식회사 등이 일반인으로부터 돈 끌어다 쓰려고 돈 갚겠다고 써놓은 증권. 이자줘야함.

증권 = 증거가 되는 문서나 서류

 

사채(회사채) = 회사가 채권을 발행해서 끌어다 쓴 돈

 

이자발생 부채 = 채권자한테 이자를 계속 줘야 되는 부채 (회사채 같은 거)


영업활동 현금흐름 = 돈 벌면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 및 유출.  재료비, 매출, 매출원가, 종업원 급여, 사무실 임대료 등

투자활동 현금흐름 = 기업이 하는 재테크+미래에 투자. 공장 짓기, 기계 사 오기, 땅 사기 등

재무활동 현금흐름 = 주식 찍어내서 판 돈, 가지고 있던 주식 판 돈, 회사채 만들어서 끌어온 돈 등

 


+C. 잘 몰라도 되는 것. 절대적 가치평가 분석법에서 사용되고는 함

 

FCF = future cash flow 미래 현금흐름.

CAPEX =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 장비, 토지, 건물 등 을 획득/개량하는 비용


위에 있는 단어의 뜻을 알았다면 이제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어떤 것부터 봐야 할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정답은 없다.

 

정답이 없다는 건 뚜렷한 기준을 세울 수 없기 때문이고,

 

내 가치관에는 뚜렷한 기준 없이 낸 결과는 "답"이 아니라 그냥 "의견"이다.

 

따라서 본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걸 보면 된다.


커질수록 작아질수록 좋은 것 정도로만 정리해보겠다.

 

1. 매출액 : 커질수록 좋다. 물건이 잘 팔린다는 것. 시장점유율이 늘고 있다는 것이니까.

 

2. 영업이익 : 커질수록 좋다. 돈을 효율적으로 잘 벌고 있다는 것이니까.

 

3. 현금흐름 : 줄어들지 않는 게 좋다. 사업을 꾸준히, 키워가면서 해야 하니까.

 

4. 부채총계 : 확실한 사업 아이템이 생긴 게 아니면 일정하거나 줄어드는 게 좋다. 빚은 빚이니까.

 

5. 대부분의 항목은 숫자가 들쑥날쑥한 것보다는 꾸준히, 비슷하게 가는 것이 안정적이다.

 

6. 경제위기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한두 분기 정도) 재무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ex) 코로나


기본적인 것만 써두었습니다. 천천히 알아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현규 블로그-주식의 가치평가 6장

 

주식의 가치평가 6장. 사업의 성장성판단. / 장기투자의 매수와 매도

오늘의 요약 주식을 산다는 것은 회사의 사업과 동행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사업과 동행해야 할까? 앞서 살펴본 배당이나 PER, PBR 등으로는 회사가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말하지 않는다.

addsmile.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목차.

벨로다인 주식 기본정보

포드의 지분공시 분석

2020.09.09 이후 주가 하락 원인 분석 4가지.


기업명 벨로다인 ( Velodyne )
티커  NASDAQ: VLDR
주식명 Velodyne Lidar inc
분야 자율주행, 실시간 3D 지형 파악 LIDAR 제작
특징 상장되어있는 LIDAR 기업, 상업용 LIDAR 제작중
시가총액 3조 3715억원
주가 16.92 $
배당금 ,(배당수익률) N/A
배당락 N/A
배당지급일 N/A

회사의 재무에 대한 내용을 구하기 힘듬으로 우회적으로 살펴보겠다.


포드의 지분공시

 

10월 5일 10:01pm에 포드는 벨로다인의 지분 7.6%를 가지고 있다고 공시했다.

 

시가총액이 3조 3715억 원 이므로

 

3조 3715억원 x 0.01 x 7.6 = 2562억 3400만 원 

 

포드는 현재 벨로다인 주식을 2562억 3400만 원 정도 가지고 있을 것이고

 

주식을 10$ 공모가로 소유한 것으로 추정하고, 현재 가격이 16.92$ 이므로

 

포드의 초기 투자 비용 x 1.692 =2562억 3400만 원

 

초기 투자비용은 1514억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다.

 

2016년에 포드와 바이두가 합쳐서 1755억 원

 

포드는 1500억 원 정도 투자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2018년 니콘으로부터 292억 원 현대모비스로부터 600억 원을 투자받았으니, 같은 방식으로 계산 시

 

니콘은 494억 ( 1.465% 지분 ) , 현대모비스는 1015억 ( 3.01% 지분 )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해본다.

 

바이두도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벨로다인 지분 예측 테이블( 추정 ) 투자비용 (예상) 현재소유 가치 (예상) 지분 (예상)
포드 1514억 2562억 3400만원 7.6%
현대모비스 600억 1015억 3.01%
니콘 292억 494억 1.465%
바이두 241억 407억 1.209%

본 표는 작성자의 주관이 반영되었고 포드를 제외한 회사는 공시정보가 아닌 회사 연혁의 내용을 바탕으로 계산한것입니다.

 


 주가 폭락의 원인 분석 1.벨로다인은 SPAC 상장 이례적으로 보호예수가 걸리지 않았다.

보호예수란?

1. 증권회사 등이 투자자의 유가증권 및 중요 물품 등의 안전한 보관과 매도의 편리를 위해 이를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2. 증권회사나 금융기관이 투자자의 유가 증권을 유료로 보관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이 기간에 투자자는 단 1주도 매각할 수 없다.

 

보호 예수가 아예 안걸린 것은 아닌것 같고 포드에게만 해당되는 내용같다.

 

https://wccftech.com/velodyne-volatility-is-being-bolstered-by-the-possible-liquidation-tsunami-of-its-pipe-shares/

PIPE : 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 : 사모투자. 회사 간 비밀스럽게 투자가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유동성 증가 + 사모투자가 진행되었다는 점 때문에 주가가 하락했다고 wccftech는 분석한다.

 

여기서 언급된 사모투자:

최대 규모 투자자인 Ford가 보호예수와 무관하게 벨로다인의 지분을 청산할 수 있도록 계약된 투자.


 

https://wccftech.com/velodyne-volatility-is-being-bolstered-by-the-possible-liquidation-tsunami-of-its-pipe-shares/

"Ford Motor Company will not be subject to a lockup agreement like other former holders of Velodyne capital stock.” : 포드는 다른 기관투자자와 달리, 보호예수 기간과 상관없이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

 

전체 주식의 7.6%에 달하는 포드의 지분이 언제든 매도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주가 폭락의 원인 분석 2. SPAC 상장 방식으로 상장한 니콜라가 시끄러웠다.

니콜라 상승후 하락 시점 9월8일 , 벨로다인 하락 시점 9월9일

하락 이유 : 한국 기준 9월 9일 미국의 Hidenburgresearch에서 니콜라가 Scam이라는 보고서를 냈기 때문. 


주가 폭락의 원인 분석 3. 나스닥 하락의 여파

나스닥 조정 시점 9월2일 벨로다인 주가 하락 시점 9월9일

9월2일 뚜렷한 이슈 없이 나스닥이 많이 내려갔었는데, 이것이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

 


주가 폭락의 원인 분석 4. VLDRW 벨로다인 워런트가 쓸모 없어지나 하는 불안감

 

미국은 SPAC 상장시 주식의 "워런트"도 분리해서 파는데 

 

여기서 잠깐 워런트란?

 

"SPAC 상장시 해당 주식을 언제든 정해진 가격 (보통 11.5$)에 살 수 있게 해주는 티켓"

 

사는 이유: 레버리지로써의 의미가 있다고 본다. 실제로 주식을 많이 사는것보다는 낮은 리스크를 가질테니.

 

단점

 

워런트가격도 지불하고 정해진 가격도 지불한 다음 주식을 사는거라 

 

[ 워런트의 가격 + 워런트로 인해서 해당 주식을 살 수 있는 가격 ]이 현재 주가보다 비싸면 워런트가 쓸모없는 상황이 된다. 

 

VLDR 이 불안불안 하니까 VLDRW도 가격이 떨어지고 둘다 가지고 있는 사람은 더 불안해지는 상황


이슈들을 살펴보았는데, 주식 시장과 관련된 이슈만 있었다.

 

회사의 펀더멘탈이 훼손되는 내용의 이슈는 없었기 때문에 나는 크게 우려할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주가가 자꾸 내려가니까 포드에서 "얘들아 나 아직 홀딩하고 있어" 하고 지분공시를 했다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이번 지분공시는 호재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성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이기 때문에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을 통해서 적정주가를 구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 같다.

적자 나는 기업도 사람들이 사주면 그게 적정 주가인 것이니까..

 


추가적으로 제 블로그의 벨로다인 관련 게시글들 입니다.

 

최현규 블로그-라이다가 무엇인지

 

[ 라이다(LIDAR) ] 기술 상세분석 : 장점과 단점 시장규모 정리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술 LIDAR의 기초 원리 장치가 빛을 쏘고 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계산�

addsmile.tistory.com

최현규 블로그-벨로다인 회사 연혁 정리

 

[ 벨로다인 Velodyne ] : 역사 정리. 포드,바이두,니콘,현대모비스의 투자.

내용이 방대해질 것 같아서 기업의 역사를 먼저 포스팅하고 다음 게시글에서 벨로 다인 주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한다. 시작 전에 라이다 기술과 벨로 다인이 궁금한 경우 제 블로그의 다른

addsmile.tistory.com

최현규 블로그-벨로다인,루미나 상장 

 

벨로다인 & 루미나 : 거대 자율 주행 자동차 기업이 상장 예정 이라고?

최현규 블로그 - 라이다의 장점과 단점 라이다(LIDAR) 기술 상세분석 : 장점과 단점 시장규모 정리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

addsmile.tistory.com


본 게시글은 투자 추천이나 권유, 리딩이 아닙니다. 현명하고 보수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투자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최현규

반응형
반응형

원래 지렛대를 의미하는 말이다.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 증대를 위해 부채(빚)를 끌어다가 자산매입에 나서는 투자전략을 총칭하는 말이다.


레버리지를 알기위해서는 부채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쉽게 말하면 부채는 "빚"이라는 뜻이다.


부채에 근거한 투자는 원래 일반적인 자산투자 관행이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어떤 자산투자로부터의

 

수익이 차입비용(이자, 수수료)을 지불하고 나서도 남을 것으로 판단한다면,

 

대출 및 각종 금융수단 등의 방법으로 추가 자금을 차입해서라도 자산 매입에 나선다.


 

2020. 10 . 10 기준 잠실 집값. 평당 3천만원 정도이다. 출처: https://hogangnono.com/apt/1Xa59/0

예를 들면 당신이 첫 집으로 잠실에 10억원의 집을 산다고 치자.

 

정말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부모님 도움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현금이 10억씩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당장 5억 정도는 자신의 돈으로 구할 수 있다고 하면 나머지 5억은 어떻게 구하는가?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대충 금리 2.7%의 첫집마련 대출상품을 통해서 5억을 대출 받았다고 하자.

 

이렇게 집을 사는 과정에서 당신은 "레버리지"를 사용한것이다.

 

내 자본 5억 + 부채 5억 = 총 자산 10억 상당의 "부동산" 이라는 투자상품을 구매한것이다.

 


이상태에서 이자는 어떻게 되는가?

 

 

8년동안 안갚았을 때 1억800만원 정도의 차입비용이 생긴다.


이 상태에서 8년 새 10억이였던 집값이 20억이 되었다면 수익률은 어떻게 되는걸까?

 

2020

집값 10억 = 내 자본 5억 + 부채 5억

 

2028

집값 20억 -부채 5억 -차입비용 1억800만원 = 내 자산은 13억 9200만원이다.

 

이므로 

 

178.4% 의 수익률이다.

 

집값은 동일기간 100% (2배를 뜻한다.) 올랐지만 수익률은 178% 이다. 이것이 레버리지의 힘이다.

 

이렇게 레버리지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것을 "정(+)의 레버리지 효과" 라고 부른다.


그러면 만약에

 

10억이였던 집값이 8년동안 5000만원정도 떨어졌다면?

 

2020

5억 + 부채 5억 = 10억

 

2028

집값 9억5000만원 -부채 5억 -차입비용 1억800만원 = 내 자산은 3억4200만원이다.

 

그러므로 1억5800만원 손해가 났고

 

집값하락률은 5%였지만 투자 손익은 -31.6% 로 손해가 훨씬 커졌다.

 

이렇게 레버리지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것을 "부(-)의 레버리지 효과" 라고 부른다.

 

 


+ 한발자국 더. (주식투자)

주의점: 장기투자에서 레버레지 ETF는 위험하다.

 

 

ETF : (Exchange Traded Fund)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자산가격의 상승과 하락과 동일하도록 펀드사에서 매일 거래를 한다.

 

X2레버리지를ETF 산다는것은 동일 자산가격이 하락할때 2배의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올라갈때 2배의 이득을 보겠다는 생각일 것이다.

 

그러나 만약 자산가격이 횡보한다면?

 

레버리지는 일반 ETF 보다 손해가 커지게 된다.

 

주식가격은 상승과 하락이 무조건 반복되는데, 레버리지는 이 변동성을 이길수가 없다.

 

 

 


 

내 기억에 초등학교 저학년 때 나는 아버지께

 

"아버지 빚은 물려주시면 안되요." 라고 했던 기억이 있다. 

 

아버지도 기억하실지는 모르겠지만 웃으시면서

 

"ㅋㅋㅋㅋ그래 안물려줘 알았어" 

 

라고 하셨던 기억이 있다.

 

그 당시에 돈에 대한 개념이 없던 나는 빚이 무섭다고만 생각했다.

 

빚은 무서운게 맞지만 현명하게 쓸줄도 알아야한다.

 

레버리지에 대한 내용이였다.


 

 

반응형
반응형

내용이 방대해질 것 같아서 기업의 역사를 먼저 포스팅하고

 

다음 게시글에서 벨로 다인 주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한다.


시작 전에 라이다 기술과 벨로 다인이 궁금한 경우 제 블로그의 다른 포스팅에 정리해 뒀습니다.

최현규 블로그 - "라이다 기술"에 대한 분석

 

라이다(LIDAR) 기술 상세분석 : 장점과 단점 시장규모 정리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술 LIDAR의 기초 원리 장치가 빛을 쏘고 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계산�

addsmile.tistory.com

최현규 블로그 - 벨로 다인과 루미나 주식에 대한 간단한 소개

 

벨로다인 & 루미나 : 거대 자율 주행 자동차 기업이 상장 예정 이라고?

자율주행 자동차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차. 초등 학교 시절 많은 사람들이 한번씩은 과학 상상화를 그려보았을 것이다. 2020년 현시점은 상상이 현실이 되기 직�

addsmile.tistory.com

최현규 블로그-벨로다인 최신 이슈 분석

 

[ 벨로다인 Velodyne ] : 주가 이슈 분석.포드는 보호예수 없었다. 10월5일 포드 지분 공시.

목차. 벨로다인 주식 기본정보 포드의 지분공시 분석 2020.09.09 이후 주가 하락 원인 분석 3가지. 기업명 벨로다인 ( Velodyne ) 티커 NASDAQ: VLDR 주식명 Velodyne Lidar inc 분야 자율주행, 실시간 3D 지형..

addsmile.tistory.com


velodynelidar.com/history

벨로 다인은 1983년 David Hall에 의해서 세워진 회사이다.

 

처음은 서브우퍼 디자인과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오디오 회사였다. 

 

서브우퍼 관련 특허를 내서 관련 업계의 판도를 바꿨다고 한다.

 


2005년 자율주행 기술에 입문

 

2004년 벨로다인 최초의 무인자동차

2004년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센서에 대한 연구는 David Hall이 국방 첨단 연구 사업청에서 후원하는 무인자동차 경주에 참가하며 시작된다.


2007년 실시간 3D LIDAR 발명

 

2005년 벨로다인의 실시간 3D 라이다.


2007년 상업성을 가진 최초의 제품 생산.

velodynelidar.com/history

2007년 벨로 다인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최초의 대량 생산 실시간 3D 라이다 HDL-64E를 생산해냈다.


2014년 현재의 형태와 같은 LIDAR "Puck"을 출시한다.

velodynelidar.com/history


 

벨로 다인에 투자한 회사들.

 

https://velodynelidar.com/history/

포드의 자율주행 연구개발 부서에서 벨로 다인의 제품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를 구현하였으며

포드 바이두로부터 1억 5천만 달러의 투자를 받는다. ( 한화 약 1755억 원 )

2018년에는 니콘으로부터 2500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 ( 한화 약 292억 원 )

같은 해 현대모비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600억 원의 투자를 받는다.


2020년 Velobit 출시. 소형화 성공

 

velodynelidar.com/history

아직 판매단계는 아니지만 볼펜 정도 사이즈의 작은 크기의 LIDAR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벨로 다인의 역사에 대해 간단히 작성해봤습니다.

 

사진 자료와 연혁은 Velodyne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홈페이지에는 더 많은 내용이 있지만 LIDAR와 관련된 큼직한 이야기만 정리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수많은 Fin-tech

 

금융(Financial)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이다.

 

금융 서비스를 모바일 인터넷 환경으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모바일, 빅데이터, AI 등의 기술과 금융이 합쳐져 만들어진 새로운 금융서비스이다.

 

이런 변화로 인해 스타트업을 찾기 힘든 분야였던 금융업에서도 스타트업이 나타나고 있다.

 

단순 결제서비스, 대출, 주식, 송금, 자산관리, P2P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Fintech의 경쟁우위

 

1. 소비자들이 빠른 결제/송금 시스템을 원한다.

 

2. 기존의 금융업의 수직적인 구조에서는 좋은 모바일 서비스를 만들기가 힘들다.

 

3. 은행업계의 경직된 분위기, 조직구조상 창의적인 개발이 힘들다.

 

4. Fintech 업체 내 경쟁으로 기존 금융 시스템보다 수수료가 싸다.


핀테크의 시작.

한국에서 간편결제의 등장원인과 원리. 

 

기존의 결제방식은 매 결제마다 고객이 직접 신원확인과 카드/통장정보를 입력했으나

 

간편결제 서비스는 고객의 신원과 카드/통장 정보를 저장하여 간단한 인증만으로도 결제가 가능해졌다.

 


원래는 고객의 카드/통장 정보를 보관하는것이 법적으로 불가능 했다.

 

천송이 코트와 박근혜 대통령

중국인들이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에 나오는 천송이의 코트를 인터넷으로 사려는데,

 

공인인증서 때문에 살 수가 없게 된다. 

 

결국 2014년 공인인증서 관련 규제를 풀며

 

개인의 카드 정보를 카드회사 말고 다른 회사들도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국에서도 간편결제 서비스가 등장했다.


테크핀과의 차이

 

직접제작

 

핀테크는 기존의 금융시스템 기반 위에 ICT를 접목시킨 서비스

 

테크핀은 ICT기반 위에 금융시스템을 구축한 서비스 

 

( 스마트폰회사 sns회사 쇼핑몰 ->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알리페이)

 

기술력과 기존고객층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IT 기업이 가진 빅데이터 (사용자 정보, 검색정보 등)을 사용해 더 스마트한 서비스 제공한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 기술


 

반응형
반응형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또는 3D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술

라이다Lidar 기술 라이다가 보는 세상은 이렇다.출처 벨로다인 홈페이지


벨로다인의 라이다와 LIDAR 의 기초 원리

 

LIDAR의 기초 원리

 

장치가 빛을 쏘고 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계산해서 주변 지형을 파악하는 것으로

 

원리는 초음파 탐지기와 같고, 광파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왜 LIDAR가 필요한가?

 

완벽한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LIDAR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현재의 자율주행은  <센서[ 카메라 + 레이더 ] + 정보처리 및 위치 파악[ HD 맵 기술 + V2V 통신 기술 + GPS 기술 ]>

 

센서와 정보처리 기술로 구성된다.

 

LIDAR 또한 자율주행 기술의 센서에 해당하는데, 기존의 센서인 카메라와 레이더의 단점을 메워줄 수 있다.

 

+

HD맵 기술 : 기존의 지도보다 훨씬 정밀한 3D 지도.

V2V 기술 : Vehicle to Vehicle의 약자로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사고를 방지하고 도로 상황을 제어한다.

GPS 기술 :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의 장단점 비교

  장점 단점
카메라 설치가 쉽다.
상용화 되어있다.
가격이 저렴하다.
물체의 형태와 색깔, 종류를 파악한다.
낮과 밤 모두 빛의 세기,명암에 영향을 받는다.
밤에 성능을 발휘하기 힘들다.
기상악화시 성능 발휘가 힘들다.(우천/안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정보처리가 필요하다.
레이더 ( RADAR ) 설치가 쉽다.
상용화 되어있다.
가격이 저렴하다.
근거리(1m~200m)물체를 파악한다.
대략적으로 위치와 크기를 파악한다. 
200M 이상의 거리는 파악이 힘들다.
라이다에 비해 정확도(분해능)가 떨어진다.
라이다 ( LIDAR ) 야간에 강하다
원거리(수m~200m이상) 물체를 파악한다.
높은 정확도로 물체의 형태, 거리를 파악한다.
(레이더에 비해 분해능이 높다.)
값이 비싸다.
크기가 커서 미관을 해친다.
낮에는 광조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라이다의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다르다.

라이다의 단점인 비용과 크기 부분을 해결하여 도입하면

 

현재 사용 중인 카메라와 레이더의 단점을 메워줄 수 있다.


파장으로 분류한 라이다의 장단점

빛의 파장 광 센서 장점 단점
905 nm
(벨로다인)
실리콘 포토 다이오드 기존의 광센서 ( 실리콘 반도체 )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시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강도를 일정 이상 높일 수 없다.
1550 nm
(루미나)
InGaAs
( 인듐갈륨아세나이드 )
포토 다이오드
사용하는 빛의 강도를 높여 성능을 발전 시킬 수 있다.

InGaAs 광다이오드가 비싸다.
대기중의 수증기에 잘 흡수 된다.

905nm 와 1550nm 파장은 대기중에 거의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lidar에 사용한다.


설치방식으로 분류한 라이다의 장단점

 

좌: 기계식 우: 고정식

  특징 장점 단점
기계식 레이저+센서 모듈이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한개를 차량 지붕에 설치한다.
360° 환경을 파악한다.
내구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크기가 커진다.
고정식 레이저+센서 모듈이 고정되어 있다.
다양한 각도로 여러개를 설치한다.
가격이 저렴하다.
내구도가 상대적으로 강하다.
고장시 개별적인 수리가 가능하다.
여러부분에 설치해야한다.

최근에는 기계식과 고정식을 둘 다 사용하여 최대한 미관을 해치지 않는 방향으로 채택한다.

구글의 웨이모. 기계식과 고정식 라이다를 둘다 탑재한것으로 보인다.

 


활용분야.

 

자율주행 기술 외에도, 드론, 항공기, 위성, 스마트 글라스 등에 활용 가능하다.


상용화를 위한 과제

 

저가형의 레이저,  레이저 수신기 , 신호처리 IC 소자, 경제성 있는 센서 모듈 조립 기술 등이 필요하며

 

수집된 대용량의 라이다 센서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SW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라이다 시장 규모 전망

source : Sensing and Computing for ADAS vehicle 2020

카메라 모듈이나 레이더보다는 작은 규모이겠지만,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용화 시 초기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2019 라이다 업체 펀딩 규모 순위

 

2019.02 기준

1위. Quanergy System ( 비상장 )

2위. Velodyne LIDAR ( 상장. 티커 : VLDR )

3위. Leddar Tech ( 우회 상장중. 티커 : GMHI )

 

2019년 초 기준이므로,

그 사이에 각 회사들이 펀딩도 받고 주식시장에 상장하고 하면서, 자금의 규모가 달라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현규 블로그 - 벨로 다인과 루미나 포스팅

 

벨로다인 & 루미나 : 거대 자율 주행 자동차 기업이 상장 예정 이라고?

자율주행 자동차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차. 초등 학교 시절 많은 사람들이 한번씩은 과학 상상화를 그려보았을 것이다. 2020년 현시점은 상상이 현실이 되기 직�

addsmile.tistory.com

 


다음 게시글은 LIDAR기술 기업 "벨로다인"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한다.

반응형
반응형

최현규입니다.

 

이번 게시글은 ROE와 ROA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치평가 시리즈는 기초적인 내용으로 적으려고 합니다.

 

제 블로그 다른 포스팅에서 기업분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한 내용을 토대로

 

제가 작성한 개별주식들의 분석에 관해서 같이 토의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최현규 블로그 - 기업분석 카테고리 바로가기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글 목록

#기업분석 #주식

addsmile.tistory.com


자기 자본 이익률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 이익률.

 

투입한 자기 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 100'의 공식으로 산출된다.

 

이는 기업이 자기 자본(주주 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한다. 


총자산 순이익률

 

 

Return On Assets. 총자산 순이익률.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

 

특정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했느냐를 나타낸다.


ROE : 쉽게 말해서 회사가 회사 돈과 투자금으로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있냐를 보는 것이다.

 

ROA : 회사가 운영하는 돈의 총액 ( 빚을 포함한 )으로 돈을 얼마나 잘 벌고 있냐를 보는 것이다.


 

 

철수로 예시를 들자.

 

철수가 계속 1주에 만원, 주식은 100개라고 정했었는데,

 

그렇다면 철수는 자신의 소유권을 판 돈으로 100만 원이 생겼을 것 아닌가?

 

철수가 이렇게 생긴 자본 100만 원과, 은행에서 추가로 100만 원을 가지고 사업을 한다고 생각해보자.

 

빚과 자기 자본을 합친 총 200만 원 (총자산) 으로 철수가 다음 분기에 20만 원의 순이익을 얻었을 때 

 

철수의 ROE와 ROA는?


 

철수의 자기 자본은 철수 주식을 팔아서 번 돈 100만원이고 

 

ROE =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X 100 이므로

철수의 ROE = ( 20만 원 ÷ 100만 원 ) X 100 = 20이다.

 

철수의 총자산은 자본금 100만 원 + 은행부채(빚) 100만원 = 200만 원이다.

 

ROA =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X 100 이므로 철수의 ROA = ( 20만 원 ÷ 200만 원 ) X 100 = 10이다.


ROE가 높을수록 돈을 잘 번다. 즉 "수익성 지표가 좋다"라고 할 수 있다.


 

내겐 너무 비호감인 훈이..

 

정확한 이해를 위해 훈이도 데려오자.

 

훈이는 철수랑 똑같이 자본금 100만 원으로 사업을 한다.

 

근데 훈이는 빚투 (빚내서 투자) 마니아라서 은행에서 900만 원을 빌려서 사업을 했다.

 

이렇게 생긴 1000만 원으로 훈이가 다음 분기에 90만 원의 순이익을 얻었을 때 

 

훈이의 ROE와 ROA는?


훈이의 자기 자본은 100만 원이고

 

ROE =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X 100 이므로

훈이의 ROE = ( 90만 원÷ 100만 원 ) X 100 = 90이다.

 

훈이의 총자산은 자본금 100만 원 + 은행 부채(빚) 900만 원 = 1000만 원이다.

 

ROA =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X 100 이므로

훈이의 ROA = ( 90만 원÷ 1000만 원 ) X 100 = 9이다.


 

 

훈이가 철수보다 돈은 잘 벌었다. ROE도 높다.

 

ROE가 높으면 무조건 좋을까?

 

누군가는 훈이를 빚투의 신. 진정한 사업가로 부를 것이고,

 

다른 누군가는 훈이를 빚쟁이. 재무건전성이 안 좋은 녀석. 은행 예금한 것보다 돈을 못 버는 녀석.으로 볼 것이다.


ROE가 높은 것은 좋지만, ROA도 꼭 같이 보아야 한다.

 

ROE가 높은데 ROA가 너무 낮다면 부채가 많다는 뜻이고, 

 

부채 (빚) 이 많으면 나중에 이자로 지불해야 되는 비용이 커지니까 안 좋다.

 

ROE가 높은 기업을 찾았다면, 꼭 ROA와 부채비율도 확인해봐야 한다.


+ROE와 ROA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네이버 증권

네이버 금융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펀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종목분석-투자지표 에 들어가면 된다. ROE와 ROA는 항상 같이 나온다.

 

 

 

아이투자 미국 주식

아이투자 미국주식

투자를 쉽고 편리하게, 미국주식가이드, 종목분석, 종목토론, 아이투자

us.itooza.com

 

투자지표에 들어가보면 확인 가능하다. ROE와 ROA는 항상 같이 나온다.

 


 

1장PER

주식의 가치평가 1장. PER

최현규입니다. 주식은 공부하고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주식 공부하면 보통 빨간색과 파란색 막대기가 있는 차트가 먼저 떠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차트도 매매하는데 도움은

addsmile.tistory.com

2장PBR

주식의 가치평가 2장. PBR

최현규입니다. 이번 게시글은 PER과 이름도 비슷하고 제일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기본적인 가치평가를 다 알고 나서 차트분석 같은 걸 해봐도 늦지 않습니다. 차트 같은 거 공부해봤자 사실 미래

addsmile.tistory.com

3장배당금

주식의 가치평가 3장. 배당과 배당성장

최현규입니다. 주식을 하면서 주식은 배당을 준다는 사실은 당연히 알 거라고 생각합니다. 차트만 보고 매매하다가 소위 "물리고"나서 급하게 배당률을 찾아보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배당률, ��

addsmile.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최현규입니다.

 

주식을 하면서 주식은 배당을 준다는 사실은 당연히 알 거라고 생각합니다.

 

차트만 보고 매매하다가 소위 "물리고"나서 급하게 배당률을 찾아보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배당률, 배당성장

 

 

 

배당금 : 기업이 이익을 발생시켜 회사 내에 누적하여 온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기업의 소유주에게 분배하는 것.

보통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주식, 어음으로 지급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배당률 : 1주당 배당금을 1주의 가격으로 나눠서 구한 비율.

높을수록 내가 받는 돈이 많아진다.

 

배당성장 : 회사가 매년 지급하는 배당금을 늘리는 것


 

 

철수 예시는 앞으로도 똑같을 것!

 

철수는 자신의 소유권을 100조각으로 나눴다.

 

그리고 시장에 본인의 소유권을 한 조각에 만원에 팔았다.

 

그리고 철수는 2020년에 열심히 일해서 10만 원을 벌었다.

 

그리고 자신을 믿고 소유권을 사준 사람들에게 1만 원을 나눠주기로 결정했다.

 

철수 1주의 가격, 철수의 주당 배당금, 철수의 배당률은?


철수 1주 = 만원

철수의 배당 지급 결정액 = 1만 원

철수의 주당 배당금 = 철수의 배당지급 결정액 / 철수의 주식 개수 100개 =  1만 원 / 100개 = 100원

철수의 배당률 = 100원 / 10,000원 * 100% = 1.00%

 

철수는 1.00 % 의 배당률을 지녔다.


철수가 돈을 더 열심히 벌어서 배당을 늘려간다면?

 

이것이 배당성장이 되는 것이다.

 

올해 1주당 100원을 배당했는데 다음 연도에 1주당 110원을 배당한다면

 

배당성장률은 10%가 되는 것이다.


애플의 배당 내역 보기

 

애플의 배당 내역. 배당금과 배당률. 출처. Seekingalpha.com

 

 

배당금 : Dividend

배당 성장률 : Dividend Growth Rate

배당률 : Dividend Yeild


배당은 주주와 회사의 이득을 공유하는 가장 직접적인 활동이다.

 

회사 매출은 계속 큰 변화가 없더라도, 배당금만 꾸준히, 많이 올려주면 주가는 상승한다.

 

대부분의 한국 주식은 이 부분이 아직 많이 부족하다..

 

배당률이 낮거나 배당지급이 들쑥날쑥하다. 

 

미국은 연금의 많은 부분이 주식에 투자되다 보니, 배당에 민감하고, 회사도 배당에 신경을 많이 쓴다.

 

한국은 1년에 1번( 연말 )에 몰아서 1년 치 배당금을 배당하지만 미국은 보통 4분기로 나눠서 배당금을 나눠서 준다.

 

그래서 보유주식수가 많을 경우 꾸준한 배당 소득으로도 생계를 계획해볼 수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국민들이 주식을 도박으로 생각하고 부동산을 신봉하다 보니, 

 

기업 입장에서도 굳이 배당에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증권시장에는 9월~12월에 배당주에 투자하라는 속담이 있다고 한다.

 

주식을 사기 전 배당도 알아보고 사길 바란다. 


대표적인 수익성지표 ROE와 ROA

주식의 가치평가 4장. ROE , ROA

최현규입니다. 이번 게시글은 ROE와 ROA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치평가 시리즈는 기초적인 내용으로 적으려고 합니다. 제 블로그 다른 포스팅에서 기업분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한 내용을 토��

addsmile.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